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부가가치세 면세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Value Added Taxes Exemption System in Korea
부가가치세는 재화 또는 용역의 생산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부가가치를 과세대상으로 하여 부과하는 조세이다.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모든 재화나 용역의 소비행위에 대하여 매기는 일반소비세로서 개별소비세인 특별소비세와 함께 세수의 안정적 확보를 가져왔다.
부가가치세의 도입으로 기존의 복잡한 세목을 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인 특별소비세로 간소화하여 경제활동 및 행정능률을 높이고, 세금계산서 발급을 통해 거래가 양성화되어 탈세방지 및 공평과세를 실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세부담 역진성의 문제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면세제도를 적용하게 되었다. 면세제도는 저소득층의 세 부담을 완화하고, 최종 소비자에게 세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서민 생활의 기초 생필품이나, 의료보건과 같은 국민 후생용역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면세범위는 상당히 폭넓게 적용되고 있어 OECD의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그 범위가 넓으며,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에 맞추어 마땅히 과세전환 되어야 할 분야가 있음에도 강력한 조세저항으로 인해 면세를 유지하고 있어 부가가치세 면세제도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사항이 필요하다.
A value added tax (VAT) is a tax imposed by the value-added at each stage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or services subject to tax.
In principle, a VAT, is a general consumption tax for pricing on consumption behavior of all goods and services, has contributed to securing stable revenues with a special consumption tax.
The introduction of a VAT simplified the existing complicated indirect taxes into a VAT and a special consumption tax. It has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and economic activities. Also, it has helped to realize a fair taxation and prevention of tax evasion through issuing tax invoices.
A tax exemption system, however, was introduced to overcome reversibility problems of a tax burden.
The tax exemption system has been applied to basic necessities for the common people, and national welfare services such as medical treatments to ease the tax burden on low-income earners and alleviate the tax burden to end consumers.
The tax exemption in Korea is a wide range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of the OECD. Also, it still maintains the tax exemption for areas that ought to have a conversion of taxation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strong tax resistance.
Therefore, a reasonable improvement of the VAT exemption system is required in Korea.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