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ancellable biometric scheme from conventional to deep neural adversarial network
저자
발행사항
[Seoul]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2024.8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영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취소 가능한 생체 인식 시스템의 전통적인 방법을 기반으로 한 방법부터 심층적인 적대적 신경망 네트워크를 적용한 방법까지의 연구
형태사항
x, 127장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Andrew Beng Jin Teoh
UCI식별코드
I804:11046-000000555747
소장기관
This research addresses the pressing security and privacy concerns surrounding biometric template protection by introducing three innovative approaches, from traditional to recent deep learning methods. Firstly, the RSBE-IoM hashing scheme enhances IoM hashing by incorporating both first and second-ranked features, thus enhancing discriminability. Furthermore, it introduces a Random Sparse Binary (RSB) encoder with instance-specific seeding, ensuring enhanced security. Evaluation across six fingerprint benchmark datasets demonstrates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accuracy, computational cost, and compliance with biometric template protection criteria. Secondly, the CSMoFN scheme presents a deep-learning-based end-to-end multimodal cancellable biometric approach, integrating face and periocular traits. Through feature extraction, transformation, and compression modules, it achieves verification performance while ensuring Non-linkability, Revocability, and Non-Invertibility. Training and evaluation with six face/periocular multimodal datasets validate its effectiveness. Lastly, the AdEx-HashNet scheme introduces an end-to-end Cross-modal Cancellable Biometrics approach, utilizing an adversarial hashing network for template protection. Leveraging face and periocular modalities, it achieves performance while satisfying Non-Invertibility, Revocability, and Non-linkability criteria. Evaluation across five datasets demonstrates its efficacy in authentication systems, and the Diffusion model employed for reconstructing images from hashed vectors in Non-Invertibility. In addition, a new metric is proposed for the analysis of Non-Invertibility named Success Attack Rate (SAR). These approaches offer robust solutions to the challenges posed by Biometric Template Protection, balancing Security, Privacy, and Performance considerations.
더보기이 연구는 전통적인 방식부터 최신 딥러닝 방식까지의 세 가지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생체 인식 템플릿 보호와 관련된 시급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한다. 첫째, RSBE-IoM 해싱 방식은 1순위와 2순위 특징벡터를 통합하여 IoM 해싱을 강화함으로써 식별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객체별 시딩(seeding)이 가능한 랜덤 희소 이진(Random Sparse Binary) 인코더를 도입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6개의 지문 데이터셋에 대한 인식 성능, 계산 비용, 생체 인식 템플릿 보호 측면에서 강인함이 입증되었다. 둘째, CSMoFN 방식은 딥러닝 기반의 end-to-end 멀티모달 취소 가능한 생체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여 얼굴과 눈 주변 특성을 통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특징 추출, 변환, 압축 모듈을 통해 비연결성, 취소 가능성, 비가역성을 보장하면서 인증 성능을 달성한다. 6개의 얼굴/눈 주변 다중 데이터셋을 사용한 훈련 및 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AdEx-HashNet 방법은 템플릿 보호를 위해 적대적 해싱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end-to-end 방식의 교차 모달(cross-modal) 취소 가능 생체인식 접근 방식을 도입한다. 트랜스포머 기반의 특징 추출기와 생성형 알고리즘 기반의 해싱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 이미지를 사용하는 모델이 가지는 한계를 최소화 한다. 또한, 얼굴 및 눈 주변 이미지를 활용하여 비반전성, 취소 가능성 및 비연결성 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성능을 달성한다. 5개의 데이터셋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인증 시스템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으며, 해시 벡터로부터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적대적 공격 시나리오를 확산 모델(Diffusion Model)을 기반으로 제시한다. 이미지 재구성에 대한 공격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지표인 SAR (Success Attack Rate)를 사용함으로써, 최근 대두되고 있는 딥페이크와 같은 공격에 대해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보안, 개인정보 보호, 성능 고려 사항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생체 인식 템플릿 보호가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