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출토 문자로 본 ‘옥저’ -‘夭租’에서 ‘沃沮’로- = “Okzer(沃沮)” from excavated texts: From Yaozo(夭租) to Okz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89-322(34쪽)
제공처
‘옥저’의 한군현 시기 명칭은 ‘夫租’이며 이후 ‘沃沮’로 변화한 것으로 여겨왔다. 『漢書』 지리지의 낙랑군 소속 현명에 ‘夫租’가 ‘옥저’에 해당하며, 평양의 樂浪故地에서 출토된 「夫租丞 印」 봉니와 「夫租薉君」 인장의 존재로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잊혀진 연구가 되었지만, 당초에는 『한서』 지리지의 ‘夫租’는 옥저로 혹은 ‘沃沮’의 誤記 라 여겨왔다. 특히 1917년 재발견된 唐鈔本(660) 『翰苑』의 〈한서ㆍ지리지〉에 「夭祖」 로 표기된 것을 근거로 ‘夫租’의 ‘夫’는 ‘夭’의 誤記로 보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1936년 「夫租 丞印」 봉니 그리고 1958년 「夫租薉君」 인장의 출토로 인해 현재와 같이 ‘夫租’에서 ‘沃沮’ 로의 변화가 일반적인 견해가 된것이다.
1986년 ‘夫租薉君’ 인장의 ‘夫’字는 ‘夭’의 隸書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는 金元龍의 제안을시작으로 1999년 林沄은 金文과 戰國時代 簡牘帛書에서 ‘夭’字의 자형과 그 변화를 통해 ‘夫 租’ 銘 봉니( )와 인장( )의 자형은 ‘夭(宎)’의 약자라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이는 甲骨文을비롯하여 金文ㆍ璽印封泥ㆍ簡牘帛書 등 광범위한 출토 문자에 의한 연구의 산물이다. 문자학적으로 다시 ‘夫租’로 回歸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이에 따라 ‘沃沮’는 ‘夫租’가 아니라 ‘夭租’에서 변화되었으며 그 시기는 후한대로 추정하였다. 후한말 服虔( ~192)의 『漢書』 注文에 처음 보이고, 王莽代(기원 9~23)까지 상황을 보여주는 『한서』 지리지에 ‘夭祖’(夫租)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夭租縣을 포함한 낙랑군 소속 현의 명칭에는 변동이 적지 않았다. 部首字의 첨삭, 聲旁의자형 축소를 통해 정제된 한식 지명처럼 미화하거나,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
그 시기는 대체로 낙랑군 東部都尉를 폐지(기원 30년)하고 토착 渠帥로 하여금 縣侯를 삼아侯國 체제로 전환된 뒤였다. ‘夭租’에서 바뀐 ‘沃沮’에는 “비옥하고 바다로 가로막힌 지역의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夭租’에서 ‘沃沮’로의 변화는 侯國으로 전환된 후 독립된정치체를 지향하던 시기의 산물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bujo and Okzer. First, we organized the processes that we have studied so far in chronological order. Secondly, we considered the view that “husband tax” is “early death tax.” Through this, I pointed out various problems of “husband tax”. In order, it is summarized as follows.
① It is the view that ‘Buzo(夫租)’ is a misstatement of ‘Okzer’. The main reason was that it was written as “Early Death” in the historical book “Hanwon,” which was discovered in 1917. ② ‘Okzer’ is a misstatement of “husband’s tax”. It is based on relics engraved with the “Busujoin” in Pyongyang in 1937. In 1958, the seal of “Buzoye(夫租 薉)-kun(君)” was added, and it became a established theory.
③ Resurrection of the “‘Buzo(夫租)’: This is a new claim by Chinese scholars that the “‘Buzo(夫租)’ in 1999 should be regarded as “yaozo(夭租).” It was not introduced or discussed in Korea and Japan.
This issue is not a matter of choice. It should be continued to explain the identity and historical image of Okz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