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안 매립지역의 액상화 재해도 작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quefaction Hazard microzonation at reclaimed ports and harbors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지진발생시 액상화 피해가 예상되는 가덕항, 광양항, 부산지역, 새만금 신항, 아산항, 양산물금지구, 여수공업단지 및 인천 신공항 등 10 곳의 국내 연안 매립지역을 대상 지반으로 선정하여 침하량을 기준으로 하는 액상화 재해도의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한반도의 지질특성을 고려하여 진앙 분포지가 밀집된 지역을 대상 지반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 지반에 대한 액상화 평가는 수정 Seed와 Idriss의 방법을 이용하여 장주기의 Hachinohe 지진파와 단주기의 Ofunato 지진파에 대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액상화 평가는 한 지점에서 깊이별로 수행되어 넓은 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안정성을 평가하기가 곤란하므로 각 지점의 평가 결과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인 Iwasaki가 제안한 액상화 가능성 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산정하였다. 그러나 액상화 가능성에 대한 정성적인 지표인 LPI 값을 이용하여 작성된 액상화 재해도는 공학적인 활용가치가 낮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재해도 작성을 위한 정량적인 지표로서 액상화 발생시 예상되는 침하량을 이용하였다. Tokimatsu와 Seed가 제안한 방법에 의거하여 침하량을 산정한 후 LPI 값과 예상침하량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 지역에 대하여 LPI 값과 침하량이 비례하여 그 지역의 LPI 값을 알면 액상화 발생시의 침하량을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해의 심각성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 침하량을 정한다면 이를 액상화 재해도의 기준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준 침하량을 정하기 위하여 우선 심도별 N값을 깊이 10m에서의 정규화된 N_1 값으로 나타내어 이 값을 기준으로 액상화 재해정도를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기준 침하량을 토대로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액상화 재해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재해도는 대상지반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1:5000 축척의 수치지도를 Base Map으로 하여 예상 침하량의 등고선 형태로 표현하였다. 또한 침하량의 등고선을 3차원으로 도식화한 후, 이를 수치지도상에 표현하는 3차원 Mapping을 수행하였다. 침하량을 기준으로 하는 재해도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재해도에 비하여 지진에 대한 대상 지역의 지반공학적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quefaction Hazard Microzonation based on settlements induced by liquefaction for various reclaimed sites at ports and harbors, which have strong possibility of liquefactio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Firstly, 10 target areas relevant to local geology and soi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 were selected and liquefaction potential for Hachinohe and Ofunato seismic waves was assessed by the modified Seed and Idirss method. Then,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proposed by Iwasaki, represent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a site was also assessed in various areas. Settlement by Tokimatsu and Seed's Method was also computed and utilized as a quantitative index for liquefaction hazard maps, then compared with LPI.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LPI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settlements in all target areas, therefore, LPI obtained in a site enables to predict settlements reasonably. Furthermore, the severity of liquefaction hazard can be defined by settlement criteria as a new standard index for a liquefaction hazard map.
To determine the settlement criteria, N value distribution according to depth based on safety factor due to liquefaction potential through all sites was plotted and normalized N value, N_1 was computed at depth of 10 meters. On the basis of N_1, the severity of liquefaction hazard was classified into 3 areas and at each site, the sum of LPI and settlement were assessed and settlement criteria were proposed.
Consequently, liquefaction hazard maps based on the settlement criteria were proposed as complement to existing hazard maps. On the proposed maps, settlement contours and 3 dimensional overlapped contours were plotted on digitized base maps respectively on a scale of 1:5000. In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aps, geotechnical information refers to seismic hazard can be obtained promptly and effectual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