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과 공복혈당 및 총 콜레스테롤 이상 = Antipsychotics and the Abnormality of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in Schizophrenia
저자
이중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재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전정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동은 (축령복음병원) ; 신상철 (축령복음병원) ; 안준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과학교실) ; 한오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김창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41(9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Objective :The concerns about significant weight gain induced by antipsychotics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It raised an issue about the possible effect of antipsychotics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impaired fasting glucose (110mg/dl≤fasting glucose≤125mg/dl) or diabetes (fasting glucose≥126mg/dl)) in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s and also compar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between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Methods:The subjects included 76 outpatients and 109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by DSM-IV diagnostic criteria who had been taking antipsychotics regularly for at least 1 month. We measured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level after midnight NPO.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as gathered from interview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the medical records.
Results :24 of 185 schizophrenia patients (13.0%) showed abnormal glucose metabolism. 6 of 47 patients taking olanzapine (12.8%) and 2 of 34 patients taking haloperidol (5.9%) showed abnormal glucose metabolism.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higher with olanzapine than with haloperidol,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patients with olanzapine showed higher fasting glucose level than those with haloperidol.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dose and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level.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ntipsychotics. Olanzapine was more likely to raise fasting blood glucose to higher level than haloperidol.
목 적: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체중의 증가는 항정신병 약물이 당, 지질 대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정신병 약물이 당,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당대사 이상(공복혈당장애(110 mg/dl≤공복혈당≤125 mg/dl) 또는 당뇨병(공복혈당≥126 mg/dl)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항정신병 약물 종류간에 유병율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 법:항정신병 약물을 적어도 1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한,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 109명, 외래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 환자의 공복혈당 및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환자에 대한 기본정보는 환자와의 직접 면담, 보호자와의 면담, 의무기록을 통해 얻었다. 결 과:정신분열병 환자 185명 중 24명(13.0%)이 당대사 이상을 보였다.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이 약물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면 olanzapine 복용 환자의 경우 47명 중 6명(12.8%), haloperidol 복용 환자의 경우 34명 중 2명(5.9%)에서 당대사 이상을 보였다. Ola -nzapine 복용한 군이 haloperidol 복용한 군보다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공복혈당을 비교했을 때 olanzapine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haloperidol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보다 공복혈당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과 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양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결 론: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은 13.0%였다. 그리고 olanzapine을 복용한 환자군이 haloperidol을 복용한 환자군 보다 공복혈당, 신체비만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