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과 영국의 MDP 동향 = MDP Trends in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27(21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Multi-disciplinary Practice(hereinafter MDP) refers to the practice of lawyers and nonlegal professionals engaging in a business partnership. The approval of MDP and its extent differs in each count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country’s legal system, lawyer system,and legal environment. A typical country that disapproves MDP is the United States, while England is a representative case that approves the practice.
In 1998, American Bar Association’s Commission on Multidisciplinary Practice was organiz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mission filed two reports each in June 1999 and May 2000. The core points of both reports were that the approval of MDP was necessary, but the American Bar Association’s House of Delegates turned down both reports and dissolved the commission in July 2000. With this, the country’s discussion on MDP and the other remaining latent problems were closed. However, as England passed The Legal Services Act in 2007, the United States was stimulated to set up the ABA Commission on Ethics 20/20 in August 2009, where studies are in progress to devise plans for such circumstances where MDP should be approved, as one of the preliminary issues of legal profession. Discussions in England on MDP were made around the government, especially the Office of Fair Trading. The Clementi Report(Review of the Regulatory Framework for Legal Services in England and Wales), which was announced in 2004, first distinguished Legal Disciplinary Practice(the practice of business partnership among lawyers, or between lawyer and paralegal professionals) from MDP(the practice of business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nonlegal professionals), and went on to suggest that LDP should be approved and adopted first, and the approval of MDP should wait until proper safety device has been set up.
However, the Legal Services Act, which was passed in 2007 and went into effect from March 7,2008, did not take the two-step approach of LDP and MDP as the Clementi Report did, but rather used the term Alternative Business Structure to approve both LDP and MDP. With this, it is expected that MDP will first be practiced in England in 2011.
The need and call for an one-stop service from the market will likely increase more and more,consequently resulting in the global trend of MDP’s approval. At this point, Korea should immediately launch studies and discussions on MDP to come up with a ‘Korean MDP’ and systemize the practice. Not only would this be a means to provide the people a service that well suits the changing phases of time, but it would als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Korea’s legal market as well as increase the country’s legal competitiveness.
Korea is a country with an unified lawyer system, but also one that has an unusual variety of paralegals unlike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refore, discussions in Korea on MDP should be mainly focused on business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paralegals, and business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non-lawyer professionals such as CPA, financial consultants,should be studied and reviewed discretely ov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MDP(Multidisciplinary Practice)는 변호사와 변호사 아닌 다른 직역의 전문가가 동업하는 것을 가리킨다. MDP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와 허용한다면 어느 범위에서 허용할 것인지는 각 나라의 법률체계나 변호사 제도, 법률환경 등에 따라서 다르다. 미국은 MDP를 허용하지 않는 대표적인 국가이고 영국은 정반대로 MDP를 허용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미국에서는 1998년에 미국변호사협회 MDP 위원회(ABA Commission on Multidisciplinary Practice)가 조직되어서 1999년 6월과 2000년 5월 등 두차례에 걸쳐서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핵심적인 결론은 MDP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변호사협회 대의원회(American Bar Association’s House of Delegates)는 두 번 모두 MDP 위원회 보고서의 결론을 채택하지 않았고, 2000년 7월에 MDP 위원회를 해산시켰다. 이로써 미국에서의 MDP 논의는 끝이 나고 잠재된 문제들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에서 2007년에법률 서비스법(The Legal Services Act 2007)이 통과되자 미국도 이에 자극을 받아서 2009년 8월에20/20 윤리위원회(the ABA Commission on Ethics 20/20)를 만들어서 법률 서비스 시장에서 MDP를허용하는 경우의 대처방안을 법조직역의 기본적인 쟁점의 하나로 연구하고 있다. 영국에서의 MDP 논의는 정부 특히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2004년에 발표된 Clementi 보고서에서는우선 변호사와 변호사 간 또는 변호사와 다른 법률 전문가 간의 동업형태인 LDP(Legal Disciplinary Practice)를 실시하고, 변호사와 법률 영역 이외의 다른 전문자격사 간의 동업형태인 MDP (Multidisciplinary Practices)는 추후에 안전장치가 확실하게 갖추어졌을 때에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2007년 성립되어 2008. 3. 7.부터 시행된 법률서비스법(The Legal Services Act 2007)에서는Clementi 보고서처럼 LDP와 MDP라는 2단계 접근방식을 취하지 아니하고, ABS(Alternative Business Structure)라는 용어를 쓰면서 LDP는 물론이고 MDP도 허용하였다. 이에 따라 영국에서는 2011년에MDP가 최초로 출현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One-stop service의 제공을 요구하는 시장의 목소리는 앞으로도 점점 커질 것이고 따라서 MDP를 허용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MDP에 관한 연구와 논의를 시작하여 우리에게 알맞은 한국형 MDP를 모색하여이를 제도화 시켜야할 것이다. 이것이 국민들에게 변화하는 시대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길일뿐만 아니라, 법률시장을 확대함과 동시에 우리 법조의 경쟁력을 키우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변호사제도는 통일적이지만, 변호사 이외에 세계에서 유례를 보기 드물 정도로 다종다양한 법률 인접직종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의 MDP 논의는 무엇보다도 변호사와 이들 인접 법률직종 간의 동업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고, 변호사와 법률 이외의 다른 전문가(예컨대 공인회계사․금융전문가․인사전문가 등) 간의 동업문제는 보다 시간을 가지고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6-06-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478 | 0.3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