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12(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근현대 인천항은 국도의 관문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미군과 UN군이 직접 관리하는 항구로 분류되면서,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은 일정 부 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기존의 역사를 반영하듯, 근현대 인천항의 역사 서술들은 대부분 1950년대의 전후 복구와 개발이라는 측면에 대해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있다. 본고는 그간 소외 받아왔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의 역사를 복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천항은 수도 서울로 향하는 국도의 관문으로, 부산항에 이어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 항 구였다. 특히 인천항은 수도 서울 점령을 최우선으로 한 미군의 진주 공간으로, 해방 이후 미군 이 가장 먼저 진주했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 제2차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항구로서의 역할이 축소되 었던 인천항은 미군정의 수출입 통로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을 전후로 해서는 원조 물자의 수입 창구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인천항은 항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고, 전쟁 이 후 항만 복구 계획에 대한 논의와 계획이 1950년대에 지속되었다. 본고는 1·4후퇴 당시 인천항의 항구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과 전후 복구 과정에 대해 자 세히 살펴봄으로써 본격적인 개발연대기 이전 인천항의 복구 과정을 복원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인천항이 ‘개발’이 아닌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항만 개발이 진행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인천항의 발전 이전 시기, 전쟁 피해를 복구하던 인천항의 모습을 역 시 다시 복원하고자 한다. 1950년대에도 인천항은 중요 물자의 수입을 통한 국도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하였고, 해당 시기 계획된 장기 항만 운영계획은 이후 인천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더보기Modern Incheon Port was an important gateway to national capital. However, as it was classified as a port directly managed by the U.S. and UN forces thr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was bound to be restrict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reflecting the existing history, most of the modern Incheon Port's historical descriptions don’t properly analyze aspects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1950s.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he history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a fter the liberation that had been neg lected. Incheon Port was the gateway to the national road to the capital, Seoul, and was the representative port of Korea after Busan Port. In particular, Incheon Port was the occupied space of the U.S. military, which prioritized the occupation of Seoul, the capital, and was the first place where the U.S. military stationed after liberation. Japanese colonial era Incheon Port, whose role as a port was reduced due to World War II, was used as an export and import channel fo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was used as an import channel for aid supplie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Korean War, Incheon Port lost its function as a port, and discussions and plans for port rehabilitation continued in the 1950s after the war. This article restored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Incheon Por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solidarit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losing its function as a port of Incheon Port at the time of the Reds Marched(1·4후퇴) and the post-war rehabili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port development in the 1950s focused on ‘post-war rehabilit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in Incheon Por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cheon Port, which had been recovering from the war damages before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Incheon Port continued to serve as a gateway to the capital through the import of important materials, and the long-term port operation plan planned for that perio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later.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