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서양 미술사에 있어서의 명화를 통한 여성 의복의 실루엣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현재 의복 실루엣과 명화를 연결시킨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서양미술사의 명화를 중심으로 한 시각적 자료를 바탕으로 19세기 여성의 의복 실루엣 다양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서양미술 및 패션 서적을 통한 문헌고찰과 인터넷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19세기 여성 의복의 실루엣 유형을 고찰한 것으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초반의 여성 로브에서 엠파이어 라인의 특징이 잘 드러난 스트레이트 실루엣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화가로는다비드, 제라르, 고야, 앵그르, 그로를 들 수 있다.
둘째, 19세기 중반에는 빈터할터, 앵그르, 도미에, 휘슬러, 바지유, 모네, 마네, 르누아르의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실루엣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실루엣 특성은 바디스는 조이고 크리놀린을 사용하여 스커트 밑단을 넓힌 아우어글라스 실루엣이다.
셋째, 19세기 후반 회화에는 여성의 힙을 강조하는 버슬 라인의 아우어글라스 실루엣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대표 예술가는 르누아르, 드가, 마네, 베로, 사전트, 쇠라, 시냐크, 로트레크, 티소 및 게르벡스이다.
넷째, 19세기 말에는 피셔, 볼디니, 베로의 작품에서 머메이드 라인의 아우어글라스 실루엣이 보여진다.
이상의 명화 작품에서 19세기에는 배럴 실루엣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스트레이트 실루엣과 아우어글라스 실루엣이 함께 혹은 시대에 따라 교차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의복의 실루엣은 시간의 진행에 따라 아우어글라스 실루엣의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향후 다른 시기의 의복 실루엣을 회화와 연결하는 미술과 의상의 융합 후속연구를 통해 관련 영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woman’s garment silhouette type focused on western famous paintings in 19th century. Accordingly, the silhouette of western woman’s costume in 19th century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visual data was collected in the western paintings publication, fashion specialty publication and internet site. The woman’s garment silhouette type alteration considered through gather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early 1800s, the conspicious characteristics of woman’s robe was straight silhouette of empire line. A representative painters are David, Gerard, Goya, Ingres and Gros.
2.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woman’s garment silhouette was considered by the paintings of Winterhalter, Ingres, Daumier, Whistler, Bazille, Monet, Manet and Renoir. In that period of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ilhouette were a definitive hourglass silhouette. The bodice were tightened and skirt hemline widely extended using crinoline as aid.
3. The woman’s garment silhouette was hourglass silhouett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silhouette emphasized the hip with bustle. A representative artists are Renoir, Degar, Manet, Beraud, Sargent, Seurat, Signac, Lautrec, Tissot and Gervex.
4.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ischer, Boldini and Beraud’s work displays the hourglass silhouette with the mermaid line.
From the results, barrel silhouette does not appear in 19th century woman’s garment. Straight silhouette and hourglass silhouette appeared on the woman’s garments. The two silhouettes were together o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ddition, as time passes it becomes ever more clear that woman’s garment silhouette type was shape of hourglass silhouett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KCI등재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