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4(30쪽)
KCI 피인용횟수
39
제공처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다문화 담론의 내용과 그 구성방식을 밝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필자는 인터넷 공간 등에서 반다문화 담론을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반다문화주의 카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회칙과 강령, 그리고 게시판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반다문화 담론은 자본과 민족 문제는 물론이고 종교와 음모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인식공격과 희생양 만들기, 그리고 협박에 가까운 공포심 유발 등을 통해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내 반다문화 담론이 이미 인상적인 수준의 이미지의 단계를 넘어 담론과 이론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반다문화 담론의 성장은 역설적이게도 다문화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한국사회는 엄연히 존재하는 다문화란 현실을 윤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는 주류 사회와 소수자들, 그리고 다문화주 의자들과 반다문화주의자들 사이의 ‘합당한 합의’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당연히 따라야만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반다문화 담론은 그 같은 윤리적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현 시기 한국사회에 필요한 것은 한국사회가 큰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다양성의 범위와 다문화적 포용의 강도, 그리고 그것과 연계된 각종 법적·제도적 장치들에 대한 합의임을 일깨워 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반다문화 담론은 한국적 다문화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게하는 또 하나의 시발점이 된다. 즉 한국에 살고 있는 소수자들의 긴장과 불안감을 풀어주는 동시에 주류사회의 경계심과 반감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사회통합 모델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spreading in Korean society and its composition method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and analyzed the regulations, general principles, and bulletin boards of anti-multicultural cafes leading the anti-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 Internet.
Advocates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setting their territories by attacking through character assassination, making victims out of targets, and causing a sense of fear close to threat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capital and race issues to religion and conspiracy theories, which suggests that the nation’s anti-multicultural discourse has moving toward the stage of discourse and theory beyond images of impressive level. The growth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paradoxically offers a starting point for full-scale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e. In other words, Korean society has reached a point where the mainstream and minorities and those who are for multiculture and those who are against it should gather wisdom for “reasonable agreement” before the undeniable existence of multiculturality. Reasonable agreement should contain the scope of cultural diversity and degree of multicultural tolerance generally acceptably by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concerned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of all sorts.
In that aspect, anti-multicultural discourse can serve as a clue to help to resolve the anxiety and tension of minorities living in South Korea and search for effective means of social integration to eliminate the wariness and animosity of the mainstrea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