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000년대 북한 통일 소설 연구 : 『조선문학』에 나타난 통일 주제 소설들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20(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 이후 남북 양국은 대립국면에서 화해와 통일의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시기 북한 문학 창작을 살펴보면 당의 의식형태의 속박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정치국면의 변화와 더불어 고무와 격려를 받은 작가들은 마음속에 묻어두었던 민족분열의 아픔과 이산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남김없이 토로하였다. 이런 면에서 살펴볼 때 “통일주제”를 다룬 소설을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고는 6.15 남북 공동 선언 이후 통일을 주제로 하거나 통일의 염원을 작품의 중점으로 보여준 북한 단편소설들에 나타난 통일 이념과 통일의식의 소재적, 주제적 특징을 살펴보고 6.15 공동선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1장은 남북 양국의 역사환경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2장은 1990년대 “통일 주제”소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주제적 변화를 가져오게 된 문헌적 근거를 제출하였다.
제3장은 부동한 시기에 나타난 북한의 “통일 주제”소설에 대해 “우리민족끼리”, “강성대국”, “김정일 영도”로 나누어 열거하면서 부동한 주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6.15 공동선언이 한반도에 가져다준 성과는 부정할 수 없을만큼 강하지만 통일로 연결하고자 하는 남한과는 달리 6.15 공동선언의 성과를 국가 정책과 머리글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교시로 작가들의 자율성을 공제하고자 하는 북한 문학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After June 15, 2000,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reconcile, and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gradually emerg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ry creation during this period, although it has not completely gotten rid of the shackles of party consciousness. However, the writers who were inspired by the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began to express the pain of national division and began to talk about the pain buried in their hearts. This pain contains the pain of ethnic division and the sadness of family separ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of novels with a “unified theme” is of great significance.
This paper discusses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short stories created with unification as the keynote or the unified awareness as the central idea and analyzes the internal relationship with 6.15 common declarations.
The first chapter briefly introduces the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two countries and mentions the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second chapter briefly introduces the novels with the theme of “unification” in the 1990s as well as the documentary basis resulting in the theme change.
The third chapter analyzes and sorts out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periods, and lists novels with the theme of “unification” that appeared in different periods as “we are a nation,” “a powerful state,” and the “leader Kim Jong Il”, etc.
It concludes that although the influence brought by 6.15 common declarations are tremendous, different from South Korea which seeks unification, North Korean literature tends to use national policies and doctrines to control the creative ideal of domestic writer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