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세기 신라의 김해지역에 대한 통치양상 - 帶金具를 중심으로 = The Governing Systems of Shila Dynasty for Kimhae Region During the 6th~7th Century : Focused on Daekumgu (Belt Fittings)
저자
박성천 (경남문화재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213(4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Daekumgu (belt fitting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the 6th and 7thcentury and the distinctions of those tombs in Kimhae region,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he governing systems under which Kimhae region (one of the regions of Shila Dynasty) was controlled. The Daekumgu was made in Kimhae and were found buried in the tombs of the upper classes in then Kusan and Daesung villagεs which were the central arεas of the late 6th century. Particularly the belts fittings in the shape of Samryupmutojo and Nuamri, which were popular before the century, were buried first in the tombs. It seems that they were made under the Sikup system of Kim Gu Hae and the upper classes, which buried the belt fittings, were the local gentry connected by blood with Kim Gu Hae. It seems that Shila Dynasty controlled Kimhae region through the gentry. And that different styles of the belt fittings made in Kimhae were found in the tombs of the local gentry for the upper classes can be interpreted into the division and balance of power of the local gentry by the Dynasty to govern Kimhae region.
The Nuamri-shaped belt fittings in the late 6th century was as standardized in size, quality of the material, shape and the way to fix a belt as in many regions of the Dynasty. This allows us to assume that Kimhae was placed under the direct control Shila Dynasty after the Sikup system of Kim Gu Hae. It is also assumed that the direct governing system was execu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clas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upper class played a role of emotional and symbolic anchor and the second upper class took actual part of managing the system to operate and charge of production in the regio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Whangyoungsa-shaped belt fittings were found buried in Yeanri tombs (tombs in Yean village), which was located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an outskirt of Kimhae. It tells us that Kimhae was a strategic point during Shila unification war. The stone chamber structures of the tombs indicates that the first and second upper classes whose belt fittings were together buried in the tombs when they are dead were more respected than other local classes. It hints that Kimhae region was considered strategically important during the war. And it was thought to be more systematically reinforced through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mid-seventh century, Dang (Dang Dynasty)-styled belt fittings spread down to the lower class living in the suburb area of Kimhae, which indicates that the community became more structurally hierarchical. It was interlocked with the enforcement of Dangshikkebok (Dang Dynasty-styles dressing) by Shila Dynasty and Kimhae was more tightly controlled than before. Daekumgu were still found buried in the tombs placed in strategically important points for Shila unification war. This means that the upper classes of Kusandong and Daesungdong tombs played leading roles and the more systematized second and lower classes took the actual roles in constructing Bunsansung (mountain fortress) to secure strategic points.
Daekumgu excavated in Kimhae region of the 6th-7th century was found in the tombs of the upper classes in the central Kimhae areas of the late 6th century. And in the mid-7th century, it was found in the second upper and lower classes around the outskirts of Kimhae. Accordingly, Daekumgu in Kimhae reflects the periodic political and social interests of Shila central government. As well, it seems to have been used by Shila central government as a way to reinforce the control of the region.
본고는 6~7 세기 김해지역이 신라 지방으로서 어떻게 통치되었는지 시기별 帶金具의 특징과 출토 고분(군)의 성격검토를 통해서 그 일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해지역 대금구는 6세기 후엽 중심지의 상위계층인 구산동, 대성동고분군에서부터 김해산이면서 이전 시기에 유행한 삼엽문투조와 누암리형 대금구가 먼저 부장되고 있다. 이는 정치적으로 김구해의 식읍체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를 부장한 상위 계층은 김구해와 혈연적으로 연관된 재지세력들이었다. 신라는 이들을 통해서 김해지역을 통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김해에서 제작된 다른 유형의 대금구가 이들 상위 계층에 각각 부장된 것은 신라의 김해지역 통치를 위한 재지세력들의 세력분화와 균형유지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6세기 말의 누암리형 대금구는 신라의 여러 지방과 마찬가지로 크기, 재질, 형태 및 혁대고정 방법에서 정형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김해지역은 이전의 김구해의 식읍체제 이후 신라의 직접지배 방식으로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직접지배 방식은 상위 및 차상위 계층의 위계화된 구조를 통해서 실행되었다. 상위 계층은 정신적, 상징적인 역할, 차상위 계층은 실질적인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김해지역의 체제 운영 및 생산력 증진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7세기 전엽에는 주변부 외곽인 낙동강 하구의 예안리고분군에서 황룡사형 대금구가 부장되고 있어 신라의 통일전쟁이라는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대금구를 부장하고 있는 상위, 차상위 계층은 석실구조상 다른 지방인들 보다 우대되었는데 신라의 통일전쟁에서 김해지역의 전략적 중요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는 위계화된 구조를 통해 보다 더 체제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생각된다.
7세기 중엽에는 唐式 대금구가 주변부 외곽의 하위 계층에까지 확산되며 계층상 이전 시기보다 구조적으로 더 위계화 되었다. 이는 신라의 唐式改服 시행과 연동되며, 김해지역의 통치가 이전 시기보다 더 확대되고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금구는 신라의 통일전쟁과 관련된 전략적 중요지점에 여전히 부장되며 전략적 요충지의 확보를 위한 분산성의 축조 역시 구산동과 대성동고분군의 상위 계층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보다 더 체계화된 주변의 차상위 및 하위 계층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해볼 수 있다.
6~7세기 김해지역 출토 대금구는 시·공간적으로 6세기 후엽 중심지의 상위계층에서부터 부장되며 이후 7세기 중엽경에는 주변부 외곽의 차상위 및 하위 계층으로까지 확산된다. 이에 따라 김해지역 출토 대금구는 시기별 신라 중앙정부의 정치·사회적 이해를 반영하는 것과 동시에 신라의 김해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그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