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탄소년단(BTS) 현상’에 대한 한류 보도 연구: 다이너마이트 빌보드 핫100 차트 1위 전후 텍스트 분석 = A Study on Korean Wave Reports Covering the Global Phenomenon Called BTS: A Comparative Textual Analysis Before and After a Mega-hit Song, “Dynamit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광고홍보학보(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5-240(46쪽)
제공처
‘다이너마이트(Dynamite)’로 2020년 빌보드 핫100 차트 1위를 차지하며 한국 가수로는 유례없는 성취를 이룬 방탄소년단(BTS)은 세계적인 팝 아이콘이 되어,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 언론은 정치적 관점에서 국가주의 프레임으로 한류 보도를 해왔다는 선행연구를 배경으로, 소위 ‘K-pop 국가대표’로 여겨지는 BTS에 대한 보도의 양상은 어떠했는지 확인해 볼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나, BTS는 미국에서 반응을 얻기 시작한 이후 국내 위상이 달라진 ‘역수입’ 한류 스타로 평가받고 있기에, 다이너마이트 빌보드 핫 100 1위 전후로 국내 언론의 보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은 대중문화 연구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S의 전환기라고 볼수 있는 빌보드 핫100 차트 1위에 대한 최초 보도 날짜인 2020년 8월 30일을 기준으로 BTS에 대한 언론의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BTS가 데뷔한 2013년 6월 13일부터 단체 활동 중단을 선언한 2022년 6월 30일까지 국내 구독 부수 기준 5대 일간지에서 파이썬(Pytho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R 프로그램을 통해 토픽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전반기에는 ‘콘서트’와 ‘한류열풍’이 가장 주요 토픽으로, 후반기에는 ‘한국대표’, ‘병역문제’가 가장 주요한 토픽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빌보드 핫100 1위 이후 BTS에 대한 국가주의적 보도가 증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전반기에는 ‘한국’의 중심성이 더 강한 반면, 후반기에는 ‘미국’의 중심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계’와 ‘한국’이라는 두 키워드는 전체 기간 내내 가장 주요한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 언론이 BTS를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스타라는 점을 강조하는 국가주의적 모습을 띄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BTS, which achieved an unprecedented record as a Korean band by topping the Billboard Hot 100 chart in 2020 with “Dynamite,” has become a global pop icon and is receiving tremendous attention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since it dominated the Billboard Hot 100 chart with “Dynamite,” which is considered an indicator of global popularity and fame, it is essential for popular culture research to find out how the media coverage changes before and after it. Since the majority of BTS research so far has been limited to fandom research, storytelling strategy research, and Korean Wave research, finding out what topics the media are reporting on BTS provides important resources for estimating the cultural meaning of the ban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media's reactions to BTS have changed on the basis of August 30, 2020, the date of the first report on topping the Billboard Hot 100 chart, which can be seen as a turning point for BTS. For the study, from June 13, 2013, when BTS debuted, to June 30, 2022, when group team activity was announced to be suspended, articles were collected using a Python program from five major daily newspapers based on the number of subscriptions in Korea. Topic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A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ert' and 'Korean Wave' were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the first half, and 'Korea Representative' and 'Military Service Problem' were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the second half. On the other hand, as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es, the degree centrality of 'Korea' was stronger in the first half, while the degree centrality of 'USA' was stronger in the second half. The two keywords 'world' and 'Korea'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keyword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which means that the domestic media regards BTS as a globalized star, while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at the band is a representative of Korea. BTS represents a paradoxical status of a global phenomenon as a Korean band in the Korean media.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