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소년문예지의 문학사회학적 연구 = A Study of Literary Sociology of Youth Literary Magazines in North Jeolla Reg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79(51쪽)
제공처
이 연구는 대일항쟁기 전라북도 지역의 소년문예지에 대한 문학사회학적 접근이다. 비록 관련 자료가 부실하여 연구의 진행을 저해할지라도, 제한된 자료를 통해 소정의 성과를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자가 어린이, 신소년, 별나라, 아이생활 등을 자료로 활용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소년문예지의 전북 도내의 지사나 분사의 운영 실태에 관하여 작은 성과를 얻어냈다. 지사는 지역적 영업 구역을 바탕으로 영업의 효율성을 추구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잡지의 지사는 특정 매체의 유통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지역의 식자층을 끌어들이는 사랑방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둘째, 잡지의 독자는 어린이가 가장 많았다. 정기독자는 잡지사에서 공표한 명단 외에, 잡지사에서 주최한 각종 현상 모집에 참여한 이들을 독자로 파악하였다.
셋째, 독자들은 활발하게 자신의 의견을 우송하였다. 그것은 독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였다. 독자들은 인사말, 축사, 독후감, 부탁, 고민 상담, 안부 주고받기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편집자에게 의사를 전달하였다.
넷째, 독자들은 성장 후에 다양한 경로로 나아갔다. 그들은 보통학교 훈도, 작가, 언론인, 관리, 관변인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sociological approach to youth literary magazines in North Jeolla region during the period of Korean resistance against Japan. This researcher tried HIS/HER best to obtain a fixed amount of accomplishment from limited materials, even as the lack of related information slowed the progress of research. The results obtained by utilizing the materials on “Eorini (어린이),” “Sinsonyeon(신소년),” “Byeolnara(별나라),” and “Aisaenghwal(아이생활)” are as follows. First, a small accomplishment was made on the operation status of branches or subdivisions of youth literature magazines in North Jeolla province. Branches were established to pursue sales efficiency based on the local sales zone. But, branches of a magazine not only contributed to distributing a specific media but also played a role of reception room attracting highbrow audiences in the region. Second, of all magazines, “Eorini” had the biggest readership. Subscribers were obtained from the list announced by the magazine company, and readers were from those who participated in various contents hosted by the magazine company. Third, readers actively mailed in their opinions, claiming their just rights as reader. Readers communicated with editors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sending in greetings, congratulatory remarks and book reports, seeking advice for problems, and exchanging regards. Fourth, after growing up, readers moved on to various routes. Their paths can be classified into elementary school instructors, writers, journalists, administra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