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군정기 경제상황과 여순사건의 사회경제적 배경 –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 Economic Situation 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Yeosun Incident - Focusing on the Suncheon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4(30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opular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Yeosu-Suncheon(Yeosun) incident(旅順事件). The Yeosu-Suncheon incident is not a case in which only 14th Regiment members were the main agents, but also has meaning as a public uprising in Yeosu and Suncheon. This public participation requires a clear analysis not only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public saw, but also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before the incident. Existing studies on the participating class of the Yeosu-Suncheon case revealed that “anti-police (anti-police consciousness)” and economic conditions we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public participation, but this was also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analysis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existing U.S. military period, especially regional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U.S. military period, which was developed before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Just as the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al era influenced the later histor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U.S. military period greatly influenced the public's perception. In this process,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rol economic policy and the rice collection policy were reenacted even during the U.S. military season, and the public's antipathy toward the police as an enforcement body for rice collection continued. In particular, Jeollanam-do achieved a collection rate of 86.5%. In additio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roduction of mixed grain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collection of river valleys in Jeollanam-do came as a greater burden on farmers.
The ratio of tenant farming and self-growing farmers to the total number of farmhouses in Suncheon area reached 89.8%. This means that most farms in Suncheon belong to tenant farmers. It is clear that the actual state of rice production due to rice colle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tenant farmers, and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most farmers in Suncheon at that time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rice collection. This socioeconomic background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public's participation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Incident.
여순사건은 14연대원만이 주체였던 사건이 아니라, 여수⋅순천지역의 대중항쟁으로서의 의미도 갖는다. 본고는 여순사건에 참여했던 대중계층의 참여 배경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중의 참여는 대중이 목도했던 상황뿐만 아니라 사건 이전부터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서도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순사건의 참가계층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해 ‘경찰집단에 대한 반감(반경의식)’과 경제적 상황이 대중의 참여에 주요한 원인 중 하나였음이 밝혀졌지만, 이 역시 기존 미군정기의 경제적 상황, 특히 지역의 상황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우선 정부수립기 이전에 전개되었던 미군정기의 경제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제강점기 통제경제정책과 미곡수집정책이 미군정기에도 그대로 재연되었고, 미곡수집 집행 기구로서의 경찰에 대한 대중의 반감 역시 지속되었다. 특히 전라남도의 미곡수집율은 86.5%에 이르렀다. 더불어 전라남도의 하곡수집은 농민들에게 더욱 막대한 부담감으로 다가왔다.
순천지역은 전체 농가호수 대비 소작과 자소작농가 비율이 89.8%에 이르렀다. 이는 순천 대부분의 농가가 소작농에 속했음을 의미한다. 미곡수집으로 인한 공출이 소작 농가에 더욱 많은 영향을 끼쳤음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를 통해 당시 순천의 대부분 농가들은 미곡수집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여순사건 당시 대중들의 참여에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이 주요하게 자리하고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