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朝鮮時代 從政圖 놀이의 향유와 관련 詩文들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Enjoyment of Jongjeongdo Game and Relatede Literary works During Joseon Dynasty
저자
임영걸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60(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는 우리 선조들이 조선시대에 즐긴 놀이인 從政圖 놀이에 대한 기록과 종정도 놀이를 소재로 창작한 문학 작품을 수합하여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물이다. 이러한 연구를 시도한 것은 기존 연구들의 자료 수합이 미흡했던 데다, 특히 종정도 놀이를 소재로 창작한 시문들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은 탓에 우리 선조들이 종정도 놀이를 즐기며 가졌던 사유를 살피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구의 결과 종정도 놀이가 조선시대 내내 널리 향유되었음을 확인하고 우리 선조들이 종정도 놀이를 즐기며 얻은 사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정도 놀이는 종이에 격자를 긋고 각 칸에 관직의 이름을 적어놓은 뒤 주사위를 굴려 얻은 끗수에 따라 자리를 옮겨 다니며 먼저 최고 관직에 도착하여 은퇴하는 이가 이기는 놀이로, 오늘날의 말판놀이와 비교해도 크게 다를 것이 없다. 규칙을 자세히 살펴보면 실제 관직의 특성을 반영한 규칙을 설정하여 놀이가 단조로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높은 자리에 올라갈수록 승진을 어렵게 설정하고 벌칙을 받아도 단번에 게임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난이도를 조절하고 역전의 가능성이 차단되는 것을 막고 있다. 여러모로 놀이의 재미를 위해 고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종정도 놀이는 조선 초의 河崙(1347~1416)이 고려시대에 즐기던 말판놀이인 成佛圖 놀이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중국에서 들어온 말판놀이의 영향도 받았다. 종정도 놀이는 조선시대 전시기에 걸쳐 향유되었다.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같은 국가의 공식 기록에 종종 언급되곤 하는데, 交年會 때 밤을 새며 즐긴 일, 종정도 놀이 모임을 모반 기도로 오해하여 조사한 사건 등이 기록되어 있고, 英祖(1724~1776)는 신하들과 토론할 때 종종 종정도 놀이의 규칙을 비유로 들곤 하였다. 개인의 일기에서도 종정도 놀이를 즐긴 기록을 발견할 수 있다. 李文楗 (1494~1567)의 『默齋日記』에는 유배지 星州에서 종정도 놀이를 즐겼다는 기록이 있고, 李舜臣(1545~1598)의 『亂中日記』에는 전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을 때 즐겼다는 기록이 있으며, 壬辰倭亂 때 피난 생활을 한 吳希文(1539~1613)의 『瑣尾錄』에서도 즐겼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종정도 놀이는 유배, 전쟁, 피난 같은 시름겨운 상황 속에서도 우리 선조들의 하나의 위안거리가 되었다고 하겠다. 또 趙克善(1595~1658)의 『忍齋日錄』에는 종정도 놀이를 즐겼다는 기록이 32회나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종정도 놀이는 구한말까지도 계속 향유되었다. 19세기 말 개항장을 무대로 활동했던 풍속화가 金俊根(?~?)의 풍속화에서도 종정도 놀이를 즐기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조선시대 내내 널리 사랑받았던 종정도 놀이는 근대에 들어 과거제도가 폐지되면서 차차 인기를 잃게 된다. 1920년대 후반까지는 어느 정도 인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거의 즐기는 사람이 없어져 버렸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종정도 놀이를 시문의 소재로 취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단편적이고 건조한 일기류 자료의 기록과는 달리 조선시대 문인들이 종정도 놀이를 즐기며 가졌던 사유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그들은 작품 속에서 종정도 놀이에 열중하다가 놀이가 끝난 뒤에 찾아오는 허무함을 말하기도 하고, 현실의 벼슬살이에 대해 얻은 깨달음을 말하기도 하였으며, 교육적 효용을 들어 독자들에게 종정도...
This study collected, reviewed, and analyzed the records of Jongjeongdo(從政圖) game enjoyed by ancestors during Joseon Dynasty and literary works that wrote about Jongjeongdo game. The attempt to conduct such research stems from two reasons. Firstly, existing studies had inadequate data collection. Secondly, even within the available data, there was little interest, especially in poems created based on Jongjeongdo game, which led to a failure in uncovering the reasons Korean forefathers enjoyed play to such an ext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Jongjeongdo game was widely enjoyed throughout Joseon Dynasty and that scholars learned lessons from playing Jongjeongdo game.
Jongjeongdo game is a traditional board game with names of ranking positions written on each square. The players roll a dice and move their horse pieces along the board according to the last number of the dice. The player who arrives the highest ranking first and retires wins. Jongjeongdo is similar to modern board games. In Jongjeongdo game, the rul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ranking positions to prevent the game from getting boring. As the player moves up to the higher-ranking positions, it gets harder to get promoted. The game also prevents the players from dropping out even after receiving a penalty. The game rules adjust the difficulty of game and allow a possibility of reversal. These show that Jongjeongdo game was carefully designed for joy of players.
Jongjeongdo game was made by Ha Ryun(河崙, 1347~1416)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e referred to a board game named Seongbuldo(成佛圖) from Goryeo Dynasty. Jongjeongdo was also influenced by the board games from China. Jongjeongdo game was enjoyed throughout all periods of Joseon Dynasty. It is often mentioned in official national records, such as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For example, records say that people in royal palace enjoyed Jongjeongdo game the last day of the year and that group of people enjoying Jongjeongdo game was mistaken and investigated for rebellion. The 21st king, King Yeongjo(英祖, 1724~1776) also often used the rules of Jongjeongdo game when discussing with his officials. There are also personal diaries that record about enjoying Jongjeongdo game. The 『Mukjae’s diary(默齋日記)』 written by Yi Mun-geon(李文楗, 1494~1567) showed that he enjoyed Jongjeongdo game during his exile in Seongju. 『The War diary(亂中日記)』 by Yi Sun-shin(李舜臣, 1545~1598) also record that Jongjeongdo game was enjoyed by the time when the war was in state of lull. The 『Swaemirok(瑣尾錄)』 by Oh Hui-mun(吳希文, 1539~1613), who lived a life as a refugee during Imjin War(壬辰倭亂), also record about enjoying Jongjeongdo game. Jongjeongdo game was a comfort for ancestors in tough times such as exile, war, and evacuation. There are also 32 records from 『Injae’s diary(忍齋日錄)』 by Jo Geuk-sun(趙克善, 1595~1658) on enjoying Jongjeongdo game. The game was widely loved by people throughout Joseon Dynasty, but it gradually lost popularity after abolishment of state examination system. The game maintained its popularity until the late 1920s, but only few people played the game in the late 1930s.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often wrote about Jongjeongdo in their poetry and prose. These literary works are valuable for demonstrating how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enjoyed Jongjeongdo game and learned lessons compared to fragmentary and monotonous diary records. The scholars talked about feeling emptiness at the end of game after immersing in the game and discussed what they realized about actual life as an official. The scholars also pointed out the educational values of Jongjeongdo game, encouraged the readers to play the game, and advised to keep the virtue learned from Jongjeongdo game when serving as an official.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