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OPUS
SCIE
Mycophenolic Acid가 PDGF에 의해 증식 유도된 흰쥐 혈관평활근 세포에서 NAD(P)H Oxidase, 세포내 활성산소족 및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에 미치는 영향 = Mechanisms Involved in the Inhibitory Effects of Mycophenolic Acid on the PDGF-induced Prolife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ackground: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hronic allograft vasculopathy as in atherosclerosis. We already reported that mycophenolic acid (MPA) inhibited VSMC proliferation,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in human VSMCs. In this study, we examined further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PA in rat VSMCs.
Methods:Primary rat VSMCs were stimulated with PDGF-BB 1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PA and various kinds of cell signaling inhibitors.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H3]- thymidine incorporation, NAD(P)H oxidase subunits mRNA expression by RT-PCR, dichlorofluorescein- sensitive cellular ROS by FACS, and the activation of PDGF receptor-β (Tyr 751), rac1, and MAPK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PDGF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cellular ROS, activation of PDGF receptor-β (Tyr 751), rac1, expression of p22phox and MOX1 mRNA, ERK 1/2, and p38 MAPK, compared to control. MPA inhibited up-regulation of rac1 phosphorylation, p22phox and MOX1 mRNA expression, cellular ROS, and phosphorylation of ERK 1/2 and p38 MAPK. However, MPA did not affect PDGF receptor-β (Tyr 751) activation. Wortmannin, diphenyleniodonium (DPI), trolox, and NAC, each inhibited PDGF- induced ERK 1/2 and p38 MAPK activation. PD98059 and p38 MAPK inhibitor also inhibited PDGF-induced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PA inhibits PDGF-induced VSMC proliferation through inhibiting NAD(P)H oxidase-dependent cellular ROS leading to ERK 1/2 and p38 MAPK activation.
배 경: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은 장기이식 후 발생하는 혈관경화증이나 동맥경화증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ycophenolic acid (MPA)는 강력한 면역억제제로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도 억제한다. 본 연구는 사람의 혈관평활근 세포에서 MPA가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계인 활성산소족과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DGF에 의해 증식 유도된 흰쥐 혈관평활근 세포에서 MPA가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을 검색하였다.
방 법:일차 배양한 흰쥐 혈관평활근 세포를 PDGF-BB 10 ng/mL로 자극하였고, MPA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신호전달 억제제는 PDGF를 투여하기 1시간 전에 투여하였다. 세포증식은 [H3]-thymidine incorporation으로, NAD(P)H oxidase subunit의 mRNA 표현은 RT-PCR 로, dichlorofluorescein에 민감한 세포내 활성산소족은 FACS 방법으로, 그리고 PDGF 수용체-β (Tyr 751), rac1 및 MAPK 활성화는 Western blot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결 과:PDGF는 PDGF 수용체-β (Tyr 751)의 활성화 및 NAD(P)H oxidase subunit 중 rac1의 활성화와 p22phox와 MOX1의 mRNA 표현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MPA는 PDGF 수용체의 활성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rac1의 활성화, p22phox와 MOX1의 mRNA 표현의 상향 조절, 세포내 활성산소족, 그리고 ERK 1/2와 p38 MAPK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Wortmannin, diphenyleniodonium (DPI) 및 NAC와 trolox는 PDGF에 의한 ERK 1/2와 p38 MAPK 활성화와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PD98059와 p38 MAPK 억제제는 PDGF에 의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 | 0.42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