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5~6세기 백제 이해를 위한 배경적 고찰 = Baekje and Eastern Asian world in 5th to 6th century
저자
박순발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44(40쪽)
제공처
중국의 정치체제는 서한 무제(武帝)이전까지 재상(宰相) 중심이었으나 그 이후 궁중 내관(內官)인 상서(尙書)를 통한 황제권의 영향을 확대하면서 동한대에 이르러 상서대(尙書臺) 가 3공9경을 대신하게 된다. 동한 말 승상(丞相) 지위에 있으면서 정권의 핵심인 상서대를장악한 조조(曹操)가 조영한 업성(鄴城)의 궁성은 상서를 중심으로 하는 내조(內朝) 중심의정치 공간과 함께 황제의 정무 공간인 외조정전을 나란히 배치한 병렬제(騈列制)였다.
백제는 처음 재상 중심제의 일종인 좌ㆍ우보제(左ㆍ右輔制)에서 고이왕 27년 이후 좌평제가 성립되면서 국왕 친정(親政)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왕의 남당(南堂) “청사(聽事)”가시작된다. 양한(兩漢) 시기 중앙의 재상부(宰相府)나 지방의 군(郡) 태수부(太守府) 및 교위부(校尉府)등 정무 공간은 규모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 구조는 다르지 않다. “중당(中堂)” 혹은“정당(正堂)”으로 부르는 정전 남쪽에 행정을 담당하는 제조(諸曹) 관서(官署)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백제의 “남당”은 중당 남쪽의 제조 구역에 위치한 정사당(政事堂)을 의미하는 명칭으로서 그 기능은 상서대의 조당(朝堂)에 상당하는 것이다. 남당의 설치로 인해 백제의 궁성의 정무공간은 중국의 병렬제와 다른 단일 중축선 체제를 취하게 된다.
본격적인 독립능원제(獨立陵園制)는 진시황(秦始皇) 능원에서 시작된다. 서한은 진(秦)을계승하면서, 황제릉과 황후릉을 동영(同瑩) 이혈(異穴) 합장하였다. 동한은 황제와 황후를 동혈(同穴) 이실(異室) 합장하고, 봉분의 형태도 진시황릉 이래의 복두형(覆斗形)에서 원형으로바뀌고, 동시에 묘실도 동서 방향의 수혈식에서 남북 방향의 횡혈식으로 전환하였다. 능원의 경계 또한 종전 항토장(夯土墻)에서 죽목(竹木) 울타리 형태의 행마(行馬)로 대체하였다.
위진(魏晉) 및 남조(南朝)는 기본적으로 동한제도를 계승하였으나, 북위는 황제 황후 동영 이혈 합장 방식의 서한 능원제를 수용하였다. 웅진ㆍ사비기 백제는 동시기 중국의 남조 능원제와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능묘의 위치 선정과 관련한 상묘(相墓) 혹은 풍수(風水) 사상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황실을 비롯한 권문(權門) 사족(士族)은 혈연적으로 가까운 직계성원들을 같은 능묘원에 함께 안장하는 취족장(聚族葬)을 채택하고 있었는데, 백제 역시 그러하다.
“임나(任那)”는 삼한(三韓) 가운데 변한(弁韓) 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400년 무렵 고구려 남정(南征) 이후 신라의 남쪽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누대에 걸쳐 일본열도를 왕래하던해상세력의 거점이었던 지역 혹은 정치체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임(任)”은 “님”의 뜻과 함께담보(擔保) 혹은 질(質)로써 맡긴다는 의미이고, “나(那)”는 땅이나 정치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명명(命名) 주체는 5세기 초~전반 당시 정세를 주도한 고구려이다
China’s political system was centered around prime ministers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武帝) in the Western Han period. However, afterward, the influence of the emperor expanded through the Shangshu (尙書) system within the imperial court. During the Eastern Han dynasty, the Shangshu Palace (尙書臺) replaced the Three Dukes and Nine Ministers (3公9卿). At this time, the powerful warlord Cao Cao(曹操) controlled the Shangshu Palace in Ye City (鄴城), which was a parallel system with the Neizhao (內朝) as the political center and the Waijiaozhengjian (外朝正殿) as the emperor’s administrative space.
In Baekje, the initial system which had been the Left and Right Assistants (左·右輔 制) evolved into prime ministers. After King Goi’(古爾)s 27th year of reign, the six Prime Minister system was established, shifting power to the king’s direct rule. Consequently, for the “Cheongsa” (聽事) that means conducting state affairs, office was established in the palace, which was the “Namdang(南堂)”. During the Han period, both central prime ministerial offices and local governor offices had similar basic structures, with administrative functions carried out in the “Zhungdang” (中堂) or “Zhengdang” (正堂) halls. In Baekje, the “Namdang”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Zhungdang, serving a role equivalent to the Shangshu Palace’s assembly hall(朝堂). This installation of the “Namdang” assembly hall shifted Baekje’s administrative space from the parallel system to a single-axis system, unlike China.
The formal independent tomb shrine system (獨立陵園制) began during the Qin(秦) Dynasty under Emperor Qin Shi Huang(秦始皇). In the Eastern Han, it continued this system, combining the tombs of emperors and empresses with shared locations (同瑩) but different chambers (異穴). The shape of burial mounds also changed from the rectangular form (覆斗形) since the Qin Dynasty to a circular form. Additionally, the orientation of tombs shifted from east-west to north-south. The boundary of the tomb shrine was replaced from rammed earth walls (夯土墻) to bamboo fences (竹木) for ease of movement. During the Wei-Jin(魏晉) and Southern Dynasties(南朝), the basic Eastern Han system was maintained, while the Northern Wei(北魏) adopted the Western Han’s tomb shrine system with shared locations for emperors and empresses. Baekje during the Ungjin(熊津) and Sabi(泗沘) periods showed similarities to contemporary Chinese Southern Dynasties’ tomb shrine system. Notably, the selection of tomb locations was influenced by geomancy (風水) and the concept of “sangmyo” (相墓). The aristocracy, including the royal family, adopted the practice of collective burials (聚族葬) for close blood relatives in the same tomb shrine, similar to China.
The term “Imna” (任那) referred to the region of Byeonhan (弁韓) among the Three Hans(三韓), which served as a hub for maritime activities between the southern coast of Silla and Japan. The name combines “Im” (任), meaning trust or responsibility, and “Na” (那), signifying land or a political entity. The naming authority was Goguryeo(高句麗),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egion during that tim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