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타마자(John Van Neste Talmage)의 한국선교 연구, 1910-1942 ‐ 토착적 선교와 한국교회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John V. N. Talmage’s Evangelistic Work in Korea, 1910-1942: Focusing on Indigenous Mission and Church Relations
저자
최영근 (장로회신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93(29쪽)
제공처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타마자의 토착적 선교에 초점을 맞추어, 남장로회와 한국교회 관계, 신사참배 수용 이후 한국교회에 대한 남장로회의 입장과 태도, 반기독교적 일제에 대한 남장로회의 대응과 자세,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타마자는 남장로회의 자립, 자전, 자치의 선교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완전히 독립적인 한국교회를 중심으로 한국인이 주도하는 토착적 선교를 지향했다. 타마자의 토착적 선교는 선교사가 교회와 선교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며 권위주의와 기득권을 내려놓고, 하나님나라 실현과 복음전파를 위해 한국교회에 봉사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신학적 이해에서 가능했다.
1938년 일제의 강요로 한국교회가 신사참배를 수용하면서, 남장로회는 한국교회와 기관적 연결을 끊고 새로운 관계로 전환하였다. 타마자는 외적인 요인으로 한국교회와 선교회가 단절되었지만, 완전히 독립적이면서, 상호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선교사들이 한국교회의 주도 아래 전도활동에 참여하는 단계로 이행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성서적, 종말론 확신을 가지고, 우상화된 일제의 권력 앞에 굴복한 한국교회를 긍휼히 여기면서도 비가시적 교회의 온전함과 회복을 확신하였고, 한국교회를 향한 변함없는 신뢰를 가지고 교회가 추구해야 할 선교적 사명에 주의를 환기시켰다. 타마자의 토착적 선교의 비전은 해방 이후 남장로회의 “선교회-교회 관계”에 반영되었다. 타마자는 선교회로부터 독립한 완전히 자율적인, 능력있는 한국교회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하나님나라의 실현을 위해 한국교회와 협력하는 선교회의 역할을 앞장서서 실현해 나갔다. 그의 토착적 선교는 남장로회의 한국선교의 방향과 의미를 명확히 제시한다.
John V. N. Talmage’s indigenous missionary activities in colonial Korea under Japanese rule offer a compelling case study of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the Korean Church. This paper examines Talmage’s approach to mission-church relations, his response to the church’s acceptance of Shinto shrine worship, his stance toward the anti-Christian Japanese colonial state, and his vision of the church’s social responsibility. He championed a transition from a foreign mission-directed church model—emphasizing self-support, self-propagation, and selfꠓgovernance—to a fully independent, Korean-led evangelism centered on a financially and institutionally autonomous church. His indigenous missiology was grounded in a theological understanding that recognized God’s sovereignty over both church and mission, advocating for missionaries to eschew authoritarianism and instead support the Korean church in its evangelical efforts.
The Korean Church’s conformity to Shinto shrine worship in 1938 prompted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to sever its institutional ties. Talmage viewed this separation as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Church to achieve complete independence while maintain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missionaries, who would now participate in evangelism under Korean leadership. Despite his deep concern for the Korean Church’s capitulation to Japanese imperial power, Talmage remained confident in its integrity and potential for restoration, focusing on the ongoing missionary tasks.
Talmage’s vision of indigenous mi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and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liberation era. He realized a model of separate but mutually supportive partnership in mission work, emphasizing a fully autonomous and empowered Korean church. This approach exemplified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s evolving role and significance in Korea, setting a new standard for collaborative, locally-led missionary effor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