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인식공유에 기반한 공공조직의 조직학습 사례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fact that cognitive research on organizational learning associated with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is turning its direction to emphasizing socio-cultural aspects is attributed to constructivistic philosophy, not an objective viewpoint of knowledge in the epistemic perspective. This point of view emphasizes importantly that knowledge is generated through interaction among members instead of being transferred and it is crucial to perform activity to socialize personal knowledge. Organizational learning realized through reasonable communication suppose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nd requires members’ autonomous and aggressive interac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In the aspects of intersubjectivity, organizational learning is actualized through the process to share and correct knowledge that members have individually through their sense making process.
    This process contributes to the concordance of identity between an organization and an individual, and it plays crucial roles in allowing innovation and maintenance, the two sides that are conflicting, to coexist harmoniously within a unit of organization. This study explores various qualitative data semantically regarding the process of how organizational members’ recognition changes in order to trigger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roduce the process and result in a public institution. Particularly, due to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drawn in this study have special meaning differently from those of other research dealing with private enterprises. Especially, the issue of public institutions lately moving their head office to the countryside works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members’ identity and organization culture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settlement both, and it is, in fact, demanded for them to strengthen organization identity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lso play proper functions as a double-sided organization.
    This researcher sees that institution A’s triggering of organizational learning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change that the transfer of the head office to the rural area may affect organization culture negatively and awareness of the members’ different recognition on it. The fact that the members recognize it differently subsided before the move but rose to the area of interest after they paid attention to the crucial issue of environmental change, a move to the countryside. After the phase of recognition on sense making, the members shared the mission and goal of their organization they were to pursue commonly, shared the context of their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exchange their knowledge to have the sharing routine of the virtuous cycle work and enhance the level of intersubjectivity.
    Also, with the process of creative conflicting and conventional compromising, the level of intersubjectivity was elevated from semantic sharing to practical one. Creative conflicting based on discussion and discourse led to the process of agreed reinterpretation, and it was generated as organizational knowledge that allowed each other to recognize core value and expected roles as the same meaning and way of practice. Also, because institution A’s organizational learning was intended to have its members internalize core value and expected roles, it also resulted in the members re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Therefore, in the perspective of sense making, the concordance of identity between an organization and an individual has been found to be generat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Moreover, in the context of public institution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cord of legitimacy and adaptability, the double sides of an organization,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goal sharing and context sharing to enhance intersubjectivity.
    In conclusion, from the aspects of social constructivism, organizational learning is the process that individuals socialize subjective knowledge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it is realized through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in an organization supposing intersubjectiv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cademic or practical, this author insists that in order to make the methodology of organizational learning effective, a clear epistemic viewpoint should be suppos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knowledg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the resul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entering around the constructivistic viewpoint combining the subject to explore knowledge with learning, this study, too, distinguishes personal knowledge from organizational knowledge in the ontological aspects of knowledge. Also,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author recognized it as the process of sense making in an organization connecting it with the aspects of intersubje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e mechanism of organizational learning ground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also empirical evidence applying intersubjectivity that has remained as an abstract concept more concretely to it,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laying the practical ground of organizational learning more firmly. In the practical level, organizational learning programs need to be positioned as a foothold of authentic sharing and communication in an organization, not just intended to develop each individual, and also oriented to enhancing intersubjectivity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더보기

    정보처리 관점을 연계한 조직학습의 인지적 연구들이 사회문화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지식에 대한 객관주의 입장이 아닌 구성주의적 철학에 기반한다. 이 관점에서는 지식은 전이되는 것이라기보다는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것이고 개인지식의 사회화를 위한 활동이 중요하게 강조된다. 합리적 의사소통을 통해 발현되는 조직학습은 참여와 소통을 전제로 하며,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상호주관성 측면에서의 조직학습은 센스메이킹 프로세스를 통해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들을 서로 공유하고 수정해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조직과 개인의 정체성 정합에 기여하며, 새로운 혁신과 기존 방식 유지라는 모순된 양면성을 한 단위 조직 내에서 조화롭게 양립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는 한 공공기관에서 조직학습의 촉발과 그 과정 및 결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변화 과정을 다양한 질적 자료들을 통해 의미론적으로 탐색하였다. 특히 공공기관의 차별적 특징들로 인하여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민간기업 대상의 연구들과는 다른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최근 공공기관들이 겪고 있는 본사 지방이전이라는 이슈는 그 준비와 정착 과정 모두에서 구성원들의 정체성과 조직문화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조직학습을 통한 조직정체성 강화와 양면조직으로의 적절한 기능수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A기관의 조직학습의 촉발은 본사 지방이전 후 조직문화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는 환경변화 인식과 이와 관련한 구성원들의 관점차이의 인지에서부터 출발했다. 구성원간에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이전까지 수면 밑에 가라 앉아 있다가 지방 이전이라는 중요한 환경변화 이슈에 대해 구성원들이 주목을 하게 되면서 관심의 영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센스메이킹의 인식 단계가 지나고 구성원들은 공동으로 추구해야 할 조직의 미션 및 목적을 공유하고, 서로 간의 다른 맥락들을 공유하며, 서로의 지식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선순환적 공유루틴이 작용하면서 상호주관성의 수준을 높여가기 시작했다.
    또한 창조적 마찰과 관행 타협 과정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수준은 의미적 공유수준에서 실용적 수준까지로 상승되었다. 토론과 담론을 통한 창조적 마찰이 합의된 재해석 과정을 이끌었고 이는 서로에게 핵심가치와 기대역할을 같은 의미와 실천방식으로 인식하게 하는 조직지식으로 생성되었다. 또한 A기관의 조직학습은 핵심가치와 기대역할을 내재화하는 목적이었기 때문에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결과로도 나타났다. 그래서 센스메이킹에 입각해서 바라볼 때 조직과 개인의 정체성 정합은 조직학습 과정을 통해 생성되고 유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기관 맥락에서 조직 양면성인 합법성과 적응성의 조화는 상호주관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공유 및 맥락공유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조직학습은 개인의 주관적 지식이 조직지식으로 사회화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상호주관성을 전제한 조직 내 소통과 공유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적이든 실천적이든 조직학습의 방법론이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지식에 대한 개념’, ‘조직학습의 과정’ 및 ‘조직학습의 결과’를 이해하는 명확한 인식론적 관점이 전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연구에서도 지식 탐색 주체와 학습을 결합시키는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지식의 존재론적 측면에서 개인지식과 조직지식을 구분하였다. 또한 조직학습 과정에 있어서 이를 상호주관성 관점을 접목시킨 조직 센스메이킹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에 입각한 조직학습의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여기에 추상적 개념에 머물렀던 상호주관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조직학습에 대한 실천적 기반을 좀 더 확고히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실천적 수준에서 조직학습 프로그램은 개인개발 차원의 학습을 넘어서 조직 내의 진정한 공유와 소통의 발판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고, 조직구성원 간 상호주관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9
    • 1. 조직학습의 관점 9
    • 1) 조직지식의 이해관점 9
    • 2) 조직학습의 연구동향 17
    • 2. 조직학습의 과정 27
    • 1) 조직학습에서의 센스메이킹 27
    • 2) 조직학습에서의 상호주관성 34
    • 3. 조직학습의 결과 43
    • 1) 조직정체성 획득 43
    • 2) 조직양면성 조화 46
    • 4. 공공기관의 조직학습 52
    • 1) 공공기관 조직이해 52
    • 2) 공공기관 학습특성 54
    • 5. 연구의 개념 틀 60
    • Ⅲ. 연구방법 61
    • 1. 사례연구 개관 및 필요성 61
    • 2. 연구대상 선정 62
    • 3. 자료수집 및 분석 63
    • 4. 연구의 신뢰가치성 70
    • Ⅳ. 연구결과 73
    • 1. 조직학습의 과정: 센스메이킹과 상호주관성 발달 73
    • 1) 환경변화의 인식 73
    • 2) 관점차이의 주목
    • 설정(enactment) 80
    • 3) 인식공유의 과정
    • 선택(selection) 94
    • 4) 조직지식의 생성
    • 유지(retention) 108
    • 2. 조직학습의 결과: 조직정체성과 조직양면성 118
    • 1) 조직정체성 획득
    • 개인준거 측면 118
    • 2) 조직양면성 조화
    • 조직전략 측면 123
    • Ⅴ. 논의 및 해석 127
    • 1. 조직지식 생성을 위한 상호주관성 형성 과정 127
    • 1) 조직학습 촉발이슈와 관점차이의 주목 127
    • 2) 목적지식맥락공유를 통한 공통의미 창출 129
    • 3) 창조적 마찰과 관행 타협을 통한 조직지식 생성 131
    • 2. 조직학습을 통한 정체성 강화와 양면성 조화 133
    • 1) 개인의 조직정체성 강화 133
    • 2) 조직의 양면성 조화 135
    • Ⅵ. 결론 및 제언 138
    • 1. 결론 138
    • 2. 제언 143
    • 1)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43
    • 2) HRD 실천을 위한 제언 144
    • 참고문헌 146
    • <부 록> 162
    • 국문초록 163
    • Abstract 165
    더보기
    • 1 이동욱, 이태식, "지식경영개론", 서울: 도서출판 구미서관, 2004
    • 2 한순미, "비고츠키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3 Weick, K. E., "조직화이론. 배병룡 역", 서울: 율곡출판사, 1990, 1979
    • 4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 5 Driscoll, M. P., "학습심리학. 양용칠 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7, 2004
    • 6 권석균, "조직학습의 이론적 조망", 인사조직연구, 3(1), 121-164, 1995
    • 7 Nonaka, I., Takeuchi, H., "지식창조기업. 장은영 역", 서울: 세종서적, 1998, 1995
    • 8 문형구, 장용선, "양면성 조직의 조직문화 연구", 인사조직연구, 19(2), 169-200, 2011
    • 9 박은영, "대화자들의 관계: 유사와 차이", 프랑스문화예술연구, 11, 1-15, 2004
    • 10 윤정구, 정예지, "팀 자본인가, 팀 동적역량인가", 경영학연구, 42(1), 53-83, 2013
    • 11 Berger, P., Luckman, T., "실재의 사회적 구성. 하홍규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4, 1967
    • 12 Wenger, E., "실천공동체. 손민호, 배을규 공역", 서울: 학지사, 2007, 1998
    • 13 Drucker, P. F.,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이재규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2002, 1994
    • 14 김찬중, "지식경영과 학습조직의 비교연구",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한국비즈니스리뷰, 5(2), 53-71, 2012
    • 15 Konno, N., Nonaka, I., "노나카의 지식경영(2판). 나상억 역", 서울: 21세기북스, 2009, 1998
    • 16 Porter, M. E.,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 조동성 역", 서울: 21세기북스, 2008, 1980
    • 17 권순애,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학습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1), 87-112, 2012
    • 18 김호정,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한국행정학보, 38(3), 49-67, 2004
    • 19 Reigeluth, C. M., "(Ed.).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최욱 외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0, 1999
    • 20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강윤수 외 역", 서울: 교우사, 2005, 1998
    • 21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47(8),191-213, 2007
    • 22 Fosnot, C. T.,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조부경 역", 서울: 양서원,2001, 1996
    • 23 Cresswell, J. W., "질적연구방법: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외 공역", 서울: 학지사,2010, 2007
    • 24 Maxwell, J. A., "질적연구설계: 상호 작용적 접근. 이명선 외 역", 서울: 군자출판사, 2009, 2005
    • 25 Kirk, J., Miller, M. L., "질적 연구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 엄미란 외 역", 서울: 군자출판사, 2007, 1985
    • 26 Senge, P. M., "(Ed.). 학습조직의 5가지 수련. 박광량, 손태원 공역", 서울: 21세기북스, 1996, 1994
    • 27 Morgan, G., "조직이론: 조직의 8가지 이미지. 박상언, 김주엽 공역", 서울: 경문사, 2012, 2006
    • 28 Byrnes, J. P., "교과수업 맥락에서의 인지발달과 학습 3판. 강영하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1, 2008
    • 29 전영한, "공공・민간조직 비교연구 메타분석: Sayre명제의 재검증", 행정논총,47(2), 61-93, 2009
    • 30 배진현, 성문주, 성은모, 오헌석,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가의 특성 비교 분석",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0(4), 105-135, 2009
    • 31 김명환, "조직변화 내부과정의 구조화: 조직 정체성, 납득 및 선택",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국가정책연구,27(1), 5-35, 2013
    • 32 박국흠,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과 혁신행태가 지식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2(2), 7-28, 2008
    • 33 장승권, 정명호, "복잡성 이론과 조직학습:자기조직적 질서와 발현적 학습의 모색", 인사 조직연구, 6(2), 37-80, 1998
    • 34 이상철,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학습조직,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6(4), 181-205, 2012
    • 35 최윤정, "지방이전 대상기관 구성원들의 심리상태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1), 221-243, 2013
    • 36 홍아정, 현경택, "기업의 지식경영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S기업의 지식경영 실천 사례",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연구, 11(1), 129-146, 2010
    • 37 김미란, 이영현, 유한구, 김안국,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Ⅱ): 기업의 사회적자본과 경쟁력 (149-205)",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 38 한은미(Han, Eun Mi), 홍용기(Hong, Yong Ki), 임창희(Im, Chang Hee), "조직시민행동과 직무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직동일시와 소진의 역할",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18(1), 1-22, 2011
    • 39 설현수, 조대연, 이윤수, "사회인지적관점에서 조직학습 역량요인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15(2), 135-154, 2013
    • 40 조대연, "백경선.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조직학습 역량구축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2), 1-22, 2007
    • 41 윤견수, "Karl E. Weick의 조직화 이론. 오석홍, 손태원, 이창길(편). 조직학의주요이론", 서울: 법문사, 2011, 2011
    • 42 정명호, "Ikujiro Nonaka의 지식창조이론. 오석홍, 손태원, 이창길(편). 조직학의주요이론", 서울: 법문사, 2011, 2011
    • 43 장다정, "공공부문의 조직특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13
    • 44 장용선, 김재구, "사회적자본의 지각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30(1), 59-91, 2006
    • 45 이희수, 이은주, 송영선,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한국HRD연구, 6(3), 61-88, 2011
    • 46 김호열, 정경수, "지식경영의 기반구조와 지식관리시스템의 프로세스가 조직학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36(2), 257-296, 2007
    • 47 Habermas, J., "소통행위이론Ⅰ: 행위합리성과 사회적 합리화. 서규환 심광섭 노진철 김기욱 최문규 공역", 서울: 의암출판, 1995, 1981
    • 48 이현, 이홍, "양면성(Ambidexterity)을 통한 역동적 역량의 구현: 역사적 조망과이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핵심과제", 인사조직연구, 17(2), 95-124, 2009
    • 49 이상철, 권영주,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유형 분석: 공익형공공기관과 기업형 공공기관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42(3), 143-164, 2008
    • 50 김시태, 임세영, "공공기관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통한 CoP활동 및 조직학습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직업교육연구, 28(4), 55-76, 2009
    • 51 김문주, 윤정구, "학습조직의 세 가지 메커니즘: 지식 공유, 생산적인 담론, 그리고 정체성 공유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1), 31-6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