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문해력에 대한 인지능력과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아동과 어머니 총 235쌍(한글해득부진 아동과 어머니 98쌍, 일반 아동과 어머니 137쌍)이며, 아동의 인지능력(집중력, 지각력, 기억력, 처리속도) 및 가정환경 요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기 가정문해환경(물리적환경, 양적/질적 상호작용, 발현적/관습적 문해지도))이 초1 아동의 문해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1 아동의 한글해득부진 여부를 예측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전진(forward: LR) 방식을 활용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의 지각력과 기억력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기에 관습적 문해지도를 많이 경험했을수록 초1 아동의 단어 해독 수행이 낮았다. 둘째, 유아기에 가정에서 발현적 문해지도를 많이 경험했을수록 읽기 유창성이 우수했다. 셋째, 아동의 처리속도가 느릴수록, 유아기에 관습적 문해지도를 많이받았을수록 읽기 이해가 낮은 수준이었다. 넷째, 아동의 지각력과 처리속도가 우수할수록,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아기에 관습적 문해지도를 적게 받았을수록 받아쓰기 수행이 높았다. 다섯째, 초1 아동의 한글해득부진 여부를 가장 강력하게예측하는 변인은 아동의 지각력이었으며, 어머니의 학력, 아동의 처리속도가 뒤를 이었다. 종합하면, 초1 아동의 문해력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지능력의 설명력이 컸으며, 유아기에 미리 경험한 관습적 문해지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학후 아동의 문해력을 높이고 한글해득부진을 예방하기 위해, 유아기부터 아동의 인지 곤란을 조기에 파악하여 지원할 수 있는 가정과기관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기에 적합한 발현적 방식의 문해지도를 제안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home environment on the literacy of first graders, focusing on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y (HAD). Participants included 235 mother-child pairs, with 98 children experiencing HA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sessed the influence of cogni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iteracy, while stepwise binary logistic regression identified predictors of HAD.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more trouble children had with perception and memory, and the more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they received, the worse they scored on word comprehension. Second, the more emergent literacy guidance children received during preschool, the higher their reading fluency scores. Third, slower processing speed and more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were associated with low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Fourth, higher perception scores and processing speed, higher maternal education levels, and less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correlated with higher spelling scores.
Fifth, perception wa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of HAD, followed by maternal education and processing speed. The study concluded that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the primary determinants of literacy, with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before formal schooling generally correlating with negative outcomes. Early recognition of atypical cognitive development and emphasizing emergent literacy during preschool are crucial for children to meet literary milestones without HA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