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종교문화유산의 현황과 정신적 가치 = The Status and Mental Value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 in the Honam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52(20쪽)
제공처
한국 기독교의 역사는 19세기 말 격동의 시기에 시작되었다. 서구 열강의 세력이 아시아를 잠식해 가던 시대였다. 당시 구한말의 상황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매우 혼란했고, 기존의 전통 종교가 민중들에게 삶의 활력을 부여해 주지 못했다. 한미수호통상조약(1882)이 체결된 이 후 미국 선교부는 한반도에 선교사를 파송했다. 의료 선교사 알렌(H.N. Allen)을 비롯하여 언더우드(H.G. Underwood), 아펜셀러(H.G. Appenzeller)가 들어와서 선교를 시작했다. 호남지역의 선교는 미 남장로교회 소속 7인이 선발대로 1892년 입국하여 시작되었다. 남장로교회 선교사들의 헌신으로 전라도 지역에 학교와 병원, 서양식 건축물, 및 교회가 세워졌다. 문화재청의 자료(2005)에 의하면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많은 문화유산이 호남지역에 산재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선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한국인들은 과거의 삶과는 다른 문화를 경험했고, 새로운 가치관, 인생관, 세계관의 도전을 받았다. 서양의 근대 교육은 한글, 영어, 수학, 과학, 역사, 교양, 체육 등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서구의 발달된 의료 기술이 도입되어 획기적인 질병치료가 있었으며,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학교교육으로 한글이 보급되고 문맹율이 낮아졌으며 여성 지위가 향상되었다. 또한 봉건적 인습과 폐습들이 타파되었다. 기독교의 복음(성경)은 새로운 영적 세계에 눈을 뜨게 했다. 복음을 접한 수많은 사람들이 회개하고 새로운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복음은 그들로 성경적 가치관, 인생관을 갖게 만들었다. 영적 존재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했고 역동적인 삶을 살도록 인도했다. 여성과 아이들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으며, 민족에 대한 사랑이 민족 자존과 독립을 지향하게 했다.
더보기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began during a period of turbulence in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the time when Western powers were encroaching on Asia. The situation at the time was very confusing in the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realms, and traditional religions were not providing vitality to people’s lives. After the Korea-U.S. Security Treaty (1882) was signed, the American Mission sent missionaries to the Korean Peninsula. Medical missionaries H. N. Allen, H. G. Underwood, and H. G. Appenzeller came to Korea and began their mission. Missionary work in the Honam region began with the arrival of seven missionaries from the American South Presbyterian Church in 1892. Through the dedication of these missionaries of the South Presbyterian Church, schools, hospitals, western-style buildings, and churches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Jeolla province. According to the data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5), there are many more cultural heritages throughout this region compared with other regions. Through the devoted efforts of the missionaries, Koreans experienced different cultures from the ways of their past life and were challenged by new values, life experiences, and world views. Western modern education addressed the various fields of life such as Hangul, English, mathematics, science, history,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and arts. With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y from the West, groundbreaking disease treatments were achieved, resulting in remarkable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fe. Education in schools helped to spread Hangul, lower the illiteracy rate, and improve the status of women. Also, feudal conventions and invasions were overcome. The Christian Gospel (Bible) opened the people’s eyes to a new spiritual world. Numerous people who had encountered the Gospel repented and began to lead new lives. The Gospel gave them Biblical values and views of life. It led to a renewed awareness of their value as spiritual beings and to live more dynamic lives. The perception of women and children changed, and the love for the nation led to national self-sufficiency and independenc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