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로기구(IHO)는 기존 S-57 표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양 데이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Plug-N-Play 개념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표준인 S-100을 제안하였다. S-100은 머신 리더블 구조, 확장성, 상호운용성을 갖추고 있으나 제품표준을 개발하는 과정은 여전히 복잡하며 수작업 위주의 방식으로 인해 많은 시간과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표준개발도구가 제공되고 있지만 복잡한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의 활용성에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어 입력 기반의 자동화된 제품표준 제작 방식을 제안하였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제품표준을 정의하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통해 이를 JSON 구조로 변환하고 이 구조를 기반으로 FC(Feature Catalogue)를 자동 생성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FC를 바탕으로 PC(Portrayal Catalogue), DCEG(Data Classification and Encoding), 데이터 스키마,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생성된 결과물은 S-100 시스템에 적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으며 데이터의 가시화와 유효성 검증을 통해 자동화된 표준 제작 방식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한 절차 없이 제품표준을 직관적으로 정의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S-100 기반 해양 정보서비스의 활용성과 접근성 제고가 기대된다.
더보기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proposed the next-generation S-100 standard, based on the Plug-and-Play conce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57 standard and to enable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marine data. While S-100 offers machine-readable structures, scalability, and interoperability,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duct specifications remains complex and largely manual, often resulting in significant time consumption and human error. Although development tools are provided to support this process, their structural and functional complexity makes them difficult for users to adopt efficiently.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oposes an automated product specification generation method based on natural language input. When a user defines a product specification in natural language, a Large Language Model (LLM) is used to convert the input into a JSON structure, which is then us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Feature Catalogue. Based on the FC, additional modules were develop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Portrayal Catalogue, Data Classification and Encoding Guide, data schemas, and spatial data. The generated output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an S-100 system, and their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data visualization and validation tests. This study presents a more intuitive and streamlined approach to defining and producing product specifications, thereb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S-100-based marine information servic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