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향 검토-<明淸婦女著作(Ming Qing Women’s Writings)>의 사례를 참조하여 = Review of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base Construction Direction: Referring to “明淸婦女著作” (Ming Qing Women’s Writing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18(34쪽)
제공처
“明淸婦女著作” (Ming Qing Women's Writings, hereinafter MQWW) is a database of poetry collections of women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built by the McGill University Library in Canad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database of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by referring to the MQWW. The MQWW is a project that started in 2003, and so far, seven organizations have collaborated to create a DB of 421 collections. The basic feature of the MQWW is that it provides the original image of the entire works. The second feature is that it is designed to enable various methods of search based 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index. This classification search function can effectively categorize writers and works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item and extract specific information. The third feature is the linkage with the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 (CBDB). The MQWW provides writers' information to the CBDB to increase the value of data utilization, and linking writers' information to the CBDB improves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In addition, the Microsoft Access Database was created following the model of the CBDB for users to download it.
Based on the above case analysis, the design direction of the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base was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first is the scope and target data of digitization. The target data of the Women's Chinese Literature includes women's Chinese writings, poetry anthologies (詩選集) containing women's works, and Remarks on poetry (詩話) that refer to women writers and their works. The second is the issue of the digitization of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The transcribed full texts enable content and phrase search, greatly increasing their value as an academic DB. It is good to include the original text with punctuation marks and to present the original texts from different versions (異本) side by side. It is also ideal to provide Korean translations together to increase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The third is the design method of the classification index. In this paper, the case of the MQWW was used as a standard, but a sample of the classification index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
The MQWW is a digital humanities project based on solid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product of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Korean women's Chinese literature database also shares such orientation, and it is necessary to find specific ways to realize it.
<明淸婦女著作(Ming Qing Women's Writings, 이하 MQWW)>은 캐나다 맥길대학도서관(McGill University Library)이 구축한 명·청 시기 여성들의 시문집 데이터베이스이다. 본고는 MQWW의 사례를 참조하여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방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QWW는 2003년에 시작된 프로젝트로서 현재까지 7개 기관이 협력하여 421종 자료를 DB화하였다. MQWW의 기본적인 특징은 여성 시문집 및 여성 문학 관련 자료의 원본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체계화된 분류 색인(index)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류 검색 기능은 작가 및 저작, 그리고 작품들을 각 분류 항목에 따라 범주화하고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은 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CBDB)와의 연계이다. MQWW는 CBDB에 작가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한편, 작가 정보를 CBDB로 링크되게 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제고하였다. 또, CBDB의 모델을 따라 Microsoft Access Database를 제작하여 이용자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방향에 대해 다음 세 측면에서 논하였다. 첫째는 디지털화의 범위와 대상 자료이다. 여성 한문학 DB의 대상 자료는 여성들이 남긴 한문 저작, 여성 작가의 작품이 수록된 詩選集, 여성 작가 및 그들의 작품을 언급한 詩話 등의 비평 자료를 포함한다. 즉, ‘여성들의 한문 저술 및 여성 한문학에 대한 담론’의 아카이브가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원문 텍스트 및 번역문의 디지털화 문제이다. 입력된 원문 텍스트는 내용 및 어구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므로 학술 DB로서의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표점 작업이 이루어진 원문을 수록하며, 여러 이본들의 원문을 나란히 제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번역문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모든 자료의 번역문을 제작할 수 없다면 사업 준비 단계에서 적절한 기준에 따라 우선 번역 대상 자료를 선정하여 그것부터 DB화를 하면 된다. 세 번째는 분류 색인의 설계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MQWW의 사례를 준용하되, 한국 여성 한문학 자료의 특징을 고려하여 분류 색인의 샘플을 작성하였다.
MQWW는 충실한 학술적 성과를 기반으로 준비된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이며, 국제적·학제적 연구의 산물이기도 하다. 한국 여성 한문학 데이터베이스 역시 그러한 지향을 공유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