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위력의 근본적 강화를 천명한 일본의 新 안보 3문서 평가와 영향 = Evaluation and Impact of Japan’s New Three Security Documents, which Declared Fundamental Strengthening of Defense Capabil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9(45쪽)
제공처
일본 정부는 2022년 12월 16일 ‘국가안보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 등 이른바 안보 3문서를 책정하여 발표하였다. 이 3문서에서는 첫째, 일본에 유리한 안보환경 조성, 둘째,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 억제, 셋째, 무력침략의 저지와 배제라는 세 가지 방위목표를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은 먼저 “자신의 방위체제 강화”와 함께, “미일동맹의 억지력 및 대처력 강화”와 “파트너 국가들과의 연계 강화” 등 3가지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본 스스로의 방위체제 강화와 관련해서는 외교력, 정보력, 경제력, 기술력을 포함한 국력을 결집한 국가의 종합적 방위체제의 강화와 더불어, ①스탠드오프 방어능력 ②통합 방공미사일 방어능력 ③무인자산 방어능력 ④영역횡단작전능력 ⑤지휘통제・정보 관련 기능 ⑥기동전개능력・국민 보호 ⑦지속성・강인성의 7대 기능・능력을 강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3대 안보문서의 구체적인 방침 중 주목할 만한 사항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은 ‘반격능력’을 향후 필수 능력으로 규정하고 ‘스탠드오프 방어능력’을 그 수단으로 삼겠다고 선언하였다. 일각에서는 향후 장거리 미사일 개발 및 발사 형태 다양화를 위한 기술 개발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상대국의 공격 ‘착수’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 대해 향후 논란의 여지를 내포하고 있다다음으로 안보 3문서에 나타난 주변국에 대한 인식 표명과 관련해서 일본의 최대 무역국이자 위협의 대상이기도 한 중국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도 중요한 문제였다. 결국 이번 개정에서 일본은 중국의 대외적인 자세나 군사 동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이제까지 없었던 최대의 전략적 도전’으로 규정했고 이러한 대중국 인식은 안보 3문서에서 남서지역의 방위체제를 강화하는 각종 시책으로 구체화되었다. 일본의 남서지역은 대만 유사와도 관련된 만큼 해당 지역의 정세 변화와 일본측 대응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이번 논의 과정에서는 이제껏 다루어진 여러 안보 테마 중에서도 자위대 장비의 부품 및 탄약 부족, 노후화되고 방호・지진에 취약한 시설, 방위산업 기반 약화라는 현실에 그 어느 때보다도 포커스가 집중됐다. 특히 방위산업의 성장확보를 위해 ‘방위장비 이전 3원칙’ 및 운용지침의 개정 필요성이 안보 3문서에 포함된 만큼, 장기적으로는 방위산업 수출에 탄력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와 경쟁 혹은 협력 가능성 모두가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일본이 통합운용 강화를 위해 상설 통합사령부를 창설하겠다고 명시한 점은 전략사령부 창설을 계획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도 주목할 만한 사항이며, 자위대원 처우 향상, 인재 확보 및 활용의 일환으로 진행중인 여성 자위대원의 비중과 역할에 대한 논의도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입장에서 보면 일본이 안보 3문서 개정을 계기로 ‘정상국가’로서의 면모에 한 걸음 다가섰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한미, 한미일 안보협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정세 속에서 한국도 과연 요구되는 또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전략적 가치를 다시금 재평가하고 막연한 위협이 아닌 협력의 대상으로서 가능...
On December 16, 2022,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nd announced three so-called security document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e National Defense Strategy, and the Defense Forces Maintenance Plan. The three security documents state that first, they will first create a security environment favorable to Japan, second, deter unilateral attempts to change the status quo by force, and third, block and exclude armed agg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defense goals, it proposes three approaches: strengthening Japan’s own architecture for national defense, strengthening Japan-U.S. joint deterrence and response capabilities, and collaboration with like-minded countries and others. This includes strengthening the nation’s comprehensive defense system, which combines national power, including diplomatic, intelligence, economic,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well as fundamental strengthening of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including ①Stand-off defense capabilities, ②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capabilities, ③Unmanned defense capabilities, ④Cross-domain operation capabilities, ⑤Command and control and Intelligence-related functions ⑥Mobile deployment capabilities / Civil protection, ⑦Sustainability and Resiliency.
The following is an evaluation of notable matters among the specific policies of the three security documents. First, Japan defined “Counterstrike capabilities” as an essential capability in the future and declared that it would use “stand-off defense capabilities” as a means. Some doubt the feasibility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development of long-range missiles and diversification of launch types, and above all, it implies controversy in the future as to how to judge whether the other country’s attack is “started.” Next,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of awarenes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3 security documents, how to express China, Japan’s largest trading country and target of threat, was also an important issue. As Japan’s southwest region is also related to Taiwan crisi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ituation in the region and its response.
Among the various security themes discussed in the discussion process, the lack of parts and ammunition of the Self-Defense Forces equipment, aging, vulnerable facilities to earthquakes, and weakening defense industry base were more focused than ever.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integrated command to strengthen integrated operation is noteworthy for Korea, which plans to create a strategic command, and discussions on the proportion and role of female SDF personnel as part of the re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 of SDF personnel are also expected to be a reference.
From South Korea’s point of view, it can be evaluated that Japan has taken a step closer to its aspect as a “normal state” with the revision of the three security document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whether South Korea can play the required or necessary role in the growing need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Japan’s strategic value again and explore its possibility as an object of cooperation, not as a vague threa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