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실과 허구의 변증법 = 영화 <부러진 화살>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44(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서사적 예술에서의 의미는 두 세계들, 즉 작가가 창조하는 허구적 세계와 이해 가능한 우주인 현실의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의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특히 작가의 현실 세계와 독자의 현실 세계 사이의 관계에서 우리의 관심을 갖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김명호 전 성균관대 교수의 복직소송과 관련한 이른바 석궁테러사건을 영화화해서 세간의 화제와 함께 다양한 논쟁을 부른 정지영 감독의 영화≪부러진 화살≫을 중심으로, 서사체에 있어서 사실과 허구의 변증법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하나의 서사체의 의미를 해석하는 상이한 관점들의 작동방식, 곧 담론 형성 과정에는 어떤 이데올로기적 함의가 담겨있는가도 탐색했다. 사회적인 것과 영화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학적 변화와 텍스트적 복잡성과 연관해서 보다 광범위한 문화적 맥락을 탐구할 수 있는 장르적 개념이 필요하다. 하지만 텍스트를 어떤 하나의 장르적 특성으로만 규정하는 것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생산과 텍스트와 수용의 과정에서 어떤 의미들이 충돌하고 있는지, 또 현실에 대한 어떤 정의들이 다툼을 벌이고 있는지, 결국에는 어떤 텍스트적 의미가 관객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를 살펴 볼 수 있는 헤게모니적 관점이 보다 중요한 문제라고 보았다. 결국 문학과 영화를 비롯한 문화는 지배적인 구조의 힘과 인간의 실천의 힘이 만나 경쟁하고 투쟁하고 타협하고 갈등하는 헤게모니 장이다. 이 장에서 영화 ≪부러진 화살≫을 둘러싸고 우리 사회의 좌우논리가 대립,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의 프레임은 결국 세계를 향해 열린 창문인가, 아니면 이미지로 채워지는 공간인가의 문제, 영화의 본질적 의미를 현실의 사실적 재현에 두는가 아니면 이미지의 예술적 구성에서 찾는가에 대한 강조점의 차이다. 감독이 어떤 세계관을 갖고 작품에 임하는지도 중요한 요소이다. 정지영 감독의 경우 이미지보다는 ‘현실을 믿는 감독’이라 할 것이다. 그가 만든 영화 ≪부러진 화살≫은 영화의 본질적 의미를 현실의 사실적 재현에 두는 리얼리즘 영화로 규정할 수 있다. 그렇게 보면 이 영화가 사실인가 허구인가의 논쟁은 무의미해지고 만다. 영화는 본질적으로 허구적인 서사체-문화상품이긴 하지만, 그러나 이 영화≪부러진 화살≫의 경우 이미지보다는 사실적 재현에 충실한, 그래서 우리 사회의 진실을 담아내고 있는 리얼리즘 영화라 규정할 수 있다. 그런데 왜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영화의 담론 형성과 관련하여 사법부로 대표되는 우리 사회의 기득권 세력과 그러한 카리스마적 권위의 해체와 개인적 권리의 신장이라는 메시지를 읽어내고 이에 공감하는 관객들과의 헤게모니 장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더보기Meaning in the narrative art of the two worlds, namely the artist to create a fictional world as astronauts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the real world in terms of the function, especially in the real world of writers and read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world we are interested. In this paper, Kim Myung Ho ago Sungkyunkwan University professor reinstated a lawsuit related to the so-called Crossbow terror in the film hwahaeseo reputedly the topic with various arguments, calling Jeong, Ji - Young director of the movie "Broken Arrow", mainly in the narrative body in fact and fiction of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examined. Furthermore, the narrative of a body to interpret the meaning of works of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soon some of the ideological
discourse formation process in which the implications have also explored. How do movies like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aesthetic changes associated with the textual and the broader cultural context is needed to explore the concept of genre. However, only the text characteristics of any one genre"s also not easy to define. Therefore, this article accepts the text an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a sense that they are conflicting, and some definitions of reality that people engaged in struggle, and eventually was accepted to the audience any textual meaning you can look at how the hegemony the point was that the more important issue.
Eventually the dominant culture, including literature and film strength of the structure of human action and the strength of competition, struggle and compromise to meet the conflicting hegemonic sheet. In this chapter the movie "Broken Arrow" surround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ogic of our society depends, and will crash. The frame of the film is ultimately an open window into the world, or the space is filled with images of the problem, the film"s essential meaning is placed on realistic representation of reality,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in an artistic emphasis on finding the car. Directed to work with any view of the world map is an important element imhaneun. Jeong, Ji - Young directed the image rather than "coach believes in the reality" will be called. He made the movie "Broken Arrow" of the film is essentially a factual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the sense of realism put into a movie may be specified. Is the fact that this movie is a fictional debate become meaningless Mandawa. Essentially a fictional movie seosache-cultural products, though, but the movie "Broken Arrow" of the faithful in the image, rather than realistic representation, so we put the truth of social realism, 0 angry in pay may be specified. But why does the film claim that a movie? This articl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film discourse, as represented by the judicial powers vested in our society and the dissolution of such charisma and personal messages, read and of the right kidney of the audience to sympathize with this chapter is unfolding hegemony was due to b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