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간 차별화 된 홍보영상 콘텐츠 개발 연구 - 부산지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motional Video Contents betwee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
저자
백재훈 (인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23(1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nfluenced by the continued reduction in university entrance resources and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of the government, domestic universities are already entering the fierce struggle for existence and under the rule of the market principle,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al consumers with different values to be chosen. Especially, the universities in Busan are in a more tense and tough situation than those in metropolitan areas. Therefore, local universities are endeavoring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ocusing on their own unique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 variety of promotion strategies to promote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use of promotion videos is increasing more particularly, as a communication tool of universities. In this circumstance, there is yet a shortage of studies to systematically compar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promotion videos of universities in Busan and there is even an absence of cases to develop novel promotion contents, based on i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promotion video by applying the overall types of narrative of promotion video, which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promotion of universities in Busan,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o the planning. The study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latest promotion videos of 14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among them.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 general, the majority of promotion videos of the universities have a descriptive narrative type. Each of the videos consists of averagely 8-minute sequential contents, based on a narration of one person. Moreover, when it comes to visual expressions, the similarity between scenes and effects was found in a number of videos. This means there is a need to apply differentiated stories, creative screens, and visual effects that mirro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Second, on the basis of the data extracted, promotion video contents of Inje University were developed by introducing an omnibus type distinguishing itself from promotion videos of other universities to differentiate the ways of conveying stories, and creating a screen strategically to enhance the brand. To increase the usefulness, these contents were designed to be serviced on the university homepage and the Youtube channel and offer individual services for each episode when needed, using omnibus features.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development plan devised in this study would serve to develop effective promotion contents and establish a creative strategy for getting rid of similarity and uniformity between universities when producing promotion videos, under the regime of accelerating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더보기대학 입학자원의 지속적인 감소와 정부의 대학 구 조개혁 정책으로 국내 대학은 이미 치열한 생존경쟁 체제하에 돌입하였다. 이제 대학은 시장원리의 지배하 에 각기 다른 가치를 교육 소비자에게 제공해야만 선 택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부산지역 대학들은 수도 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박하고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지역대학은 고유의 역량을 중심으로 특성 화하고 있으며, 이를 대내외적으로 알리고자 다양한 홍보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더불어 대학의 커뮤니케이 션 도구로서 홍보영상은 그 활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 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지역 대학의 홍보영상 현황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홍보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례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4년제 대학의 대표적인 홍보매체인 홍보영상의 내러티브 형식과 크리에이티 브 특성을 파악한 후 도출된 결과를 기획구성안에 반 영하여 경쟁력 있는 홍보영상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 구의 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4년제 14개 대학을 대상으로 최신의 홍보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하 였다. 조사결과 대학들의 홍보영상은 서술형 내러티브 형식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한 사람의 내레이션을 기반으로 순차적인 내용을 평균 8분 정도로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시각적 표현에서 장면과 효과의 유사성 이 다수 파악되었다. 각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 된 이야기 형식을 바탕으로 창의적 장면연출과 새로 운 시각효과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추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지역의 다른 대학 홍 보영상들과 구분되는 이야기 전달방식을 도입하고, 대 학의 브랜드 제고를 위한 내용을 전략적으로 구성하 고자 옴니버스 형식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인 제대학교의 홍보영상 콘텐츠는 대학의 홈페이지와 유 튜브 채널에서 서비스하는데 있어 필요에 따라 에피 소드 별로 개별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활 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속화되어 가는 입시경쟁 체제하 에 홍보를 위한 콘텐츠 제작에 있어 대학 간의 유사 성과 획일성을 탈피하여 효과적인 융합형 콘텐츠의 개발과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KCI등재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