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주 세종대왕자(世宗大王子) 태실(胎室) 봉안 안태용(安胎用) 도자기(陶磁器)의 양상과 제작시기 연구 = A Study on Aspect and Age of Artifact Enshrined in Seong Ju Seoksan Taesi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79(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성주 선석산은 조선시대 유일하게 태실이 집장된 곳으로 문종(1414~1452)을 제외한 세종(1397~1450)의 왕자와 원손의 태를 한곳에 모아 둔 곳이다. 선석산 세종대왕자태실은 1977년 한 차례 보수 정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접 혹은 분청사기 반구형 뚜껑 그리고 작은 항아리가 출토되었다. 이를 통하여 선석산 세종대왕자 태실에 봉안된 안태용기는 조선시대 일반적인내ㆍ외항아리의 구성이 아닌 매우 독특한 형태를 갖추고 있음이 밝혀졌다. 가장 아래에 대접을 받치고 그 위에 작은 항아리를 올려놓은 뒤 그 전체를 반구형의 뚜껑으로 덮은 형태가 한 세트인 것이다. 이러한 양식은 선석산 태실에서만 출토된 매우 특이한 양식으로 조선시대 안태용기의 양식변천에 있어서도 매우 특기할 만하다. 그리고 봉안된 유물은 구성도 특이 하지만 각각의 그릇이 다양한 시대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된다. 한 세트로 구성된 안태용기이더라도 대접과 작은 항아리는 태주의 출생시점에 사용된 것이며, 반구형 뚜껑은 태주의 장태시점에 제작되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반구형 뚜껑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서 장태시기를 알 수 없는 태주의 장태시점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면에서 선석산 태실의 안태용기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유물의 제작시점 및 태주의 장태시점을 추정해볼 수 있고, 조선 초기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장태문화의 일면을 연구할 수있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더보기Seong Ju Sun Seoksan Taesil in Joseon dynasty is the only place where placentas of Sejong``s prince and Won Son(元孫) except Munjong(文宗1414~1452) had been collected. Bowl, Buncheong Ware domed lids and small jar were excavated at Seong Ju Sun Seoksan Taesil while Seong Ju Sun Seoksan Taesil was maintained once in 1977. At this time, it was proved that An-tae-yong ceramic was different from nomal jar``s composition in Joseon dynasty, and it showed itself in an unique form. The bowl is placed under the small jar covered with the domed lids, and they are composed in one set. This is distinctive style which was excavated exclusively in Seong Ju Sun Seoksan Taesil, which is worthy of notice about the change of aspect of An-tae-yong ceramic. The composition of the artifacts which were enshrined in Sun Seoksan Taesil was remarkable, but it is also worthwhile to get attention to the reflection of various age styles. Although this is a set consisting of An-tae-yong ceramic, it is a presumption that the bowl and the small jar were used at birth of the owner of the placentas, and domed lids were made and used at burial of the owner of the placentas. Besides, by researching the features of the domed lids, the time of the placenta burying of the owner of the placentas has been presented. In this regard, the consideration to An-tae-yong ceramic of Taesil estimates the time of placenta burying of the owner of the placentas. Also It is meaningful to study on the early Joseon not properly established placenta burying cul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