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의 와전 제작 기술과 특징 : 몽골 고아 도브 흉노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 Production Tech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Xiongnu Rooftiles - Focusing on Finds from the Xiongnu Site of Gua dov, Mongolia
저자
김진경 (국립중앙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2(18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sites of Tereljyn durvuljin, Gua dov, Burkhyn durvuljin, Khureet dov, which are located along the Kherlen River, have yielded roof tiles and convex roof-end tiles. As a results they have been the focus of interest, being regarded as walled city sites containing evidence of the sedentary lifestyle of the Xiongnu ruling class. In 2013-2016, National Museum of Korea, Institute of History and Archaeology of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National Museum of Mongolia jointly excavated the site of Gua dov, where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16 different types of roof-end tiles, numerous roof tiles, and wall tiles, were discovered. This paper introduces the roof tiles from the site of Gua dov and examines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Xiongnu roof tiles. The convex roof-end tiles from Gua dov were decorated using the cloud motif, which had been popular in Han China. The Xiongnu cloud motifs, however, are unlike the original Chinese examples and have been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he presence of a square profile in the center, with a semi-globular indentation located within, is a distinctively Xiongnu feature; similarly shaped features, formed by the axle of the potter’s wheel, are also observed at the base of ceramic vessels. The roof tiles were not manufactured using a mold; they were made using the coiling technique and their surfaces were paddled, resulting in a pattern consisting of parallel lines. There are also numerous instances in which waves and horizontal lines, which were used to decorate Xiongnu pottery, have been observed on Xiongnu roof tiles. Convex roof-end tiles were made by cutting a cylindrical roof tile into half, along the vertical axis, but leaving a section of the circular base intact. This presents a contrast to contemporaneous Chinese roof tiles, which feature the traces of cloth along the inner surface that had been produced following the use of a roof tile mold; the surfaces of the Chinese roof tiles were decorated with checkered and cord-impressed patterns. The technique of fusing parts of convex roof-end tiles, which was used in Han Dynasty, has not been observed in examples from Gua dov.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roof tiles from Gua dov had been influenced by Chinese technologies but developed into a distinctively Xiongnu tradition, with Xiongnu characteristics. This indicates that the roof tiles from Xiongnu sites had been manufactured by Xiongnu crafts people. In relation to this, the roof tile kiln discovered at the recently excavated site of Khustyn bulag is of great interest. It is unlikely that the convex roof-end tiles from Gua dov were all used at the same time, as various types have been identified. This fact requires additional research to be undertaken in the future on the shrinkage and repair of roof tiles, the occupational span of the site, and the nature of the crafts people and the location of their workshops. This paper marks a first step in the study of Xiongnu roof tiles; developments in this field of research require additional investigations to be carried out on walled city sites and production sites in the vicinity.
더보기헤를렌강을 따라 분포하는 테렐진 두르불진, 고아 도브, 부르힌 두르불진, 후레트 도브 등의 흉노시대 유적은 평기와와 수막새가 출토되어 유목국가에서 흉노 지배층의 정주생활을 보여주는 도성 유적으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2013~2016년에 국립중앙박물관과 몽골 과학아카데미 역사학고고학연구소, 몽골 국립박물관이 공동으로 발굴조사한 고아 도브 유적에서는 16종류의 수막새와 대량의 평기와, 벽전 등 건축과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었다. 본고에서는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와전을 소개하고, 흉노의 와전 제작 기술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고아 도브 유적 출토 수막새는 중국 한대에 유행하는 운문을 모티프로 삼았지만, 동일한 문양은 없으며 흉노에서만 보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었다. 특히 반구형의 중방 바깥으로 방곽을 추가한 것은 토기 바닥에 있는 방형의 축흔과 함께 흉노만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평기와는 와통을 사용하지 않고 테쌓기를 한 후 평행선문을 타날하였으며, 파상문과 횡침선 등 토기와 동일한 문양이 시문된 예가 많다. 수막새에는 원통의 수키와를 접합한 후 절반을 절재하여 하단부에 원통의 일부가 남아 있다. 동일시기 중국에서 와통을 사용하여 내면에 포목흔이 남고, 외면에 승석문과 격자문을 주로 타날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한대에 완성된 수키와를 접합하는 방식은 고아 도브 유적에서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와전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와전 제작 기술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되지만, 흉노만의 특징이 반영되어 발전하였다. 이는 흉노 자체적으로 와전을 제작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 발굴조사된 호스틴 볼락 유적의 기와 가마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아 도브 유적에서 출토된 수막새는 동일시기에 사용되었다고 볼 수 없는 다양한 형식이 공존하고 있다. 이는 보수와 수축 방식, 유적의 점유 기간, 제작 집단과 생산지 등 여러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흉노 와전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이며, 고아 도브 유적 전반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주변 도성 유적과 생산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