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포지역 3ㆍ1운동의 역사적 의의 -김포지역사적 관점에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1(25쪽)
제공처
본고는 김포지역의 3․1운동을 김포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민족운동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살펴본 것으로서 김포지역의 3․1운동은 지역 내부의 운동 역량이 구한말 이래 성장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김포지역의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을 살핌으로써 이 시기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이 지방사회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는 투쟁의 주체로서의 조선 민중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일본의 지배전략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관심은 김포지역 3․1운동의 한계성을 인식하면서 그 바탕 위에서 김포지역 3․1운동의 전개과정을 다시 확인하면서 일제가 김포지역의 민심으로 어떠한 방법과 수단으로 무마하고자 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김포지역 3․1운동에 대한 연구의 질과 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 연구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우선 이러한 연구를 통해 김포지역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을 간략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핵심은 청년층에 대한 교화로 나타났다. 이는 곧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한 대책으로서 사회교화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사회교화정책은 3․1운동 이후
일제가 채택한 문화정치의 한 축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지배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이에 대해서는 중앙 단위의 정책뿐만 아니라 김포지역을 포함한 지방 단위의 사실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3․1운동의 전통이 1920년대 이후 김포지역의 민족운동 혹은 사회운동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었는가를 살필 필요가 있다. 그것은 역사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계기적으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김포지역사 뿐만 아니라 한국민족운동사와 한국근대사의 연구가 보다 풍부해지고 우리 역
사의 실체적 접근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This treatise is to see through what had happened in 3ㆍ1Independence Movement specially in Kimpo region in terms of socio-economical background and brief history of national movement,
on which I intend to underscore that the Movement in that area has been developed from inside of movement capability since the last stage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And by examining how the contemporary Japan responded to this 3ㆍ1 Movement, I want to trace of a process how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was carried out in the local society. Because I believe that by dong so, we may get some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s all about Joseon people as the subjects
of anti-Japan fight and Japanese ruling strategy upon Jonseon.
Accordingly, my first concern is to recognize a limitation of 3ㆍ1movement, on which I want to re-examine the procedure of Independent movement, and to get to the point that how Japanese forces appease Joseon people in what way. So, this trial is a sort of research to expand & deepen the original 3ㆍ1 movement confining it in Kimpo region.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got some idea how contemporary Japanese regime responded to 3ㆍ1 movement in Kimpo area. And its core of the Kimpo 3ㆍ1 movement was found as edifying youth power of Joseon. It means Joseon people's counterplan for Independent movement was definitely imperative against Japan. In fact, Japan's social edification policy. since 3ㆍ1 movement, was decisive in terms of ruling strategy. Regarding this, I thought that to define the whole strategy of central unit including local section of Kimpo movement is so important to get overall shape.
And also it needs to examine how did the tradition of 3ㆍ1 Movement reflect on social or national movement of Kimpo area especially after 1920 and ever since. Because a history itself is not extinct but continuing one. For I believe that there are continuity between local history of 3ㆍ1 movement in Kimpo region and other national movements nationwide. Accordingly we might get into deeper level of Korean modern history as a who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