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착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ttlement Support for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Recently, international marriage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increasing quantitatively, and interest in the live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is increasing. In the meantime, studies in the multicultural field of Republic of Korea have focused on the issue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Chin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which are relatively many countries of origin. However,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here is relatively little interest in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have highly geographical and cultural similarities to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daptation issues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which they have experienced due to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re actually causing special empirical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is an important issue that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show a low level of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This result differs greatly from the general expectations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have cultural, social, linguistic similarities with Korean society even though they have relatively high political, economic, educational and cultural standards. In Korean society,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been experienced cultural differences in their family and other human relationships, for example, the degree of heterogeneity in parenting methods, family events, and
    family rituals is high. In the case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it can be seen that Korean social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stem from family problem-experience, culture, religion and values compared to married female immigrants from China or Southeast Asian countries.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Koreans due to mal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social prejudice against them. In addition,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with school-age children did not communicate well with school teacher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felt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erefore,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distance issues in their lives, and to live as true members of Korean society without feeling alienated. The preceding studies on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mainly help to understand the general phenomen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the essential contents of ‘Experience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 contents of individual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ssential problems and causes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stable settlement by understanding what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in Republic of Korea, what difficulties and conflicts they face, and how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with their motherlan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discuss ways to support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while respecting the cultures of both countries by considering the process of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in depth,
    which is experienced differently from married female immigrants from other countries, through this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15 themes were derived from meaningful statements about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s in Korean society, and they were organized into 6 categor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s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6 theme groups were found, such as ‘A sense of
    heterogeneity in Korean cultural differences’, ‘Exclusivity to Japanese culture’, ‘Experience of social adaptation as a stranger’,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as a stranger’, ‘Mixture of two identities’, and ‘Living as an immigrant in Republic of Korea’. The 5 categories were again divided into the ‘Situational structure of the social and adaptation experience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Living as an immigrant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 phenomenon of adaptation to life and world experiences’, and ‘Identity
    as an immigrant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results discussed in detail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ituational structure of the social and adaptation experience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2 theme groups were derived from, such as ‘A sense of heterogeneity in Korean cultural differences’ and ‘Exclusivity to Japanese culture’. The Experience of a sense of heterogeneity in Korean cultural differences’ showed in 3 themes (components), including ‘The burden of Korean culture putting family first’,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raditional culture’, an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food culture’ etc. In the theme
    of ‘Exclusivity to Japanese culture’, it was expressed in 3 themes(components), such as ‘Hostility towards Japan’, ‘Fatigue as a Japanese’, and ‘Wounds from historical perception of Japan’. Secondly, in the ‘Living as an immigrant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 phenomenon of adaptation to life and world experiences’, the 2 theme groups were derived from, such as ‘Experience of social adaptation as a stranger’ and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as a stranger’. In the theme of ‘Experience of social adaptation as a stranger’, it showed in 3 themes (components), including ‘Interpersonal conflic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of
    people around them’, and ‘Recognition of minorities in the community’. In the theme of ‘Experience of cultural adaptation as a stranger’, it appeared in 3 themes (components), such as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emotional distance’, an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strangers’.
    Lastly, in the ‘Identity as an immigrant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2 theme groups were derived from, such as ‘Mixture of two identities’ and ‘Living as an immigrant in Republic of Korea’. In the theme of ‘Mixture of two identities’, it showed in 2 themes (components), including ‘Mixture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 an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In the ‘Living as an immigrant in Republic of Korea’, it appeared as 2 themes(components), such as ‘Efforts to adapting a new society and culture’, and ‘Building relationships through acceptance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Japanese women who have married and moved to Korea after married to Korean men through matchmaking of religious groups or in marriage based on love, which are economically stable and have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culture compared to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Vietnam.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they have been experienced a sense of cultural alienation as a stranger,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language communication problems, and problems with their in-laws and
    community members. And, it turns out that they felt the most difficult to prepare food for ancestral rites and had the most conflicts with their mother-in-law and in-law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 measurements to support the stable settlement of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actively improve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ir
    homes by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providing educations for their husbands’ active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nd for other cultur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anguage communication program specialized for Japan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form social support through assistance for small groups of Japanese or exchanges with motherland friends or Korean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establish a network to enable their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더보기

    최근 다문화가정의 국제결혼이 양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결혼이주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다문화 분야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 문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다수의 출신국인 중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에 집중되어 왔고,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적 특수성으로 인해 한국과 지리적, 문화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해방 이후 한국인과 일본인의 국제결혼은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는데, 한⸳일 간의 특수한 관계 때문에 겪게 되는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문제는 실제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와는 다른 특수한 경험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응 수준이 낮은 정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와 문화와 사회 그리고 언어적 유사성이 존재하고 정치, 경제, 교육 문화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수준과도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은 가족을 비롯한 인간관계에서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는데, 예를 들면, 부모 부양방식, 가족 행사 및 가족의례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는 정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결혼이주여성에 비해서 한국사회적응과 부적응의 측면이 가족 간의 문제, 경험, 문화, 종교, 가치관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그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은 한국문화의 부적응과 이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한국인과의 관계를 맺는 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취학 자녀를 둔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은 학교 선생님과의 교류가 그다지 원활하지 못하고 차별을 경험하기도 하며 이웃과의 관계에서 오는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생활전반에 걸쳐있는 문화 차이와 사회적 거리감 문제를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진정한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살아갈 수 있도록 심리적·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은 주로 양적 연구의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여 개략적인 현상 파악에 도움을 주고 있을 뿐,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문화적응 경험’의 본질적 내용과 개개인이 겪은 경험에 관한 내용 자체를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문화적응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방법을 통해서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문화적응 경험의 본질적인 문제점과 원인을 밝히고 그 내용을 구조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문화적응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어떤 어려움과 갈등을 겪는지, 모국과의 문화적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국가 출신 결혼이주여성과 차별화되어 경험하는,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정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양국의 문화를 존중하면서 이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면담의 결과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의 분석 결과,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응 경험 사례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로부터 15개의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6개의 범주로 구성하였다.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응 경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문화 차이에 대한 이질감’, ‘일본문화에 대한 배타성’, ‘이방인으로서 사회적응경험’, ‘이방인으로 문화적응 경험’, ‘두 정체성의 혼재’, ‘한국에서 이주자로서 살아가기’ 6가지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를 다시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경험의 상황구조’,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 생활·세계 경험 적응 현상’,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 정체성’으로 세분화하여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 경험의 상황 구조’에서는 ‘한국문화 차이에 대한 이질감’, ‘일본문화에 대한 배타성’의 2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한국문화에 대한 이질감 경험’은 ‘가족 우선 한국문화에 대한 부담감’, ‘전통문화 적응의 어려움’, ‘음식문화 적응의 어려움’ 등 3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고, ‘일본문화에 대한 배타성’은 ‘일본에 대한 적대감’, ‘일본인으로서의 피로감’, ‘일본에 대한 역사 인식으로 인한 상처’ 등 3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 생활·세계 경험 적응 현상’은 ‘이방인으로서 사회적응 경험’과 ‘이방인으로서 문화적응 경험’ 2개의 주제군으로 나타났다. ‘이방인으로서 사회적응 경험’은 ‘인간관계 갈등’, ‘주변 사람의 차별과 편견’, ‘지역사회에서의 소수자 인식’ 등 3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고, ‘이방인으로서 문화적응 경험’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 ‘정서적 거리감으로 인한 소외감’, ‘낯선 관계의 어려움’ 등 3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 정체성’은 ‘두 정체성의 혼재’, ‘한국에서 이주자로서 살아가기’의 2개의 주제군으로 나타났다. ‘두 정체성의 혼재’는 ‘한국과 일본 문화의 혼재’,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 2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고 , ‘한국에서 이주자로서 살아가기’는 ‘새로운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노력’, ‘한국사회⸳문화 수용을 통한 관계 맺기’ 등 2개의 주제(구성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종교단체의 중매 혹은 연애로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이주한 일본여성들로서 중국과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여성들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교육과 문화 수준도 높은 편이다. 이들은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 이방인으로서의 문화적 소외감, 언어소통 문제로 인한 소외감, 시댁 및 지역사회 구성원 등과의 문제 등을 경험하였으며, 조상제사를 위한 음식준비를 가장 어렵게 느끼고 시어머니와 시댁 식구와 가장 많은 갈등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할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가족문화를 이해하고 남편의 적극적 가사 참여를 위한 교육 및 타문화의 이해를 위한 교육 등의 안내를 시행하여, 이들이 가정 내 문제와 문화 차이의 문제를 능동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정부 주도의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에 특화된 언어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일본인으로 구성된 소규모 모임의 지원이나 지역사회 내의 모국 친구 또는 한국인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형성하고, 이들의 지역사회참여가 가능하도록 연결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8
    • 제2장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실태 및 지원현황 12
    • 제1절 국제결혼과 이주여성의 적응 실태 12
    • 1. 국제결혼 실태분석 및 특성 12
    • 2. 결혼이주여성의 실태분석 22
    • 3. 결혼이주여성의 지원현황 33
    • 제2절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실태 분석 37
    • 1.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현황 37
    • 2.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특성 42
    • 3.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실태 46
    • 제3절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51
    • 1.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국적 취득면에서 본 정체성 51
    • 2.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에서 본 정체성 58
    •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60
    • 제1절 연구방법 60
    • 제2절 연구절차 61
    • 1. 연구 참여자 선정 및 특성 61
    • 2. 자료수집 방법 65
    • 3. 자료분석 69
    • 제4장 연구결과 72
    • 제1절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상황 구조 분석 76
    • 1. 한국 문화에 대한 이질감 77
    • 2. 한국의 일본 문화에 대한 배타성 84
    • 제2절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 생활세계 경험 87
    • 1. 이방인으로서의 사회적응 경험 88
    • 2. 이방인으로서 문화적응 경험 94
    • 제3절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자로서의 정체성 100
    • 1. 두 정체성의 혼재 100
    • 2.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103
    • 제5장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착지원 108
    • 제1절 전통가족문화의 이질감 극복을 위한 지원 방안 108
    • 1. 일본과 다른 한국의 가족문화 108
    • 2. 가족관의 변화와 한국문화 적응 109
    • 제2절 세부적인 맞춤형 언어 프로그램 개발공급 지원 방안 112
    • 1.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동기 112
    • 2.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맞춤형 언어 프로그램 제공 116
    • 제3절 이주자로서의 정체성 확보 방안을 위한 지원 방안 118
    • 1.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특수성 118
    • 2. 일본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유지 119
    • 제6장 결론 122
    • 제1절 연구요약 및 결과 127
    • 제2절 결론 및 제언 130
    • 참 고 문 헌 134
    • 부 록 143
    • ABSTRACT 148
    더보기
    • 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 교 출판부, 2004
    • 2 전남표, "국제결혼학 개론", 서울: 문예림, 2008
    • 3 박인철, "생활세계와 의사소통", 철학과 현상학 연구, 31, 1-33, 2006
    • 4 박성희,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원미사, 2004
    • 5 천정웅,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파주: 양서원, 2015
    • 6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파주: 돌베게, 2014
    • 7 박미정, "결혼이주여성 이혼 경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8 김금자, 이금재, 박인숙, 김진경,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 의 비교 고찰", 대한 간호학회지, 29. .1208-1220, 1999
    • 9 이근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2007
    • 10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가족과 상담, 5, 1-20, 2015
    • 11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2016
    • 12 김철진,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 연구", 한국어교육연구, 7, 53-78, 2017
    • 13 김연수, 박지영,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경험 연구", 한국가족 복지학. 30, 269-298, 2010
    • 14 조현미, "일본인 국제결혼여성의 혼성적 정체성", 일본어문학, 45, 521-544, 2009
    • 15 이정희,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생애사 연구", 일본근대학연구, 35, 233-253, 2012
    • 16 김태원, "생활세계와 이방인으로서의 결혼이주민", 현대사회와 다문 화, 4, 1-26, 2014
    • 17 권용혁, 김원식, "한 중 일 3국 가족의 의사소통 구조 비교", 서울: 이학사, 2004
    • 18 김석란, "재한일본인아내의 결혼동기에 관한 연구", 일어교육, 42, 241-258, 2007
    • 19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2005
    • 20 나혜숙, "실직자 재취업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백석대학교 기 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21 장성현, "제례음식과 의식에 관한 인지도 조사 연구", 세종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22 박주희, 정진경,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 리학회지: 여. 12(4), 395-432, 2007
    • 23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2008
    • 24 서미경, "중고령 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25 이민자, 이영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관계", 한국공공관리학보, 30(3), .53-76, 2016
    • 26 김현숙,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27 박미은, 이미림, 신희정,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 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3, 213-244, 2012
    • 28 김윤정, "한국, 중국, 일본 며느리의 한국에서의 부양 경험", 디지털 융복합연구, 12(8), 501-513, 2014
    • 29 김석란, "국제결혼을 통해 본 재한 일본여성의 생활관 연구", 경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30 이정희, "이용자의 경험을 통해 본 사례관리의 의미와 본질", 삼육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31 김석란, "한일국제결혼을 통해 본 문화적 갈등에 관한 연구", 일어일 문학, 7, 287-299, 2008
    • 32 이승현, 김복태, "결혼 이민자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4, 1-178, 2015
    • 33 윤구원,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 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34 윤세라, "일본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 국제문화교류학회, 9, 271-296, 2020
    • 35 박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36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 성연구, 46(1), 141-181, 2007
    • 37 정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적응 유형에 관한 질적비교 연구", 백 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38 설동훈, 윤홍식,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사회보장연구, 24, 109-133, 2008
    • 39 정선주,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40 민서정, "연애결혼 이민자 여성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41 한혜빈,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관한 다문화적 비교연구", 일본연구, 45, 249-272, 2019
    • 42 설동훈, 조성남, 이혜경, "결혼이민자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 원정책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39-41, 2006
    • 43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 석", 농촌사회, 16(2), 151-179, 2006
    • 44 이혜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 경제적 참여에 관한 연 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45 윤형숙,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 망",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4
    • 46 서양임, "일본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문화심리적 현 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47 서양임, 한재희, "일본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자녀 양육의 문화 심리적 현상", 상담학연구, 17, 465-486, 2016
    • 48 임동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49 김진희, 박정숙, 박옥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3), 67-84, 2007
    • 50 봉진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과 교사의 교육 경험에 관한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51 노지영, 정혜온, 정진경, 박정의,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정체성이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 일본언어문화, 29, 563-586, 2014
    • 52 강유진,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1999
    • 53 안효자, "농촌거주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과정에 대 한 문화기술", 정신간호학회지, 27(4), 394-405, 2018
    • 54 김명주, 최정혜, "다문화가정 일본인 아내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비교", 일본학, 37, 65-86, 2016
    • 55 박애스더, "연애결혼한 일본인 이주여성의 자녀 양육 갈등과 대처 에 관한 질적 연구", 일본언어문화, 38, 281-302, 2017
    • 56 이은아, "글로벌 하향혼으로서 결혼이주의 정치학 : 일본 결혼이주 여성을 중심으로", 페니니즘연구. 15(1), 131-167, 2015
    • 57 김현미, "결혼여성이민자의 문화적 역량 중진을 위한 다문화 사회 복지실천 방안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58 이지선, 천혜정, "한국남성과 연애 결혼한 일본여성의 한국결혼생 활 적응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57-76, 2008
    • 59 정기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 특성과 이민생활 적응: 출신 국 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 연구, 20, 70-104, 2008
    • 60 남춘모, "다문화가정의 종교가 가족통합과 정체성 확립에 미치는 영향-일본인 결혼이주여성(통일교)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근대학 연구, 56, 249-26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