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성 향상을 위한 품질시스템 인증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방위산업체 인증체계를 중심으로 Concerning Authentication System in Defense Industries = A Study to Improve Reliance of Quality Authentication System
저자
조윤기 (국방품질관리소 대군지원, 광운대 대학원 경영학과 )
발행기관
광운대학교 디지털경영연구소(Kwangwoon University Digital Busniness Institute)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57(25쪽)
제공처
한국에서의 군수품 품질보증은 미 국방성에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소들을 체계화, 절차화하고 계약업체에 생산시 이를 준수하도록 요구하기위해 1959년 제정한 MIL-Q-9858, MIL-I-45208, MIL-STD-45662를 근간」로 하여 국방-0050-0015, 국방-0050-0029, 국방-0050-0030을 제정하여 1970년대 중반부터 적용하여 왔다. 이후 국제적인 발전 추세에 맞추어 ISO 품질시스템 규격을 모체로 하여 군수품의 특수성을 고려한 국방규격 (국방0050-9001, 9002, 9003, 9004)을 새로이 제정하여 군수품 생산 및 품질보증에 적용하고, 국방규격에서 명시된 평가 기준 요구조건에 적합한 업체에 대하여 문서로서 공인하는 국방품질시스템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자와 구매자의 신뢰의 기반하에 군수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국방분야의 품질시스템 인증 제도가 더욱 완벽하고 권위있는 제도로 발전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MIL-Q-9858, MIL-I-45208 and MIL-STD-45662 of the U.S. Pentagon established in 1959 to systemize in procedures for contracted companies to comply had formed the keynote of Defense-0050-0015, Defense-0050-0029 and Defense-0050-0030, effective since the mid 1970's, which became the ways to guarantee the qualities of military suppl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se standardizations, the Republic of Korea has newly established defense standards(Defense 0050-9001, 9002, 9003 and 9004) based on ISO in order to apply in guarantee procedures for military supplies produced as well as to keep up with the international trends.
Not only these systematic procedures in producing military supplies, the Republic of Korea also has been operating the Defense Quality Authentication System to officially certify companies that are qualified for demands in the Defense Standards.
In order to promote more development and authority in recently operated Defense Quality Authentications System on trust between supply and demand, I would like to offer other options to conside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