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구역 재발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 = Prognosis prediction model after locoregional recurrenc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목적
본 연구는 국소구역 재발(Locoregional recurrence, LRR) 유방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LRR 후 원격전이(Distant metastasis, DM)와 사망과 관련된 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LRR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1,236명의 유방암 환자 중 2014년 12월까지의 외래 추적 결과로 LRR이 확인된 512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진단 당시의 임상병리학적 데이터와 수술적 치료 및, 항암치료, 항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보조 치료에 대한 세부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되어 익명화 되어 보관 중인 서울아산암병원 유방암센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LRR 시의 재발 양상과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대한 세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LRR에 대한 국소 혹은 전신 치료 방법과 치료 이후 경과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였다. LRR 당시와 그 이후의 데이터 추출은 개인식별정보없이 임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san Biomedical Research Environment (ABLE)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중앙나이는44세(21-81), 중앙 관찰기간은 114.7개월(12.1-303.5) 이고 512명 환자의 42.6%인 224명에서LRR 발생 이후 DM가 확인 되었다. 33명은 DM 발생을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국가 자료를 통해 유방암에 의한 사망이 확인되어, 두 형태를 합하여 DM 발생군으로 구분하였다. DM 발생이 확인된 환자224명의 DM 발생까지 중앙 발생시간은 24.1개월(3.32-174.42)였다. 287명이 원발암의 치료를 위해 유방전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222명이 유방보존수술을 받았다. 병기 상으로 볼 때 2기 이상이 환자가 344명(67.2%)으로, 1기 환자에 비해 많은 구성비를 가지고 있었다. 원발암과 재발암에서 호르몬 수용체의 상태 변화가 확인된 환자가 72명(19.6%)이었고, HER2 과발현의 변화는 58명(18.6%)에서 확인되었다.
국소재발(local recurrence alone; LR)군 (264명)에서 추가 재발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는 136명이었고, 구역재발(regional recurrence +/- local recurrence; RR)군 (248명)에서는 99명이었다. 각 군에서 추가적인 첫 재발이 DM로 나타난 경우가 LR군에서는 71명, RR군에서는 113명으로 추가 재발 형태의 다수를 차지하였고 이들의 5년 DMFS rate는 각각 10%, 8%였다.
Cox regression 을 통한 다변량 분석 결과, DMFS에 관련된 요소로는 원발암의 림프절 전이 존재(p-value <0.001, HR 2.732; 95% CI, 1.702-4.385), 림프혈관 침윤 존재(p-value =0.002, HR 1.861; 95% CI, 1.264-2.739), 첫 재발이 RR(p-value=0.026, HR 1.577; 95% CI, 1.057-2.354), 재발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미시행(p-value =0.034, HR 1.830; 95% CI 1.045-3.203), 2년 미만의 DFI(p-value =0.018, HR 1.573; 95% CI, 1.082-2.287)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 수술 방법과, 원발암의 T stage, 조직학적 등급, 호르몬 수용체 유무, 세부타입의 차이, 항암 치료 시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value = 0.184, 0.809, 0.954, 0.600, 0.239, 0.328)
다변량 분석 상 유의한 독립인자를 매개로 하여 DM 발생과 관련한 위험을 점수화하고 점수에 따라 4개의 군(0,1~2,3~4,5~6)으로 나누어 DMFS 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점수 그룹에 따른 DMFS 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p-value<0.001) 재발 형태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차이가 있어, 동측유방내종양 재발(ipsilateral breast tumor recurrence; IBTR)군에서는 점수 그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p-value =0.230), 나머지 3개의 재발 형태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value<0.001, 0.019, 0.001) 특히 비 IBTR군에서 점수 그룹에 따른 DMFS 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LRR 환자의 DMFS 에 악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인자로는 원발암의 림프절 전이, LVI, 첫 재발이 RR, 2년 미만의 짧은 무병생존기간, 재발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미시행이 있고, 이 인자들의 발현에 따른 점수에 따라DMFS의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 점수의 따른 DMFS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은 재발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IBTR인 경우가 다른 재발형태에 비하여 전반적인 예후가 좋고, 다른 3가지 재발군과는 달리 IBTR 군내에서의 인자 발현 점수에 따른 DMFS과의 상관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