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고려 <귀호곡>과 종묘제례악 <형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Gwihogok in Goryeo Dynasty and Hyungga in Jongmyojeryeak
저자
정경란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국악원논문집(Journal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1-323(3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Gwihogok(歸乎曲) is one of Korea old traditional song(Gayo, 歌謠)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Its lyric and music have been written in Akjanggasa(『樂章歌詞』), Akhakpyungo(『樂學便考』) and Siyonghyang-akbo(『時用鄕樂譜』). This music must be handed down to some musics in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studied how Gwihogok is transmitted into Joseon music, especially in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through the comparison music of Kwihogok with those of Hyungkwang(King Sejong in Joseon) and Hyungga(King Sejo) in Jongmyojeryeak(Botaepyung). This Hyungga is passed down and performed until now. Hyunggwang was played as one of Hoyryeak which was played as ritual music when Executives gathered altogether in palace. Hyungga, which was composed in King Sejo by extracting the melody from Gwihogok and adding new lyrics on it, was played in Jongmyojerye. Hyungga is handed down as written in music score of Daeakhubo, Sogakwonbo, Siyongmubo and Akjangyoram. Similarly, It is found that Yunghwa, Youngkwan, Hyukjung and Chongyu are excerpted from Pungipsong, Seokyungbyulgok, Manjeonchun and Chongsanbyulgok, respectively in part or all. From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e origin of Hyungga from Gwihogok(Gasiri).
더보기<귀호곡(歸乎曲)>은 고려시대 작자 미상의 가요로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편고(樂學便考)』에는 가사가 전해져 오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가사와 악보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 글은 고려 <귀호곡>과 조선 세종 때의 <형광>, 세조이후 현재까지의 내려오는 종묘제례악 <보태평>중 <형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고려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까지 어떻게 전승되는지를 밝힌 논문이다.
조선 세종 때의 <형광>은 고려 때 <귀호곡>의 선율을 그대로 발췌하여 종묘와 조회에 사용하였고, 세조 때의 <형가> 역시 세종 때 <형광>의 일부 선율을 발췌한 곡이다. 고려의 <귀호곡>과 세종 때의 <형광>이 관련이 있고, 세종 때의 <형광>이 세조 때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면, 고려의 <귀호곡> 역시 세조이후 현재에도 연주되고 있는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형가>가 수록된 세조실록악보, 대악후보, 속악원보 인편과 신편, 시용무보, 악장요람, 종묘제례악(이왕직아악부, 현행) 악보와 고려의 <귀호곡>을 비교분석하여 고려의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에도 남아서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에 전승되어 연주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9 | 1.00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