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민주평화주의와 지역평화의 역사적 · 지정학적 형성: 노르딕 지역과 동북아 지역의 비교 = The Democratic Peace and its Historical, Geopolitical Formation in Nordic Region and Northeast As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109(41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ha Womans University Viewed from the pessimistic perspective on Asia’s future, Asia is considered having security problem and lacking solidarity in the region. According to this view, expansion and deepening of democracy are essential to reduce security risks and enhance solidarity. The Nordic region is the most important case for the democratic peace. Historical rivalry and conflicts between Denmark and Sweden,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Nordic small countries(Norway, Finland, Iceland) in the 20th century, and the legacy of colonialism could make cooperation and peace nearly impossible in the region. The Nordic peace was fulfilled in very difficult historical, political, and external environments.
Not only Sweden’s neutrality but also the democratic accomplishments of Norway and Finland were crucial for the region’s peace. Analyzing institu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democratic peace, the paper argues that Japan's peace constitution and Korea-Japan’s democratic peace alliance are essential since only democracy and socially constructed intrinsic pacifism would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ast Asia.
아시아의 안보 위험을 줄이고 연대감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확대와 심화가 필수적이다. 민주주의가 평화를 가져온 대표적인 사례는 노르딕 지역이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3국(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은 근대 이후 영토를 둘러싸고 전쟁과 갈등을 겪어왔다. 노르웨이, 핀란드, 아이슬란드의 분리 ․ 독립운동, 덴마크와 스웨덴의 경쟁관계, 식민주의의 유산과 역사적 갈등 등은 지역의 통합과 평화를 어렵게 한 대표적 사례다. 노르딕 평화와 연대는 매우 어려운 역사적 ․ 지정학적 ․ 대외적 조건하에서 만들어졌는데, 지역 헤게모니 국가인 스웨덴의 중립과 함께 당시 약소국인 노르웨이와 핀란드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19 세기 노르웨이 민주주의의 확산과 20세기 초 핀란드의 급격한 민주화는 노르딕지역의 민주주의 연대를 완성하여 지역의 협력 및 평화의 기반이 되었다. 이논문은 민주평화의 제도적 ․ 사회적 차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동북아의 민주평화주의와 지역평화를 위해서는 일본의 평화주의 (평화헌법)와 한 ․ 일 간 전향적인 민주평화 연대 (동맹)가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노르딕 사례처럼 지역의 민주주의 연대와 내재적인 평화의 가치를 키우는 것만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가져올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