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남방언 합성명사의 의미 불투명성에 대하여 = On the Semantic Opacity of Compound Nouns in the Jeonnam Dialect.
저자
박은경 (순천대학교 박사과정)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1(31쪽)
제공처
이 논문은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구성요소인 두 어근의 의미만으로 합성명사의 의미를 추측하기 어려운 의미 불투명성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또한 의미적 불투명성을 보인 합성명사라 할지라도 어근과 합성명사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으며 이러한 연관성을 모양, 속성, 기능, 감각 등 유사성의 관점에서 살피기로 한다.
의미 불투명성은 단어 구성요소의 의미가 형성된 단어의 의미에 승계되지 않는 성질을 뜻한다. 유사성은 다의어를 형성하거나 언어 의미를 확대하는 은유를 설명하는 기제가 되는데, ‘가시방석’과 같은 은유적 합성명사는 의미 불투명성 합성명사와 비슷한 개념이다. 이를 통해 유사성이 은유적 합성명사와 비슷한 개념인 의미 불투명성을 설명하는 기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의미 불투명성을 가진 합성명사는 ‘홍두께떡’과 같이 N1의 의미가 불투명한 경우, ‘바우꼿’과 같이 N2의 의미가 불투명한 경우, ‘꿀방멩이’와 같이 N1과 N2 두 어근의 의미가 불투명한 경우로 나누어 제시한다. 이들을 분석하면 외적인 형태나 모양의 유사성을 찾을 수 있고, 내면에 가진 습성이나 속성이 유사하기도 하다. 또한 어휘가 가지는 기능이 유사하거나 시각, 촉각 등의 감각에서 유사성을 보이기도 한다.
의미 불투명성을 가진 합성명사는 모양, 속성, 기능, 감각 등의 유사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합성명사는 전남방언 화자들의 주변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동물, 식물, 농기구, 도구 등을 결합한 것을 알 수 있고 방언 화자들의 경험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opacity of compound nouns in the Jeonnam dialect, which refers to the difficulty of deducing the meanings of compound nouns based solely on the meanings of their two constituent morphemes. Despite the semantic opacity exhibited by some compound nouns, this study explore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morphemes and the compound nouns from the perspectives of shape, attribute, function, and sensation similarities. Semantic opacity implies that the meanings of the constituent parts do not always carry over to the combined form. Similarity, which serves as a mechanism for explaining metaphors that expand the meaning of language or form polysemous words, is akin to the concept of semantic opacity in metaphorical compound nouns such as "thorn seat." This establishes that similarity can also be a mechanism explaining the semantic opacity found in metaphorical compound nouns. Compound nouns with semantic opacity are presented in cases where the meaning of N1 is opaque, as in "red bean rice cake," the meaning of N2 is opaque, as in "cow's stomach," or both N1 and N2 are opaque. Analysis of these nouns reveals external similarities in form or shape, as well as similarities in intrinsic attributes or properties. The lexical functions or sensory similarities such as visual or tactile aspects are also explored. Compound nouns with semantic opacity exhibit similarities in shape, attributes, functions, and sensations. These nouns often combine elements familiar to speakers of the Jeonnam dialect, such as animals, plants, agricultural tools, and other tools,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the dialect speaker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