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중국 한적의 조선 전래 양상(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주제어
KDC
7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9(33쪽)
제공처
韓國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동쪽 바다건너에 위치해 있고 북쪽으로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어 예로부터 중국의 漢文化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른바 동아시아 ‘漢字文化圈’의 중요한 한 국가로 역사를 이어왔다. 그래서 고대 우리 선조들은 한자를 이용하여 민족문화를 창조할 때, 일찍이 다양한 중국 문헌을 참고했다. 三國, 統一新羅時代부터 우리보다 앞선 唐나라의 서적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時代에는 宋ㆍ元의 사상ㆍ문화와 함께 다량의 중국서적이 전래되었는데, 특히 儒家와 佛敎 思想이 널리 유포됨에 따라 儒家의 經典과 佛經이 다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史』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전란으로 인해 이미 없어진 전적이 당시 고려에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었는데, 이 때문에 宋朝에서 그러한 중국 서적의 복사본을 요청하자 고려왕조에서 제공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도 유교이념의 확립과 체재 정비 차원에서 다양한 서적을 수입해왔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과거 한중 양국 서적 교류의 역사가 유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적 초석을 다지는데 있어서 중국 서적의 수입은 상당히 큰 의미를 지닌다. 당시 주로 어떤 서적들의 수입에 관심을 기울였는지 시대별 전래양상을 고찰해보는 것은 오늘날 우리 문화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문헌의 전래에 대한 이해는 과거 중국문화가 해외로 전래되고 발전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중국 내 문헌에 대한 정리와 연구에도 대단히 큰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韩国地理上在中国的东面隔海相望,北面陆地相邻,自古接受中国的汉文化,成为东亚‘汉字文化圈’的重要组成国。因此,古代我们的祖先利用汉字创造民族文化的时候, 就参考了很多中国的文献。从三国、统一新罗时代开始, 就大量引进了唐朝的书籍。高丽时代,随着宋元思想、文化的传入, 大量的中国书籍也一并传入。尤其是随着儒家和佛教思想的广泛流传, 儒家经典和佛经也大量传入过来。根据《高丽史》的记载, 中国因战乱销毁的典籍,高丽当时却完好地保存着,因此宋朝向高丽要求这些中国书籍的复印本, 高丽予以提供。朝鲜时代为了儒教理念的确立和体制整备, 也大量引进和普及多种书籍。在奠定我们民族的思想和文化基石的过程中, 中国书籍的引进具有相当大的意义。考察当时主要引进了哪些书籍, 各个时代的传播情况如何, 将有助于理解我们文化的历史脉络和未来设计。这种关于文献传播的研究,不仅有助于了解古代中国文化的海外传播和发展情况, 还对中国国内文献的整理和研究具有非常大的意义。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