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각개전투(各個戰鬪)’와 ‘암중모색(暗中摸索)’: 조선 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21~2022) = ‘Engaging in Individual Combat’ and ‘Groping in the Dark’: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Early Joseon Historical Studies (2021-2022)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글은 2021~2022년에 발표된 조선 전기, 즉 조선 건국부터 임진왜란까지를 다룬 연구들을 소개하고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성과들을 정치사, 사회·경제사, 대외관계사, 사상사·문화사·과학사·기타 등 4개의 분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한편, 2021~2022년의 조선 전기 연구 동향은 ‘각개전투’와 ‘암중모색’이라는 두 단어로 규정할 수 있다. 먼저, ‘각개전투’. 최근 연구자들의 동향을 보면 집단 연구보다는 개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 연구의 장점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나 학술회의의 기획을 충실하게 하고, 연구자들이 서로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상호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암중모색’. 그 동안 조선 전기를 설명하는 데 유용했던 이론들이 이제는 더 이상 예전과 같은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여러 새로운 시도와 모색들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기존의 이론을 완전히 대체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작금의 모색들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현재에는 다소 성근 논리와 근거를 가지고 있더라도 새로운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태도, 그리고 성급함을 가지기보다 진중하게 자신의 주장을 가다듬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더보기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n over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Joseon history, which spans from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Imjin Waeran, focusing on work published from 2021 to 2022.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Joseon history between 2021 and 2022 can be encapsulated in two phrases: ‘engaging in individual combat’ and ‘groping in the dark.’ First, “engaging in individual combat” refers to the recent trend of historians tending towards individual rather than collaborative research, a shift expected to further solidify in the future.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such individual research, meticulous planning of projects and conferences is imperative. Furthermore, researchers need to take an interest in each other’s work and endeavor to engage in dialogue with each other.
      Next, ‘groping in the dark’ characterizes the challenges posed by the diminishing efficacy of formerly relevant theories in explaining the history of early Joseon. Although a variety of novel attempts and inquiries have been sporadically launched, such efforts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o supplant existing theories. To encourage the potential of current explorations to come to fruition, keeping an open mind towards new perspectives is essential, even when their logic and evidence have yet to proceed beyond the rudimentary stage. In addition, this requires a commitment to the painstaking work of honing evolving arguments, no matter how tempting it is to succumb to impatience.

      더보기
      • 1 도현철, "훈민정음의 창제와 유교 교화의 확대" 국학연구원 (194) : 89-112, 2021
      • 2 정다함, "해방 이후 고려·조선시대사 연구에서의 관료제설, 막스 베버, 그리고 유교적 전통의 트랜스내셔널한 발명" 역사문제연구소 (137) : 6-45, 2021
      • 3 권내현, "한국사 교과서 조선시대 신분제 서술의 함의와 오류" 역사교육학회 (81) : 171-200, 2022
      • 4 김보정, "태종 7년 문과 중시(重試) 책문과 변계량의 대책" 포은학회 30 : 281-306, 2022
      • 5 나수지, "태인 고현향약의 성립과 운영 주체" 인문학연구소 (33) : 5-24, 2022
      • 6 나영훈, "총론: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학회 (144) : 7-36, 2021
      • 7 정해은, "징비록의 서술 중점과 후대 영향력" 한국국학진흥원 (46) : 175-210, 2021
      • 8 강문식, "집현전(集賢殿)의 학풍과 학술 활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3) : 35-61, 2021
      • 9 구만옥, "집현전(集賢殿)의 조직과 운영 체계" 인문학연구원 78 (78): 163-203, 2021
      • 10 김경래, "중종대 기묘사림의 왕실 혼례 개혁안과 ‘祖宗之法'" 한국학연구소 (62) : 421-445, 2021
      • 11 신윤호, "조선초기 전라우도 수군진 설치 및 연혁 검토 -목포진·전라처치사영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79) : 69-93, 2022
      • 12 김정웅, "조선초기 수호군에 대한 연구" 육군군사연구소 (153) : 35-70, 2022
      • 13 박윤미, "조선초기 국가의례 정비와 『가례(家禮)』" 태동고전연구소 47 : 71-96, 2021
      • 14 이지훈, "조선초기 개월법(箇月法) 성립과 관원 연공평가체계 형성" 한국역사연구회 (126) : 203-244, 2022
      • 15 박진훈, "조선초기 감옥 제도의 정비와 그 운영" 연세사학연구회 50 : 59-98, 2022
      • 16 이지훈, "조선초기 都目의 의미와 활용" 조선시대사학회 (101) : 7-45, 2022
      • 17 허서연, "조선초기 新樂 제정과 고제 ‘鄕樂’의 구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8 : 2022
      • 18 서민주, "조선초기 承文院의 관제 변화와 운영" 고려사학회 (88) : 89-135, 2022
      • 19 김동영, "조선초기 奉常寺의 업무와 官制 운영 실상" 고려사학회 (88) : 137-172, 2022
      • 20 이종봉, "조선초기 『新編集成馬醫方』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124) : 125-172, 2022
      • 21 이종서, "조선초 정도전의 공적과 과오 규정" 한국역사연구회 (122) : 175-207, 2021
      • 22 송종호, "조선초 왜구의 퇴조와 조선 조정의 ‘회유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396년(태조 5년) 나가온 왜구 집단의 투항과김사형의 이키・대마도 정벌군 출진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8) : 251-298, 2022
      • 23 김윤정, "조선초 관복제 정립과 禮의 법제화" 연세사학연구회 50 : 99-134, 2022
      • 24 황인규, "조선초 幸浩와 德源君의 선운사 중창" 전북사학회 (64) : 101-124, 2022
      • 25 김현지, "조선중기 贈諡 제도의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99) : 173-203, 2021
      • 26 정해득, "조선중기 心畫論의 擡頭와 그 영향" 조선시대사학회 (99) : 143-172, 2021
      • 27 임선빈, "조선전기 황맹헌黃孟獻의 생애와 관직활동" 한국국학진흥원 (49) : 43-77, 2022
      • 28 양정필, "조선전기 정부의 제주도 출륙 포작인 인식과 정책 -포작인의 난민적 성격을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67) : 201-234, 2021
      • 29 정연주, "조선전기 장악원의 역할과 위상" 고려사학회 (88) : 43-88, 2022
      • 30 김충현, "조선전기 수릉제도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국학진흥원 (46) : 139-174, 2021
      • 31 탁효정, "조선전기 능침사의 설치와 변화 - 서울 지역 능침사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45) : 135-162, 2022
      • 32 소순규, "조선전기 공노비의 選上 入役 규정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90) : 195-226, 2021
      • 33 감병훈, "조선전기 경상우병영의 설치와 이설" 민족문화연구소 (79) : 175-210, 2021
      • 34 김일우, "조선전기 金淨 著 「濟州風土錄」의 수록내용 성격과 가치" 역사연구소 (103) : 75-103, 2021
      • 35 이건희, "조선전기 議政府 堂下官의 구성과 운영 변화" 고려사학회 (88) : 7-42, 2022
      • 36 이정일, "조선의 對일 전략에 대한 일고찰 : 일본군의 남해안 철수 직후(1593.07~1594.02)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4) : 179-214, 2021
      • 37 강문식, "조선시대 학자들의 정몽주 인식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47) : 105-125, 2021
      • 38 심재우, "조선시대 유배제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 도서문화연구원 (58) : 41-70, 2021
      • 39 박현순, "조선시대 식년문과의 성격 변화" 민족문화연구원 (97) : 153-186, 2022
      • 40 한형주, "조선시대 선잠 의례의 동선과 제단의 크기" 한국여성사학회 (36) : 169-198, 2022
      • 41 한상권, "조선시대 사송(詞訟)의 공정성과 송관(訟官)의 역할" 인문학연구원 79 (79): 7-43, 2022
      • 42 문광균, "조선시대 軍器寺의 직제 변천과 西班職化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103) : 9-46, 2022
      • 43 이왕무, "조선시대 軍器寺의 火器 제조와 관리" 조선시대사학회 (103) : 109-143, 2022
      • 44 김성희, "조선시대 賓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학회 (144) : 141-178, 2021
      • 45 차인배, "조선시대 治盜刑과 亂杖의 유래" 호남사학회 (82) : 115-140, 2021
      • 46 박미선, "조선시대 嘉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학회 (144) : 81-140, 2021
      • 47 신진혜, "조선시대 吉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학회 (144) : 37-80, 2021
      • 48 김동근, "조선시대 凶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학회 (144) : 179-212, 2021
      • 49 허준, "조선(朝鮮) 중종대(中宗代) 기신재(忌晨齋) 혁파 논의의 정치적 의미" 역사실학회 (78) : 139-171, 2022
      • 50 소순규, "조선 태종대 미곡 확보 정책과 戶給屯田制의 시행" 역사연구소 (104) : 1-44, 2021
      • 51 소순규, "조선 태종대 경상·전라도 조운제 정비의 재정사적 고찰" 역사학회 (253) : 107-141, 2022
      • 52 박용국, "조선 초중기 진주 동면의 右族 거주 里坊에 대한 연구" 영남문화연구원 (81) : 169-203, 2022
      • 53 서은혜, "조선 초기 천문의기 제작에 사용된 주척(周尺)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23) : 139-170, 2022
      • 54 강제훈, "조선 초기 종묘 親享儀의 禮樂 구성" 고려사학회 (86) : 117-159, 2022
      • 55 이민우, "조선 초기 조용조에 대한 이해와 부세제도 개혁의 방향" 수선사학회 (79) : 1-36, 2022
      • 56 양정필, "조선 초기 제주도 목축업의 위기와 ‘牛馬賊’ 사건" 효원사학회 61 : 135-168, 2022
      • 57 조용철, "조선 초기 비태조계 왕실 구성원의 형성과 활동 ‐도조·환조계 후손을 중심으로‐" 국립고궁박물관 (14) : 163-196, 2021
      • 58 양혜원, "조선 초기 궁궐 사찰 ‘내원당(內願堂)’의 설치와 변동" 한국사상사학회 (69) : 87-129, 2021
      • 59 최상일 ; 최지우 ; 백승민 ; 예홍진 ; 이상국, "조선 초기 관료의 관청이동을 통해 본 주요 통치기구의 위상 — HAVNet 자료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75) : 123-145, 2021
      • 60 윤승희, "조선 초기 賜賻·賜諡·賜祭儀禮와 明禮의 영향" 한국학연구소 57 : 69-104, 2022
      • 61 허대영, "조선 초기 大閱의 정립과진법훈련의 변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22) : 161-203, 2022
      • 62 장래건, "조선 초기 圓壇祭 시행의 난제와 독자 왕조의 의례 모색"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8 : 2022
      • 63 이종봉, "조선 초기 『新編集成牛ㆍ馬醫方』 편찬배경과 찬자" 부산경남사학회 (121) : 231-268, 2021
      • 64 김윤주, "조선 초기 ‘조선 건국’에 대한 역사 인식의 형성과 추이" 한국사학회 (142) : 5-42, 2021
      • 65 한윤희, "조선 초 피로인 송환에 관한 한 연구 -나카무라 히데다카(中村栄孝)의 <해구(海寇)에서 해상(海商, =평화로운 통호자)으로의 전환>설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8) : 181-227, 2021
      • 66 박선경, "조선 초 승려 참여기구의 운영 변화" 한국국학진흥원 (47) : 45-77, 2022
      • 67 한희숙, "조선 초 세종 후궁 惠嬪 楊氏의 생애와 忠節이미지" 조선시대사학회 (96) : 7-41, 2021
      • 68 한희숙, "조선 초 궁녀 조두대의 생애와 女謁" 고려사학회 (87) : 145-175, 2022
      • 69 윤승희, "조선 초 迎勅儀禮의 성립과정과 그 특징" 역사문화연구소 (81) : 75-102, 2022
      • 70 오세현, "조선 중기 鄭汝昌 가문의 宗統 논쟁과 인적네트워크" 경남문화연구원 (75) : 1-35, 2022
      • 71 계승범, "조선 전기 홍경주의 정치활동" 한국계보연구회 11 : 2021
      • 72 한성주, "조선 전기 초피 생산과 유통" 전북사학회 (66) : 91-120, 2022
      • 73 김가람, "조선 전기 유교식 불효의 출현 - 성종 대 이심원 불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71) : 199-232, 2022
      • 74 한효정, "조선 전기 소송 청탁과 처벌 개인 일기와 결송입안(決訟立案)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9 (79): 79-119, 2022
      • 75 한효정, "조선 전기 사망한 남편 재산에 대한 처의 권한-부부재산제의 관점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2) : 7-42, 2022
      • 76 황현정, "조선 전기 불사 후원과 후원자 양상: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5 (25): 79-116, 2022
      • 77 김우진, "조선 전기 軍器寺의 冷兵器 제작과 관리-弓矢類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3) : 79-108, 2022
      • 78 권내현, "조선 전기 對明使行과 平安道의 護送・運送 부담" 역사연구소 (106) : 1-34, 2022
      • 79 임학성, "조선 전·후기 섬에 대한 인식 및 정책 변화 양상 -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16) : 143-172, 2022
      • 80 강제훈, "조선 세종조의 國家禮 정비와 五禮의 성립" 고려사학회 (82) : 97-138, 2021
      • 81 김순남,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75) : 145-178, 2021
      • 82 한성주, "조선 세조대 여진 정벌과 홍윤성의 활동" 강원사학회 (39) : 135-162, 2022
      • 83 신동훈, "조선 성종대 교관직 운영과 교수․훈도의 분화" 역사실학회 (78) : 105-137, 2022
      • 84 임선빈, "조선 선조대 이산보의 관직생활" 청계사학회 23 : 2021
      • 85 장정수, "조선 선조대 束伍軍의 편성과 明 鍊兵敎師의 역할" 조선시대사학회 (100) : 231-282, 2022
      • 86 김화선, "조선 금속활자 인쇄술의 백미(白眉) “갑인자”에 대한 평가의 의미 재고(再考)" 한국과학사학회 44 (44): 531-563, 2022
      • 87 신유아, "제5차 교육과정 ‘국사’의 내용편제와 서술방향-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역사와교육학회 (33) : 81-113, 2021
      • 88 김한신, "정탁과 유성룡의 교유와 전란기 대책 강구" 부산경남사학회 (124) : 173-203, 2022
      • 89 이욱, "정유재란기 구례 의병의 활동과 그 기억 전승" 남도문화연구소 (47) : 147-175, 2022
      • 90 노영구, "정유재란 시기 전라도 지역 일본군 동향과 조선의 대응" 전북사학회 (65) : 67-100, 2022
      • 91 서은혜, "정난(靖難)의 변과 조선·명 관계의 반전(反轉)" 중앙사학연구소 (56) : 107-144, 2022
      • 92 김문자, "임진전쟁기의 일본자료 연구 -모리게(毛利家)문서의 자료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44) : 95-122, 2021
      • 93 김한신, "임진전쟁기 조선조정의 對明 일본재침 경보와 양국 공조" 역사학회 (253) : 185-230, 2022
      • 94 김경록,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학회 (139) : 105-134, 2022
      • 95 김경록, "임진전쟁기 명의 참전과 전쟁전략" 부경역사연구소 (50) : 5-36, 2022
      • 96 정수환, "임진전쟁과 일상, 기록 그리고 텍스트 검토" 한국사학사학회 (44) : 5-35, 2021
      • 97 김경태, "임진전쟁과 여성의 삶 - '쇄미록'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78) : 75-144, 2022
      • 98 김경록, "임진전쟁 초기 선조의 전쟁인식과 播遷논쟁" 민족문화연구원 (92) : 243-273, 2021
      • 99 이성임, "임진왜란기 해주 오씨 집안의 官屯田과 차경지 경작-吳希文의『瑣尾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1) : 81-113, 2022
      • 100 이정일, "임진왜란기 조선의 對일 공수(攻守) 방안 -전쟁 발발부터 1596년 9월 강화협상 결렬까지를 중심으로-" 백산학회 (124) : 287-314, 2022
      • 101 이왕무, "임진왜란기 안동 지역 지방관과 官軍의 전쟁 수행" 민족문화연구원 (91) : 163-189, 2021
      • 102 장준호, "임진왜란기 문경聞慶의 의병義兵 활동과 지역의 동향動向" 한국국학진흥원 (44) : 229-264, 2021
      • 103 신진혜, "임진왜란기 경상도지역 사족의 상,제례 시행양상과 의미" 한국국학진흥원 (47) : 147-184, 2022
      • 104 허준, "임진왜란과 민족 구성원의 확대 - 왜란기 降倭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49) : 185-213, 2021
      • 105 김재천, "임진왜란 중 정문부의 이원적 지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65-81, 2021
      • 106 이정일,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대일 육상 전력 강화-1596년 강화협상 결렬 전후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76) : 211-254, 2022
      • 107 한성일, "임진왜란 시기 수군 동원 방식의 실태와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51) : 313-362, 2022
      • 108 이조희, "임진왜란 시기 『 紀效新書』의 전래와 軍事上의 변화" 한국학연구소 (63) : 229-252, 2021
      • 109 김경수, "임진왜란 기 ‘이몽학의 난’에 대하여" 한국사학사학회 (46) : 131-163, 2022
      • 110 장준호, "임진왜란 개설서의 사학사적 검토 — 『한국사』12(1977)와 『한국사』 29(1995)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84) : 266-295, 2021
      • 111 방기철, "이순신(李舜臣)의 군령(軍令) 운용 연구" 한국사연구회 (192) : 91-119, 2021
      • 112 정현창 ; 김병인, "을묘왜변의 제주성전투 연구: 사찬자료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25 (25): 147-184, 2022
      • 113 김기둥, "을묘왜변 전후 제주도(濟州島)의 방어태세" 역사실학회 (79) : 95-129, 2022
      • 114 한지희, "예종 계비 안순왕후의 위상 변화와 훈척 청주 한문" 한국국학진흥원 (44) : 191-228, 2021
      • 115 김지영, "예교의 확산과 풍속 서술의 변화 -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 읍지 풍속 기술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0) : 157-196, 2022
      • 116 김창회, "연산군대 금표 설치와 경기의 농산물 유통" 한국역사연구회 (121) : 103-136, 2021
      • 117 신동훈, "연산군대 금표 설치와 강무장 확대의 영향" 인문학연구원 (48) : 205-237, 2021
      • 118 신동훈, "연산군代 禁標의 설치와 도성 경관의 변화"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1) : 129-169, 2021
      • 119 김경태, "역사와 담론" 호서사학회 2021
      • 120 이정철, "여행일기, 일기의 등장- 15세기 후반 일기체 기록의 등장에 대해서 -" 영남문화연구원 (76) : 7-30, 2021
      • 121 이규철, "세종의 정벌은 정당한 전쟁이었는가―피해자와 가해자의 전도(顚倒)" 역사문제연구소 (138) : 279-304, 2022
      • 122 전용훈, "세종시대 역법 연구와 실용: 중국 역일과 서울 지방시의 결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35-60, 2021
      • 123 김진곤, "세종대(世宗代) ‘수차(水車)’ 도입 논의를 통해 본 15세기 중화 문물의 수용 문제" 한국역사연구회 (123) : 103-138, 2022
      • 124 문중양, "세종대 척도의 탄생 ; 주척과 황종척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96) : 239-267, 2021
      • 125 염정섭, "세종대 권농 실시와 농법 정리의 의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33, 2021
      • 126 정다함, "세종 성군 논란을 통해 본 뉴라이트 역사인식의 확산과 한국사 연구의 ‘탈식민’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135) : 230-268, 2021
      • 127 남동신,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국립중앙박물관 (101) : 12-47, 2022
      • 128 박도식, "세조의 오대산 상원사 거둥과 만과봉"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45 : 2022
      • 129 양혜원, "세조대 불교적 異跡의 시작, 『觀音現相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1) : 1-33, 2022
      • 130 이정주, "세조 후반기 순행과 불교" 역사연구소 (105) : 41-64, 2022
      • 131 김영두, "세조 정권 비판의 상징적 인물로서 김시습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연구" 한국사학회 (148) : 37-74, 2022
      • 132 최영호, "세조 때 밀양 만어사에서 조성된불교기록유산의 역사·문화적인 성격"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9 (39): 197-219, 2021
      • 133 이상민, "성종대 관원의 치안책임 강화와 유교적 규범 제도화" 연세사학연구회 50 : 135-176, 2022
      • 134 김경록, "선조초반 私印朝報사건을 통해 본 정치상황과 朝報정책" 온지학회 (67) : 197-233, 2021
      • 135 장정수, "선조대 조선의 對여진 征討와 그 실상―李廷龜의 箚子⋅獻議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94) : 287-324, 2022
      • 136 소순규, "사회경제사로 윤색된 뉴라이트 ‘유교망국론’―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의 노비제론 비판" 역사문제연구소 (136) : 282-319, 2021
      • 137 김철웅, "변계량의 사상과 도교 인식" 한국국학진흥원 (46) : 111-137, 2021
      • 138 이익주, "무학 자초의 정치 활동에 대한 재검토 - 한양 천도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85) : 83-109, 2021
      • 139 조일수, "몽골 제국의 유산으로서의 조명관계(朝明關係)와 중화주의 문제 재고(再考)" 역사학회 (256) : 139-176, 2022
      • 140 이재경, "명대 고려⋅조선에 대한 詔書 반포와 그 추이 - 洪武 연간에서 임진왜란 이전까지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8) : 185-223, 2022
      • 141 김경태, "동경대학(東京大學) 사료편찬소(史料編纂所) 소장 「사료고본(史料稿本)」의 임진왜란 초기 서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연구회 (194) : 173-219, 2021
      • 142 김문자, "도요토미(豊臣)정권의 의료정책 -임진전쟁과 의료문제-" 한일관계사학회 (72) : 3-42, 2021
      • 143 신동원, "당대인의 관점으로 세종시대 과학 읽기―‘천하 속의 동국, 동국 속의 천하’ 선언" 역사문제연구소 (140) : 470-502, 2022
      • 144 정재훈,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의 학문과 사상" 대구사학회 149 : 43-70, 2022
      • 145 최봉준, "기우제 관련 색인어를 통해 본 조선초기 용신신앙과 기우제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71) : 99-132, 2022
      • 146 이종수, "구례 화엄사 의승병의 구국 활동과 사찰 재건" 남도문화연구소 (47) : 177-207, 2022
      • 147 최종석, "교과서 구성 틀로서 ‘조선 초기 자주적 민족문화의 발전’과 그 비판" 역사교육학회 (80) : 105-149, 2022
      • 148 양정현, "공간의 연결 - 15~16세기 조선의 역제(驛制)를 통한 도로 체계의 실현 구조 -" 한국사연구회 (198) : 69-116, 2022
      • 149 김지영, "경쟁하는 두 왕조_조선 국왕의 개성 행행 의례와 ‘문명지치’의 약속" 서울학연구소 (86) : 115-141, 2022
      • 150 장지연, "개성 기행문을 통해 본 16세기 정치 개혁과 개성 이미지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86) : 143-175, 2022
      • 151 김학수, "龜巖 李楨의 인적 네트워크 - 지식문화적 교유망과 ‘龜巖學統’의 實際 -" 퇴계학연구원 (152) : 201-256, 2022
      • 152 강문식, "金正國의 性理書 편찬과 그 특징 - 『性理大全書節要』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00) : 115-156, 2022
      • 153 최민규, "金正國의 性理書 편찬과 그 특징" 조선시대사학회 100 : 2022
      • 154 이인복, "金宇顒의 「經筵講義」의 저술과 특징" 조선시대사학회 (99) : 205-237, 2021
      • 155 임경준, "近世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와 ‘全鰒’의 길 -元明交替期의 濟州島 특산물의 교역과 진상-"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0) : 85-114, 2021
      • 156 오세현, "貞武公 吳定邦 가문의 형성과 畿湖 학계에서의 역할과 위상" 한국계보연구회 11 : 2021
      • 157 송웅섭, "親政 초반 성종의 왕권에 대한 검토 - ‘戊戌之獄’을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46 : 145-174, 2021
      • 158 오경후, "穌齋 盧守愼의 佛敎認識과 禪學" 한국역사민속학회 (61) : 67-94, 2021
      • 159 이민웅, "武毅公 李純信의 임진왜란 시기 활약상"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35 : 2021
      • 160 차미희, "栗谷 李珥의 九度狀元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43 : 39-71, 2022
      • 161 장동표,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효원사학회 60 : 163-202, 2021
      • 162 장희흥, "朝鮮 成宗~燕山君代 輪對制의 定着과 運營" 탐라문화연구원 (66) : 5-37, 2021
      • 163 장희흥, "朝鮮 中宗~宣祖代 輪對制의 변동과 운영" 탐라문화연구원 (71) : 169-206, 2022
      • 164 김봉곤, "朔寧崔氏 通禮公派의 형성과 崔尙重家의 畿湖學界 내의 역할" 한국계보연구회 11 : 2021
      • 165 임현채, "壬辰倭亂期 豊臣政權의 權威 - 히데요시의 天皇·天子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사학회 (44) : 67-94, 2021
      • 166 김경래, "中宗代 議政府署事制 복구 논란과 ‘祖宗之法’" 조선시대사학회 (103) : 175-215, 2022
      • 167 유연성, "『해동제국기』의 군사적 성격 고찰" 전북사학회 (61) : 117-144, 2021
      • 168 소순규, "『세종실록지리지』 해도 기술 원칙과 우산·무릉도 기사의 재검토" 동북아역사재단 (24) : 7-49, 2022
      • 169 김문식, "『금석집첩』의 왕실 자료와 태조 이성계의 행적" 민족문화연구원 (96) : 51-80, 2022
      • 170 김보정, "『경상도지리지』와 15세기 경상도 지역의 인구동향" 한국민족문화연구소 (81) : 217-255, 2022
      • 171 구만옥, "[기획] 조선 초기 물시계의 제작과 운용에 대한 재검토" 한국과학사학회 44 (44): 709-744, 2022
      • 172 전용훈, "[기획] 세종 시대 서울 기준 시각법의 성립과 그 의의" 한국과학사학회 44 (44): 677-707, 2022
      • 173 김경록, "<홍순언 이야기>를 통해 본 조선의 임진전쟁과 외교" 온지학회 (73) : 183-213, 2022
      • 174 정해은, "2015 개정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여성사 서술 분석" 역사교육연구회 (160) : 37-70, 2021
      • 175 조성산, "2000~2021년 조선시대사 박사학위논문 분석" 수선사학회 (82) : 67-122, 2022
      • 176 나영훈, "16세기말 영남 관료 李庭檜의 인적 교류와 同官契의 실제" 대동문화연구원 (118) : 313-349, 2022
      • 177 정두영, "16세기 후반 조선학계의 양명학 비판론과 문묘제도 개정 논의" 역사실학회 (76) : 39-73, 2021
      • 178 이동인, "16세기 화담 서경덕의 교유 인물" 한국역사연구회 (124) : 279-316, 2022
      • 179 이동인, "16세기 화담 서경덕과개성문인의 사회적 조건" 조선시대사학회 (103) : 217-254, 2022
      • 180 김가람, "16세기 초 유교식 효행의 변화 -문소전의 장순왕후 신주 도난 사건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61) : 97-130, 2021
      • 181 최종석, "16세기 중엽 순창 향리사회의 城隍大神事跡 현판 제작의 배경과 과정" 한국학연구소 (67) : 461-487, 2022
      • 182 장래건, "16세기 조선 지식인 宋翼弼의 주거지 선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9) : 165-191, 2022
      • 183 박도식, "16세기 전반기의 경제상황과 어촌 심언광의 절검론" 강원사학회 (38) : 73-108, 2022
      • 184 박도식, "16세기 전반기의 士習과 어촌 심언광의 士習論" 역사문화학회 25 (25): 7-48, 2022
      • 185 이인복, "16세기 일기체 경연 기록의 등장" 대구사학회 147 : 1-33, 2022
      • 186 이성임, "16세기 양반의 稱念 수수와 그 인적 배경" 수선사학회 (82) : 293-330, 2022
      • 187 이동인, "16세기 서기(徐起)의 학문적 다양성" 한국사상사학회 (67) : 279-316, 2021
      • 188 김학수, "16세기 사림파 관료 손중돈의 경세관과 학풍" 한국계보연구회 11 : 2021
      • 189 김경옥, "16세기 노수신의 珍島 유배생활과섬 주민에게 끼친 영향" 도서문화연구원 (58) : 9-40, 2021
      • 190 전상욱, "16세기 강원도지역 공납제 운영" 강원사학회 (38) : 109-133, 2022
      • 191 소순규, "16세기 貢納制 운영 변화의 구조적 원인과 배경" 대동문화연구원 (117) : 171-206, 2022
      • 192 이상민, "15세기 초 율문 교육과 형률적 교화 모색" 역사학회 (253) : 143-183, 2022
      • 193 구도영, "15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조선의 마미군 패션, 그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 수선사학회 (80) : 169-204, 2022
      • 194 정일태, "15세기 전반 내금위(內禁衛)의 처지 변화와 계유정난(癸酉靖難)의 발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8) : 157-183, 2022
      • 195 한정훈, "15세기 전라도 조운선의 침몰과 그 대책" 호남사학회 (86) : 43-73, 2022
      • 196 백승아, "15세기 유향소 복립 논의를 통해 본 지방통치 방식의 특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5) : 37-71, 2021
      • 197 손성필, "15세기 강진 무위사의 국가적 위상 - 승정체제의 개혁, 운용과 관련하여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5) : 31-75, 2022
      • 198 조형근, "15세기 致賻法 제정과 종이 賻物의 의미" 역사문화학회 24 (24): 215-244, 2021
      • 199 김강식, "15∼16세기 朝鮮과 琉球의 해역 이동"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4) : 1-34, 2021
      • 200 김선기, "15~16세기 조선의 지정 사찰운영과 賦稅" 조선시대사학회 (100) : 77-113, 2022
      • 201 김성우, "15~16세기 인재의 府庫, 선산" 대구사학회 143 : 45-86, 2021
      • 202 양흥숙, "1541년 두 ‘倭變’과 ‘辛丑禁條’" 한일관계사학회 (71) : 285-324, 2021
      • 203 김선기, "15-16세기 조선의 度僧制 운영과 役僧" 수선사학회 (79) : 37-69, 2022
      • 204 이태훈, "14세기 후반 대일 외교사절로 본 한일관계" 조선통신사학회 31 :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