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우수등재
不染齋 金喜誠의 山水畵 硏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SCOPUS,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70(30쪽)
제공처
소장기관
不染齋 金喜誠(?-1763년 이후)은 18세기 英祖(재위: 1724-1776) 연간에 활동했던 화원화가였다. 金喜謙이라는 異名으로도 불렸던 김희성은 그간 謙齋 鄭敾(1676-1756)의 영향을 받은 직업작가로 언급되곤 했다. 기존 연구성과는 정선의 영향을 받은 작가군을 ‘정선파’의 범주로 이해하는 한편, 이들을 문인화가와 직업화가로 이분하여 그 작화태도와 화풍의 성격을 이해해 왔다. 이 같은 시각은 김희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임에 분명하다. 다만, 김희성이 구사한 다양한 화목과 다기한 양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정선파’와 ‘직업화가’라는 틀 외에 다른 관점도 필요하리라 본다.
김희성은 대대로 여항문인을 배출했던 全州 金門 출신으로 일직이 정선의 門下에서 그림을 배웠고 이후에 畵員으로 재직하였다. 行狀이나 文集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작품에 보이는 화풍과 문헌 기록에 의거해보면 김희성은 당시 화단의 다기한 흐름을 고루 수용했다. 양천지역의 실경 그림에서 확인되다시피 김희성은 정선의 화제 선택 방식과 화풍을 따른 그림을 다수 남겼다. 김희성이 화원에 들어가기 전까지 정선의 문도였다는 金光國의 기록과 정선이 사망하기 3년 전, 1756년에 정선과 김희성이 함께 淸潭에서 그림을 그린 〈臥雲樓溪漲〉의 작례를 상기한다면 이들의 관계를 사제지간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한편 김희성은 姜世晃(1712-1791), 李麟祥(1710-1760), 鄭遂榮(1743-1831) 등의 작가들이 수용한 安徽派와 吳派에서 유래한 파스텔톤 설채와 암석 표현을 응용하여 영남지역의 실경도를 남기기도 했다. 이 작품군은 정선이 영남지역 실경도를 그린 전통과 부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화면에 구사된 양식적 특징은 완전히 다른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외에도 김희성은 沈師正(1707-1769)의 정선의 작품에 畵評을 남긴 바 있는데, 여기에서 김희성은 지두법이 괴이한 것이라고 평했고 청록 물감은 그림의 주제에 맞게 취사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화원화가가 화평을 쓴 경우가 희소할뿐더러 김희성이 가진 회화사적 지식을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김희성의 화평은 가치 있는 사료이다. 이와 함께 19세기 문예계를 주도했던 中人詩社의 시원격인 모임에서 여항문인 林必昌(생몰년 미상), 林聲遠(생몰년 미상), 馬聖麟(1727-1798년 이후)과 김희성이 교유했다는 기록은 그가 여향문예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화원으로서의 김희성은 1748년 肅宗의 御眞 模寫에 동원된 이래 1757년 貞聖王后의 國葬과 1760년의 청계천 준설과 같은 영조 대의 중요한 궁중행사에 대한 기록화를 제작했다. 김희성은 화원화가로서 ‘핍진’과 ‘기록’을 위해 서양화법의 수용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濬川契帖》에 보이는 삼각형 구도와 명암법이 가미된 설채법은 김희성이 차용한 ‘서양화법’의 일면을 확인시켜준다.
이 글은 정선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정선파를 빗겨가는 김희성의 작품 세계를 산수화에 주안점을 두어 논구한 것이다. 본 논문이 김희성이라는 未明 속에 묻혀 있던 작가를 재발견하는 계기이자 기타 미발굴 여향ㆍ화원화가를 연구하는 데에도 一例로서 기여하기를 바란다.
Kim Hui seong (金喜誠, 1710’s-after1763)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Yongjo, was a court painter of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Kim Hui-seong also, called Kim Hui-gyeom 金喜謙, has been usually referred to as a painter who was strongly influenced by Jeong Seon. Previous scholarship has regarded Kim Hui-seong as a professional painter belonging to the Jeong Seon School ; this view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categorization of painters in two groups, professional painters and literati painters. Although this viewpoint provides a useful and convenient framework,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landscape paintings of Kim Hui-seong in terms other than 'Jeong Seon School' and 'professional painter' in order to discuss the complex nature of the painter and his works.
Kim Hui-seong was from a Jeon-ju Kim family which had produced a large number of low-level government officials for generations. After studying painting under Jeong Seon in his youth, he served as a court painter during the rest of his life. Despite the lack of his biography or diary, it is possible to trace Kim Hui-seong’s painting style based on his works and records left by his acquaintances, which show that he accepted various currents of the painting circle of the 18th century. In his works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Yangcheon (陽川) area, he followed the style of Jeong Seon especially in the selection of his themes and brushwork. A hypothesis that Kim Hui-seong and Jeong Seon shared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master and pupil is supported by the documents written by Kim Kwang-kook (金光國, 1727-1797), which stated that Kim Hui-seong had been a follower of Jeong Seon before he entered the Painting Academy of the court. A record indicates Kim Hui-seong accompanied Jeong Seon to Cheongdam (淸潭) to sketch his landscape in 1756, 3 years before Jeong Seon’s passing, further reinforces this argument.
Kim Hui-seong also produced several pieces of painting that shared close affinities with the works of Kang Se-hwang (1712-1791), Yi In-sang (1710-1760) and Jeong Su-yeong (1743-1831), who usually employed the brushwork of Anhui school and Wu school, which is characterized by pastel tones and emphasis on the depiction of rocks. This trait is especially apparent in a series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An Eum (安陰) area in Youngnam province. Though these paintings seem to be following the tradition of true view landscape painting established by Jeong Seon in terms of the theme, the brushwork and composition show a completely different nature.
Kim Hui-seong showed that he was more than a professional painter when he criticized Sim Sajeong (1707-1769) in the inscriptions he left in Sim’s Mountain Shu (蜀山圖) and Drinking Tea under the Pine Tree (松下飮茶). He commented that Drinking Tea under the Pine Tree, which was not painted with brush but fingers, was an ostentatious display of bizarre talents, while the green and blue of Mountain Shu was unsuitable to the function and theme of the painting. This presents an unprecedented case of a professional painter criticizing the works of other painters. He also participated in a leading association of middle class writers and painters. It seems that Kim Hui-seong was fashioning himself as middle class literati rather than a simple professional painter through these activities.
As a court painter whose responsibility was to record court events as closely as possible, Kim accepted the innovative principles of perspective and shading originated from the Western tradition of painting in order to produce a more realistic view. In Album of Dredging a Waterway in 1760, a triangular composition with a vanishing point that emphasizes the sense of distance is found, probably intended to imitate the perspective technique of Western painting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