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지광』에 나타난 농촌문제 -편집인 김동혁을 중심으로- = Agrarian Question in Joseonjigwang: Focusing on the Editor, Kim Dong-hyu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1-143(33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1920년대 농촌문제 담론의 다각적 형성을 종합잡지 『조선지광』 편집인 김동혁(金東爀, 1891~1936)의 농촌문제 기사를 통해 알아본다. 기존 연구가 사회주의와 非사회주의의 대립에 초점을 두고 1920년대 농촌 담론을 정리했다면,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경제 사상이 상호 수용 및 비판적인 관계에 놓인 가운데 김동혁의 농촌 담론이 형성되는 모습을 살핀다. 특히 사회주의 성격의 『조선지광』 편집인 김동혁이 당시 신자유주의자로 불린 일본의 경제학자 우에다 테이지로(上田貞次郞)나 이타니 젠이치(猪谷善一)나 국가의 관점에서 농촌문제를 바라본 일본의 농정정책학자 나스 히로시(那須皓)의 글에 영향을 받은 점을 밝히고 그 의미를 논한다. 『조선지광』 속에서 김동혁과 그의 농촌문제 담론은 사상의 다각적 융합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을 파악한 것이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This article examines the multifaceted formation of rural discourse in the late 1920s through the rural affairs articles of Kim Dong-hyuk (金東爀, 1891-1936), editor of the colonial Korean magazine Joseonjigwang. Whereas previous studies have organized rural discourse in the 1920s by focusing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socialism and non-soci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Kim’s rural discourse in the context of mutual acceptance and critic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ocioeconomic ideas. In particular, it reveals the ways in which Kim Dong-hyuk, editor of the socialist Joseonjigwang, was influenced by the writings of Japanese economists Teijiro Ueda and Zenichi Itani, who were called New Liberalists at the time, and Japanese agricultural policy scholar Nasu Hiroshi, who viewed rur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s that Kim Dong-hyuk and his discourse on rural issues were created through a multifaceted convergence of idea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