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국고(國故)와 문고(文庫)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중심으로 = National Heritage and library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nd publishing activ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5-33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KL) in the 1930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eritage arrange movement(國故整理運動). Unlike Japan and China, Sinographic texts, not Hangeul texts,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national heritage in colonial Korea. The publication work of the AKL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publishing industry. The first publications of the AKL were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報) and a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朝鮮語文學叢書).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has a high proportion of primary sources and tends to gradually expand, and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is also observed for the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 As the research level of the AKL participants deepened,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to focus on the basic work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primary data, avoiding the presentation of substandard research results. The commercial success enjoyed by Shinseonsa(新朝鮮社)’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was to show the marketability of the national documents.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文學全集)> of the JoongAng Inseogwan(中央印書館) was a project aimed at the proven marketability. Lee Byung-gi(李秉岐, 1891~1968) and Kim Tae-joon(金台俊, 1905~ 1949), who were named as proofreaders, were also the most widely known scholars in the Korean Literature study of the time. In contrast to the early publication works of AKL, which relied heavily on their own account,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investment of publishing capital in collaboration with the JoongAng Inseogwan. ‘Chunhyang fevor(春香熱)’ in the mid to late 1930s gave great strength to the editor’s <Korean library(朝鮮文庫)>. The publication of <Korean library>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society to reunite by reuniting those who had been distant from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s a venue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ith the help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ecturer Kim Tae-joon. Lim Hwa(林和, 1908~1953), the editor of <Korean library>, als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training and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his later writing in the New literature hitsory(新文學史). <Korean Library> was written in Hangeul, so that the readership of the “imagined nation” was broader than the former Sinographic-based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heritage. The release and commentary by professional scholars added along with the Hangeul not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wide social spread of the most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ime, <Korean library> showed the most ideal form of the National Treasury Reorganization Movement.
더보기이 논문은 1930년대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국고정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국문’ 문헌이 논의의 중심이 된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한문문헌 중심성이 두드러진다. 조선어문학회의 출판작업은 당대 조선 출판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학회의 최초 간행물은 기관지 조선어문학회보와 <조선어문학총서>였다. 조선어문학회보는 1차자료의 비중이 높고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조선어문학총서> 또한 자료집으로의 방향전환이 관찰된다. 동인들의 연구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수준미달의 연구성과 발표를 지양하고, 1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토대작업에 힘을 쏟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가 만끽한 상업적 성공은 국고문헌이 지닌 시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중앙인서관의 <조선문학전집>은 검증된 시장성을 노린 기획이었다. 교열자로 이름을 올린 이병기와 김태준은 당대 조선문학 연구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학자이기도 했다. 조선어문학회의 초기 출판작업이 자비(自費)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중앙인서관과의 협업에서는 출판자본의 상황판단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중후반의 ‘춘향열’은 학예사의 <조선문고>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문고> 간행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에서 멀어졌던 동인들이 재결집하여 학회가 재생하는 계기이자, 경성제대 강사 김태준을 매개로 학문 후속세대들을 육성하는 장이기도 했다. 학예사 편집인 임화 또한 학문적 훈련에 함께 매진하며 훗날 신문학사 서술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다. <조선문고>는 한글표기를 전면화하여 기존의 한문 위주의 국고 간행작업보다 더 폭넓은 ‘상상된 국민’을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글표기와 함께 부가된 전문학자의 해제와 해설은 국고문헌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당대 가장 고도화된 학문적 성과의 폭넓은 사회적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조선문고>는 국고정리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주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