KCI등재
1900년대 이인직의 사회적 상상 = The Social Imagination of Lee-Injik during 1900s -Focusing on his 'Sinsoseol' tex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9-133(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이인직의 사회적 상상을 위해 전근대의 잔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유교규범, 미신과 같은 전근대적 규범들, 무당, 점쟁이, 귀신과 같이 주술적인 힘을 가진 것들은 신소설에서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재해석과 전유의 대상이었다. 이들은 소설 속 인물에 의해, 그리고 서술자에 의해 재해석되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은 알레고리적 잔재로서, '사용법을 잃어버린 도구들'로서 신소설 속 세계에 흩어져 있다. 이인직이 '사회'를 재현하는 방식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이 알레고리적 이미지들이 소설속 인물들과 서술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해석되고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그가 신소설을 통해 재현하는 '사회'가 지닌 유동성은 알레고리적 장치(dispositif)들에 기입되는 힘관계의 역동성을 그대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도덕질서에 대한 상상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이들의 미래에 대한 전망, 공동체에 대한 상상을 가능케 하는 힘으로 제시된다.
더보기This article aims to flesh out the image of 'Sahoe(society)' in Lee-injik's narratives. A narrative, as a sequence of events in everyday-life, presents significant images of 'sahoe'. The images presented in Lee-injik's narratives are different from that presented in Lee-injik's leading article such as "Sociology", "Society", "The prospectus of Korean newspaper". The 'sahoe' in those narratives is usually 'imagined', so this article also aims to examine how Lee-injik imagines the image of 'sahoe'. Imagined 'sahoe' could get its substance from Confucianism, superstition of long standing, the ghost, and the fortune-teller, the shaman, the things regarded as pre-modern and illogical. This ironic nexus was possible because those 'pre-modern things' were interpreted as signs that's empty, meaningless word, as allegorical image. They were re-interpreted constantly, so they could make a new meaning infinitely.
Lee-injik imagines 'sahoe' from these allegorical images. His narratives are filled with social etiquettes, rules, social order of ranks. In a word, His narratives are operated by 'engagement' between people who imagines society he belongs to. The engagements were embodied with the pre-modern ways of life. 'Sahoe' in this context are inevitably uncertain concept. Lee-injik's narratives presents this uncertainty with senses of unrest, terror.
Furthermore, the 'modern' way of life, such as capitalism, social Darwinism, all the modern knowledges imported by the student who studied abroad became allegorical images, too. Lee-Injik relativized these newcoming values. For these reason, reading his narratives as a story of 'modernizing', or 'an expression of the desire of modernize' is a matter for debate. His narrative shows the world filled with meaningless, allegorical images. These images also made his concept of 'Sahoe' expan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