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노인의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도 관련 인구사회학적요인: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Stroke Symptom Awareness Among Older Adults: Findings from the 2023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저자
이광옥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79(7쪽)
제공처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뇌졸중 증상 인지 수준을 평가하고,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단면 연구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주요 증상 인지도 및 정신건강 요인(우울, 스트레스)**을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도는 65~74세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으며(61.9%), 85세 이상에서는 가장 낮았다(6.3%). 또한, 여성과 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인지율이 높았으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경우도 인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01). 연령, 성별, 사회경제적 요인, 정신건강 요인이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수준이 낮거나 경제활동을 지속하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공중보건 전략을 강화하여, 뇌졸중 인식과 응급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stroke symptom awarenes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nd identify key sociodemographic and mental health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Using data from the 2023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Awareness of key stroke symptoms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depression and stress) were assessed.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Findings revealed that stroke awareness was highest in the 65–74 age group (61.9%) and lowest in those 85 and older (6.3%). Women and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demonstrated greater awareness, while economic inactivity and higher stress levels were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awareness (p < 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e,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mental health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stroke recognition. Public health interventions should prioritize older adults with lower education and economic activity to enhance stroke awareness and timely respons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