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법집행 목적의 안면인식정보 처리에 관한 법제 연구 = Legislative study on processing of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for law enforcement purpo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46(38쪽)
제공처
소장기관
범죄의 범죄의 예방・수사 및 공소의 제기・유지는 공익목적에서 규범적 내용을 실행하고 그 효과를 지키는 공권력행사이다. 그 징표를 법집행이라는 용어로 포섭할 수 있는바, 이 논문은 사회문제가 된 개인정보처리의 쟁점 가운데 형사사법적 행정작용인 공개된 장소의 법집행 목적 안면인식에 관한 해석론과 입법론의 논점을 다룬다.
국제적으로 현안이 되어온 법집행 목적 안면인식의 법적 성질과 관련하여 볼 때 안면인식기술로 처리되는 정보는 개인정보로서 영상정보이자 민감한 생체정보에 해당한다. 특히 개인 사생활권을 현저하게 침해하고 차별을 조장할 수 있는 민감정보이기 때문에 안면인식정보는 적어도 법령상 구체적으로 허용되는 경우가 아니면 처리될 수 없는 특수유형의 개인정보이다. 따라서 안면인식시스템의 운용은 최소한 적절한 법적 통제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만 가능한 위험한 수단이다. 안면인식은 표현의 자유나 이동의 자유 또는 집회・시위의 자유를 위축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법집행 목적 안면인식의 기술적 특성을 풀이해본다면, 그 단계를 나누어 영상촬영의 경우 권력적 사실행위로 그리고 강제처분인 검증으로 볼 수 있는 데이터분석의 직전 단계로서 이미지수집은 검증에 필요한 처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안면인식 자체는 이들 단계가 결합된 연속적 합성행위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강제처분에 해당하는 법집행 목적 공권력행사라 하겠다. 한편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없는 안면인식은 완전자동화 단계에 다다르고 있지만, 「행정기본법」에 따른 자동적 처분으로 해석될 여지는 거의 없다.
이와 같이 짚어본 법집행 목적 안면인식의 규범적 특징으로 인해 법률유보의 원칙과 비례의 원칙이 그 도입의 주요 심사척도가 되며, 기술발전에 따라 그 위험성이 증대되는 까닭에 법제화가 필요하다면 강화된 규범명확성에 따라 요건화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공지능(AI)이 적용된 공개된 장소의 원격 생체인식에 대하여 실시간 시스템의 전면적 금지와 사후적 시스템의 제한적 허용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는 유럽연합(EU)의 AI법 의안을 보더라도 실시간 안면인식의 경우 본질적으로 인간존엄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법집행 목적의 공익적 정당성이 부인되므로 법률상 금지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사후적 안면인식의 경우 법집행 목적의 정당성을 전제로 영장주의와 영향평가의 적법절차에 따라 저장제한과 파일등록 등의 법률상 중첩적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용인될 수 있다고 본다.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includes so-called law enforcement as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normal substance and maintenance of those effects in the public interests. Since legal issues on personal data processing has become the social problem besides in law enforcement instantiated by the prevention and investigation of crimes, indictment and prosecution, facial recognition, which is executed in publicly accessible place for law enforcement purpose as administrative proceedings of criminal justice, can be reviewed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ve theory and legislative corepoint.
As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is personal data as visualized sensitive biometric feature, it can significantly infringe personal rights of privacy and aggravate discrimination with chilling effects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movement and assembly. So shall not be processed at least by specific concrete statutory decrees. And facial recognition for law enforcement purpose consists of compulsory disposition, which is consecutive synthesis combined by three steps; picture-taking step as actual act of powerful fact, image collection step as disposition necessary for inspection, and data analysis step as inspection. While it reaches the quality of fully-automated system, there is nearly no space for appreciating it as automatic disposition.
Thus regulatory generalization of facial recognition for law enforcement purpose depends upon invasion or not against fundamental rights focused on human worth and dignity, which is judged with the constitutional criteria based on principle of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and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proportion to technology advances and strengthened normal clarity. Therefore it is essentially important to stipulate for remote facial recognition dividing overall prohibition of real-time system and restrained grant of post system as referenced along to the Act of EU(European Union)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Contrary to the former, the requisite of legitimate purpose focused on law enforcement is required for the latter with legal conditions materialized by applying warrant doctrine as due process of law and furthermore realizing principle of storage limitation and registry of personal data file with the procedure of prior impact assess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