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출토 칠갑(漆甲) 명문 재고 = Re-examination of the Inscription on the Lacquerware Armor from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저자
이태희 (국립중앙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20(30쪽)
제공처
소장기관
2011년과 2014년 공주 공산성 성안마을에서 명문이 있는 칠갑(漆甲)이 발견되었다. 기년(紀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데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백제사 관련 자료라는 점에서 국내외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칠갑의 제작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명문을 다시 검토하여 칠갑의 국적을 밝히고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명문의 작성 동기를 살펴보았다. 칠갑의 국적과 관련하여 단서가 되는 것은 관직명이다. 명문에서 확인되는 관직은 참군사(叅軍士), 대부(大夫), 배융부□(陪戎副□), 호군(護軍) 총 4개이다. 참군사는 다른 미늘편에서 지명 ‘익주(益州)’가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병조참군사(兵曹參軍事)로 추정된다. 대부(大夫)는 문산관으로 앞의 관호에 따라 종2품부터 종5품하 사이이며, 배융부□(陪戎副□)은 무산관 최하위인 종9품하 배융부위이다. 호군은 훈관(勳官) 9전으로 정3품에 비견된다. 이상은 모두 당의 관직으로 명문의 작성 주체가 당이었음을 의미한다. 기존 연구는 칠갑을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백제 갑옷의 실물로 이해하였으며 심지어는 ‘백제 명광개’로 명명하기도 하였다. 명광개라고 추정한 이유는 표면에 옻칠[황칠]을 입혀 빛을 반사하는 효과를 냈을 것으로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광개는 가슴 부분에 호심경을 부착한 갑옷으로 칠의 유무에 따른 것이 아니라 형태에 따른 구분이다. 갑옷 표면에 광택을 내는 것은 동시기 유행했던 의장 효과로 광요갑이나 산문갑에서도 볼 수 있다. 당육전(唐六典)은 갑옷 13종을 열거하고 재질을 언급하였는데, 그 가운데 명광개(갑)는 광요갑, 산문갑 등과 더불어 철갑으로 분류하고 칠갑과 같이 가죽으로 만든 것은 따로 피갑으로 명시하였다. 문헌기록에 등장하는 백제의 갑옷도 대부분 금속제로 재질상 칠갑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칠갑은 명광개가 아니며 문헌기록 상의 백제갑옷과도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 당은 사적으로 주요 무기를 생산하거나 소지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는 동시기 율령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칠갑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되는 것은 천성령(天聖令) 영선령(營繕令)의 규정이다. 천성령 영선령에 따르면 갑옷 제작 후 표면에 제작연월, 장인, 담당관의 성명, 주와 감, 미늘의 수를 주칠로 명기하도록 하였다. 이는 칠갑 명문의 내용 및 형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칠갑의 명문은 생산 후 이력을 주기한 것으로 보인다. 공산성 출토 칠갑은 당 전반기 갑옷의 제작과 관리가 율령 규정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실물자료이다. 향후 명문의 추가 확인과 더불어 고고학적・보존과학적 분석을 통해 칠갑이 담고 있는 여러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The remains of a suit of lacquerware armor featuring an inscription were recovered from Seongan Village in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in 2011 and 2014. The finds became the subject of great interest,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s the inscription featured a definite date and wa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orely lacking corpus of written data on Baekje history. However, the place where the armor was produced continues to be a subject of debat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provenance of the armor by considering the motives for the inscription, through a consideration of other written sources. The official title names that appear in the inscription provide a clue regarding the provenance of the armor. In total, four official title names appear: 叅軍士, 大夫, 陪戎副□, 護軍.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ace name ‘益州’ was found on an armor scale piece recovered elsewhere at the site, it can be assumed that ‘叅軍士’ refers to ‘兵曹參軍事’, a military post. ‘大夫’ refers to an administrative post that can span from the junior 2nd rank to the junior 5th rank, according to the title that comes before. ‘陪戎副□’ refers to the lowest military post, which is the junior 9th ranked ‘陪戎副尉’, ‘護軍’ refers to ‘勳官 9th post 銓’ which is equivalent to the senior 3rd rank. All of these ranks are those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Tang Dynasty. This indicates that the inscription had been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ang China. Previous studies have regarded this lacquerware armor as an actual example of Baekje armor; some have even called it an example of ‘Myeonggwang’ armor, mentioned in ancient texts. The reason that the find was regarded to be an example of ‘Myeonggwanggae’ armor wa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yellow surface of the lacquerware armor would have reflected light. However, ‘Myeonggwanggae’ armor is identified as such due to the attachment of a breastplate at the chest section, as well as based on its form, and not simply due to the use of lacquer. The addition of lacquer to the surface to produce a shine was a popular practice at the time in the case of ceremonial armor, and also took place in the case of ‘Gwangyo’ and ‘Sanmun’ armor. 13 different types of armor and the materials used to make them are presented in Tang liudian (唐六典). Of these, ‘Myeonggwangae’, ‘Gwangyo’, and ‘Sanmun’ are categorized as ‘iron armor’; lacquer covered armor made using a leather base is categorized as ‘leather armor’. References to Baekje armor that appear in texts are mainly of metal armor, and therefore can be distinguished from leather armor in terms of their material. In other words, lacquerware armor cannot be ‘Myeonggwangae’ armor, and its links with the Baekje armor mentioned in texts is also weak. The private production or ownership of key weapons was forbidden in Tang China. This fact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 known rules of the time. In relation to lacquerware armor, the Tiansheng Statutes (天聖令) and Yingshan Statutes (營繕令) of are interest. According to these rules, it was required that a record of the date and place of production, craftsperson and workshop, signature of overseeing official, and the number of scales be made on the surface of the armor.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inscription found on the surface of the lacquerware armor under study. As such, it appears that the inscription was a record of the lacquerware armor’s history, following its production. The lacquerware armor from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represents an important piece of evidence that demonstrates that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armor took place in strict adherence to rules and regulations throughout the Tang Dynasty.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n the inscription, and the archaeological analysis and conservation works will make it possible to gain more information on the stories that the armor contain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