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세기 로마 성무일도의 형성과 발전 = A Theological Study on the Christian Structure of the Creed: Focused on the Apostles’ Creed and Sacramenta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23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1-163(33쪽)
제공처
기도에 관한 예수님의 구체적인 가르침, 특별히 ‘끊임없이 기도하라(루카 21,36 참조)’는 명령과 ‘끈질기게 기도하라(루카 18,1 참조)’는 가르침의 실현을 위해 교회는 하루 중 같은 리듬으로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시간전례를 한결같이 거행해 오고 있다.
로마 성무일도의 역사에서 본격적인 발전의 첫 단계를 형성하는 5-6세기의 성무일도의 그 구조와 형태는 알려지지 않았고, 베네딕도 규칙서를 비롯한 수도자 전통과 혼합된 로마-베네딕도 성무일도가 7-8세기에 이르러 로마 성무일도의 전통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아말라리오 주교의 저술을 통해 8세기 이후 카롤링거 왕조에 도입된 이성무일도의 구조와 내용을 재구성해 보면, 이 시기의 성무일도는 이미 주교좌 성당 성무일도의 핵심 시간경인 아침기도, 저녁기도, 사제들에게 참여가 권고되었던 밤기도, 부가적으로 바쳐지던 낮 시간경, 그리고 온전히 수도자 전통의 요소였던 일시경과 끝기도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미 이 시기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개혁 이전까지 유지되던 ‘교회의 기도’의 시간경의 형태가 갖춰졌음을 볼 수 있다.
이 로마-베네딕도 성무일도는 시편의 배열이나 찬미가를 도입하지 않는 점, 그리고 마침기도를 유지하는 점 등 자신의 본래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어느 정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수도자 전통의 틀을 수용하였다. 1주간 주기의 시편 읽기나 밤기도, 저녁기도 때의 연속적인 시편 낭송은 고유한 수도 전통에서 채택된 요소로 이후에도 변함없이 로마 성무일도의 특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한편, 이 시기의 성무일도는 다양하고 복잡한 봉사자들의 협력이 필요한 ‘예식 거행’이었다. 주교와 사제를 중심으로 하는 집전자와 성가대, 독창자, 독서자, 그 밖에 다양한 직무자들과 참여자들의 존재와 음악적 요소들은 성무일도의 공동체성을 잘 드러내며, 성무일도가 개인기도화가 되기 이전의 이 기도의 본래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8-9세기의 성무일도에서 나타난 공동체적 거행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다시금 그 중요성을 재발견하고, 신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면서 강조한 “교회 곧 온 신비체의 목소리(「전례 헌장」 99항)”로서의 기도의 전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다른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사제들의 공동체 삶을 전제로 거행되던 이 시기 성무일도의 구성 요소가 사목자의 삶이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가운데서도 20세기까지 그대로 이어져옴을 발견하면서, 이후 제기될 사목자의 영적 양식으로서의 ‘교회의 기도’의 한계도 미리 예견하게 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Roman Liturgy of the Hours, a cornerstone in the daily rhythm of Catholic prayer. And it reflects Jesus’ teachings on incessant prayer (Luke 21:36) and persistent prayer (Luke 18:1).
The study traces the liturgy’s origins back to the 5th and 6th centuries where an era was not well-documented, leading to its consolidation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as a mixture of Roman and Benedictine traditions.
This synthesis is clear evidence in the structure of the liturgy reconstructed from the writings of Bishop Amalarius in the 8th century of the Carolingian dynasty. And its structure included key elements like morning and evening prayers, night prayers recommended for priests, additional daytime prayers, and monastic elements like the little hours and concluding prayers.
The Roman-Benedictine Liturgy of the Hours retained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its Psalm arrangement and the absence of hymns, while integrating monastic practices like weekly Psalm recitation cycles and continuous Psalmody in evening and night prayers. These features have remained characteristic of the Roman Liturgy of the Hours. The liturgy in this era was a complex ritual requiring collaboration from various ministers, including bishops, priests, choirs, soloists, readers, and other participants. This communal aspect, along with musical elements, highlights the communal nature of the liturgy before it evolved into a more private form of pray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mmunal nature of the 8th and 9th century Liturgy of the Hours, aligning with the Second Vatican Council’s rediscovery of its importance and emphasis on lay participation as “the voice of the Church as the entire holy body”(Sacrosanctum Concilium 99).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s the challenges in the spiritual formation of clergy as the components of this liturgy, originally intended for a communal clerical life, continued unchanged into the 20th century amidst increasing complexity and diversity in pastoral lif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