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학 : <동동(動動)>의 한 해석 -12월령을 중심으로- = Literature : An Interpretation of Dong Dong(動動) -With a focus on the December so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3(25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고는 <동동>의 12월령에 나오는 젓가락의 의미를 살피고, 뒤에 나오는 “므□□노이다”의미를 기존의 해석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노래가 월령체 노래임을 중시하여 <동동>의 시간과 연정(戀情)의 순환적 특징을 통해 이 노래의 성격을 찾아보았다. 한국인은 젓가락을 예로부터 몸의 일부로 여겼고 전통사회에서 젓가락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중국의 거라오족의 풍습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청혼을 할 때 ‘여성의 집에 가서 젓가락을 책상위에 올려 놓는다.’라는 것이 <동동>에서 ‘소반위의 젓가락을 임 앞에 가지런히 놓다’라는 표현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장면은 화자가 젓가락을 통해 임의 의중을 살피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뒤의 절에 나온 ‘므??노이다’를 지금까지 ‘무옵니다’로 파악한 대부분의 견해보다는 ‘물리치다(退)’로 해석하였다. 이런 표현을 통해 12월의 노래는 화자가 사랑의 징표로 내민 젓가락을 임이 판단하기도 전에 제3자에 의해 거부당한 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판단했다. <동동>에는 정월에서부터 11월까지 화자가 어디에서도 임과 만나서 자신의 뜻을 보여주는 장면이 없다. 그러던 화자가 12월에 마침내 자신의 뜻을 담은 징표의 수단인 젓가락을 임께 올리며 임의 마음을 조심스럽게 묻지만, 임의 뜻을 알기도 전에 제 3자에 의해 젓가락은 치워지게 되었다. 화자는 그동안 품고 있었던 자신의 사랑을 전하며 임의 마음을 얻기 원했지만 결국 원점의 상태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화자는 또 다시 임을 향한 새로운 용기가 생기기까지 임을 그리워하고 괴로워하며 고독을 느끼는 것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동동>이 순환하는 월령체 작품임을 감안한다면, 이 노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의 무한 반복을 이야기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동동>의 화자는 고려시대 여인의 슬픈 자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This paper observes the significance of the chopsticks in the December song of Dong Dong,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hrase “meu-leu-sab-no-i-da (므□□노이다)”that comes out in the end with a different approach from previous interpretations. Also, considering that this song is a wollyeong-che-ga. we explored this song`s personality through the cyclic characteristics of Dong Dong`s time and love. Koreans have regarded chopsticks as a part of their body since long ago, and chopsticks were a symbol of wealth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 regarded the Gelao people`s custom, where a man ``goes to a woman`s house and puts chopsticks on the desk`` when he proposes to her, as being relevant to the expression ``put the chopsticks on the dining table nicely in front of my loved one`` in Dong Dong, We view this scene as the narrator trying to figure out the intention of his love using the chopsticks. Also, we interpreted ‘meu-leu-sab-no-i-da’ which appears in a later phrase as ``to repel(退)``, rather than the popular interpretation of ‘bite’. Through such expression, we believe that the December`s song depicts how the chopsticks that the narrator presents as a sign of love is rejected by a third person even before his love makes a decision. From January to November in Dong Dong, there is no scene where the narrator meets his love and reveals his heart. Finally, in December, the narrator presents the chopsticks as a symbol of his heart and cautiously asks the intention of his love, but the chopsticks are removed by a third person before he gets an answer. The narrator wanted to express his love and claim her heart, but eventually returned to the point where he began. Until he brings up a new courage toward his love, he will repeatedly yearn for his love, suffer, and feel solitude. Considering that Dong Dong is a wollyeong-che-ga that circulates, this song can be understood as an infinite repetition of longing for his love. From this perspective, the narrator of Dong Dong displays a sad self-portrait of a woman during the Goryeo dynast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44 | 1.065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