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심사정 <촉잔도권(蜀棧圖卷)>의 시각 모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05(23쪽)
제공처
시각 모드는 세상을 보는 방식으로 창작자와 감상자의 시각적 느낌과 예술품의 내용, 형 식, 의미를 결정한다. 본 논문은 <촉잔도권>의 시각 패턴, 형식, 시각 논리, 감상 체험과 시야 등 여러 방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그의 회화의 풍격 변화에 많은 주의를 기울였지만, 실제로는 심사정 말기 풍격의 대표작인 <촉잔도권>이 형식적인 풍격에서도 독특한 점이 있었는데, 특히 중국 쓰촨(四川)성의 풍경을 묘사한 장권화(長卷畫)로서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것이다. 본문은 <촉잔도권>의 형제·형식·시각 논리·관람 체험·시야 등을 시발점으로 하고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olfflin) 미술사 관점의 five pairs of concepts, 비주얼 모드 visual mode 및 존 버거(John Berger)의 ways of seeing 등 이론과 방법으로 이런 장권산수화의 시각 패턴을 탐구하도록 한다. 본 논문은 <촉잔도권>의 시각적 모드를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장권화로인 <촉잔도권>의 형제를 분석해 보고 관상점(觀賞點)으로 삼은 뒤에 같은 촉로를 묘사한 심주의 <촉도난도축>과 구영의 <검각도>, 현수막 장권화로 그린 이인문(李寅文)의 <강산무진도>와 함께 촉로를 처음 묘사한 전 이소도의 <명황행촉도>를 비교한 시야 아래 진행됐으며 뵐플린의 이론을 철저히 사용하다가 결국 이당(李唐)의 촉잔도(蜀棧圖)를 참고로 그린 현수막 장권화인 촉잔도권의 이유를 끌어냈다.
더보기Visual mode determines the visual perception of creators and viewers, as well as the content, form and meaning of artworks by observing the world.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visual mode, form, visual logic, appreciation experience and vision of <The rugged road to Shu>. In fact,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Sim Sajeong slate style, <The rugged road to Shu> also has its own unique style, especially as a long scroll describing the landscape of Sichuan, Chin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ased on the Five Pairs of Concepts of Heinrich Wolfflins art history, this paper begins with the form, form, visual logic, viewing experience and vision of <The rugged road to Shu>. Visual Mode and John Bergers Ways of Seeing and other theories and methods to discuss the long scroll landscape painting visual mode.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rugged road to Shu> as a view point, and then discussed the conten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gain with Shen Zhous <Hard is the Road to Shu>, Qiu Yings <Sword Pavilion Diagram> , also as a banner long scroll painting of Lee Inmoons <Gangsan Munjindo>, and the painting of <the drawing Ming king gracious presence Shu>, which originally described the Shu Road. The thorough application of Wolfflins theory finally leads to the reason for drawing the banner form of <The rugged road to Shu> volume with reference to Li Tangs Shu stack pic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