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사회에 대비한 교육행정직 능력개발의 방향
저자
김길룡 (한국미래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83(27쪽)
제공처
21세기는 지식사회이다. 지식사회는 정보화사회가 발전되어 나타나는 사회로, 정보인프라 위에서 신념·가치관·창의력 등 인간의 내면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학습능력이 발휘되어 지식인프라가 구축되고, 이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지식이 발전의 기본 축인 동시에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이다.
지식사회는 지식근로자를 요구한다. 지식근로자는 환경변화에 따라 학습능력을 발휘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일에 적용해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해 가는 인간자원이다. 지식사회에서는 업무의 전과정이 지식근로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경쟁력이 발휘되므로 대부분의 직업인은 지식근로자나 준 지식근로자에 접근해야 하는데, 특히 교육행정직은 대표적인 지식근로자가 되어야 할 당위성이 있다.
교육행정직은 학습의 바탕이 되는 내면적 자원과 기본학습능력을 길러야 하고, 이를 위한 개별학습과 팀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교육행정조직은 프로젝트 중심의 팀제로 전환하고 학습조직을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조직은 교육행정직능력개발의 핵심요소가 된다. 지식사회에 대비해 교육행정조직의 학습조직 운영을 위한 제반조건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21st century society becomes Knowledge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Society is the one continually built up the knowledge infrastructure by creating and accumulating the new knowledges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responding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The new knowledges created from the knowledge infrastructure are the source of development and competition. The knowledge worker is a needed human resource in Knowledge Society.
The knowledge worker continually creates the new knowledges playing his learning competen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creates the added values through applying the new knowledges to the work. Every work and its process should be performed by the knowledge worker to increase a high degree of competitive power. Most worker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the knowledge worker, particularly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become a competent knowledge worker, every educational administrator would constantly develop his inner resources such as belief, values, and creativity, and the basic learning competences through various individual and team learning activities.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organization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the project centered team system, and to operate the learning organization. The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learning organization have to be closely connected to promote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To operate th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organizations is the essentials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response to Knowledge Socie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