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개정 형사소송법 상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탄핵증거로의 사용 = Qualification as impeachment evidence of protocol concerning interrogation of a criminal suspect, prepared by a prosecuto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42(30쪽)
제공처
소장기관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요건을 개정한 형사소송법이 시행되면서 앞으로는 피고인이 법정에서 이를 증거로 함에 동의하지 않는 한, 증거능력을 부여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피고인의 수사기관에서의 진술을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요건 하에 법정에 현출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 역시 이러한 논의의 일환으로, 피고인의 내용부인으로 증거능력이 부인된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를 탄핵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형사소송법 제318조의2, 제1항에 따르면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는 제312조에 따라 증거능력이 부인된 서류이므로 탄핵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증거능력 요건을 엄격히 한 개정법의 취지가 공판중심주의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라면, 공개된 법정에서 법정 진술에 대해 탄핵신문을 하고 탄핵증거를 제출하면서 공방하는 것은 공판중심주의에 부합하는 모습이 될 것이므로, 개정법의 취지에 비추어보더라도 증거능력이 부인된 검사 작성 피신조서에 대해 탄핵증거로서의 자격을 인정함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피고인의 진술은 탄핵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견해도 있으나, 법 제318조의2, 제1항에서는 피고인의 진술을 탄핵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탄핵할 실익 역시 충분하므로 부인할 이유가 없다. 이는 피고인에게 헌법상 보장된 진술거부권이 있다는 점과는 그 결을 달리한다. 피고인은 진술거부권이 있고, 진실을 말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피고인은 자신이 법정에서 행한 진술에 상대방으로부터 질문을 받을 수 있다. 법정에서의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건의 실체 관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공판중심주의의 구현일 것이다. 종합하자면, 위법수집증거나 진술의 임의성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닌 한, 전문증거로서 증거능력이 부인된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로 법정에서의 피고인의 진술을 탄핵하는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증거능력 없는 피의자신문조서를 통해 탄핵신문을 할 경우 법정에서 해당 조서의 내용이 낭독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하여는 미국의 기억환기용 제시제도나 독일의 제시 제도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방식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미국처럼 해당 조서의 내용을 피고인에게만 보여주고 피고인의 진술만을 법정에 현출하여 증거로 삼는 방식 또는 독일처럼 낭독을 허용하되 공판조서에 기재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 등을 참고하여 형사소송규칙 등으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탄핵증거로 신청할 때에는 그 취지를 명확히하고, 탄핵증거로 제출하는 부분만을 특정하여 제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탄핵증거는 주요사실에 대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그 본질적 한계로 인하여 판결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것이 의외의 물꼬를 터줄 수도 있고, 또 공판중심주의의 구현에 큰 역할을 할 수도 있으리라는 기대도 있다. 모쪼록 개정 형사소송법 하에서의 법정의 바람직한 운용방식에 대해 학계와 실무의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더보기Article 31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has been amended. Now the protocol concerning interrogation of a criminal suspect, prepared by a prosecutor is admissible as evidence only when the defendant agrees the contents of his own statement are truthful. However, even if the evidence is not admissible as evidence by the hearsay evidence rule, it can be used for impeach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by prosecutor, which is inadmissible by the hearsay rlue could be used as evidence of impeachment against the defendant's statement. It is stipulated in Article 318-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at ‘A document or statement otherwise inadmissible as evidence under Articles 312 through 316, shall be admissible, if it is produced to challenge the admissibility of a statement of a criminal defendant or a person other than the criminal defendant at a preparatory hearing or a trial’. According to this, protocol concerning interrogation of a criminal suspect, prepared by prosecutor which is inadmissible by the article 312(1), can be used for impeachment. Also as stipulated in Article 318-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not only the witness’s but also the defendant’s statement can be impeached. It may cause some issues about the defendant’s right to remain silent, but the debate over whether the defendant's statement can be impeached or not takes place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The defendant has a constitutional right to refuse to state. So, he can be silent. But also he can and should be asked about the statement he did in the courtroom. Impeaching the defedant's statement is helpful for fact-finders to find fact, and it is the way to go the principle of court-oriented proced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