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후 위기 시대 현대시를 활용한 생태 글쓰기 교육 시론(試論) = Ecological Writing Education Poetry Using Modern Poetry in the Age of Climate Cri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62(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필자는 기후 위기의 현실이란 주제로 구성주의적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현대시와 『2050 거주불능 지구』를 바탕으로 생태 글쓰기 교육을 시도하였다. 인류세에 살고 있는 대학생들이 기후 위기의 현실을 다룬 현대시와 환경 서적을 통해 생태적 지식을 함양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자기화 할 수 있는 생태 글쓰기를 실천하도록 한 것이다. 함민복, 권박 두 시인의 시와 읽기 자료를 수업 시간에 활용하여 이상 기후의 현실을 자각하고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이나 생태 의식을 내면화시키는 과정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상 기후가 앞으로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큰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생태적 비전에 대해 글을 쓰면서 공동체에서 추구하는 삶의 가치에 대해 성찰할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문학 작품에 구현된 기후 위기의 현실은 생태적 감수성을 활성화시키고 인간과 자연, 문명의 관계를 새롭게 마주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성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기후 위기의 현실을 주제로 설계된 학습 모듈을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운용하여 우리가 처한 기후 위기 문제에 구체적으로 접근하고 인류가 처한 문제들을 공론화시킬 수 있었다.
둘째, 글쓰기의 주제를 구체적, 현실적 차원으로 확대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우리가 처한 기후 위기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당위적 인식을 강화할 수 있었다.
I attempted ecological writing education based on modern poetry and『2050 Inhabitable Earth』by applying constructivist learning method with the theme of the reality of climate crisis. College students living in the anthropocene have been able to cultivate ecological knowledge through modern poetry and environmental books dealing with the reality of the climate crisis and to practice ecological writing that can actively magnetize them. The poetry and reading materials of two poets, Ham Min-bok and Kwon Bak, were used in class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reality of abnormal climat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awareness of climate change or ecological consciousness. We have confirmed that abnormal weather can be a major threat to our lives in the future, and by writing about our ecological vision, we have changed the reality of the climate crisis and set the stage for reflecting on the value of life we seek. In particular, the reality of the climate crisis embodied in literary works is significant in that it activates ecological sensitivity and f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nature, and civilization.First, based on the learning module designed on the theme of the reality of the climate crisis, we were able to approach the climate crisis problem that we are facing and to publicize the problems that humanity faces by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Second, by expanding the subject of writing to a concrete and realistic level, the learners could strengthen their perception that they should actively cope with the reality of our climate crisi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